DOI QR코드

DOI QR Code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torage Sections of the Round Bale Silage of Fresh Rice Straw at Yonchon of Gyeonggi-do

연천지역에 있어서 생볏짚 원형곤포사일리지의 부위별 사료성분 및 발효품질

  • Kim, Sang-Rok (Uijeongbu city Agricultural Development & Technology Center, Gyeonggi-do) ;
  • Kim, Gon-Sik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Woo, Jae-Hoon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Woo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ung, Kyung-Il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상록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시 농업기술센터) ;
  • 김곤식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 우제훈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 이준우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 성경일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way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orage sections of the round bale silage of fresh rice straw (RS).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ges of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different sectors of the RS after a certain period; a month later after the bailing, samples of three different RS (bale one, bale two, and bale three) were taken according to the three different sectors (top, center, and the bottom) of the bal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S's chemical composition content among the different sectors (top, center, or the bottom) of the bale. The possible reason for this is believed that on the basis of different sectors of the bale, the moisture (the water soluble nutrient) movement didn't occur and was locked in and couldn't escape, because the dry matter content of the rice straw was as high as $70\%$. After immediately harvesting the paddies, using the fresh rice straw to produce RS at the same time when the dry matter content is in between $26{\sim}40\%$, the chemical composition was found to be of a good quality. Accordingly, it is recommended that when the dry matter content is in between $35{\sim}45\%$, in order to produce RS with the fine chemical composition of 'Yonchon' region, bailing should be done simultaneously with the harvesting of paddies, before the first frost appears.

본 연구는 효율적인 RS 조제기술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는 RS의 저장부위에 따른 발효품질 및 사료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는데, 곤포한 1개월 후에 3개의 RS(bale No. 1, bale No. II 및 bale No. III로부터 부위별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로 채취하였다. 건물 함량은 상층부에서 bale No. I, bale No. II 및 bale No. III이 각각 64.5, 87.6 및 $63.3\%$로 bale No. II가 가장 높았으며, 모두 수분 함량이 아주 낮은 haylage 수준이였다. CP 함량은 bale No. I, bale No. II 및 bale No. III간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 CP 함량은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가 각각 4.1, 4.3 및 $4.0\%$로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NDF 함량 bale No. I, bale No. II 및 bale No. III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평균 NDF 함량은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가 각각 66.0, 69.5 및 $69.4\%$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DN 함량은 bale No. I, bale No. II 및 bale No. III간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 TDN 함량은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가 각각 44.2, 44.3 및 $44.0\%$로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pH는 중앙부가 상층부나 하층부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부위에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유산 함량을 비롯 acetate, propionate 및 butyrate 함량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RS의 사료성분 함량은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이것은 수확시기 지연으로 인해 생볏짚의 건물 함량이 $70\%$ 정도로 높아 부위에 따른 수분(수용성물질 함유) 이동이 없었던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벼 수확과 동시에 생볏짚을 이용하여 RS를 조제할 경우, 건물 함량이 $26{\sim}40\%$ 범위일 때 사료성분 면에서 우수한 것을 고려한다면, 사료성분이 양호한 RS를 조제하기 위해서는 초상(初霜)전 벼 수확과 동시에 곤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갑, 한민수, 김건엽, 강우성. 1993. 사료작물의 속성조제 및 간이저장기술 개발연구, 축시보고. 1004-1013
  2. 김정갑, 강우성, 한정대, 신정남, 한민수, 김건엽. 1995. 작물의 생리적 특성과 곤포 Silage 조제이용. 한국초지학회지 15(1):73-79
  3. 김종근, 정의수, 서 성, 박근제, 윤세형. 2001. 저장방법 및 비닐겹수가 생볏짚 원형베일사일리지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21(2):81-88
  4.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2002. 한국표준사료성분표
  5. 성경일, 김동암, 김창주. 1985. 목초사일리지의 조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밀봉지연에 의한 roll bale silage의 품질 및 사료가치. 한국초지학회지 5(2):116-120
  6. 손용석, 고광석, 홍성준, 윤진아, 이지원. 1999. 볏짚과 야초의 조사료화 증진을 위한 곤포사일리지 제조방법 연구. 농림부 보고서. p. 119
  7. 이성현, 김종근, 최광재, 유병기, 오권영. 2002. 생볏짚의 연화처리와 피복스트레치 필름의 색깔에 따른 랩 사일리지의 품질 분석.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7(4):334-340
  8. 이성철. 1998. 수확시기 및 첨가제가 연맥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8(2): 157-162
  9. 축산기술연구소. 2002. 권역별 답리작 조사료 생산체계. 3차년도 완결보고서, 농촌진흥청
  10. Erdman, R. 1993. Silag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ffecting feed intake. in Silage production (From seed to animal), Proceeding from the National Silage Production Conference. p210-219, Syracuse, New York
  11. McDonald, P. 1991. The biochemistry of silage, John Wiley and Sons, Ltd. Pitman Press, Bath, England
  12. Romahn, W. 1988. Big bale haylage fits our operation. Moard's Adiryman. March 10. Hoard and sons company. Fort Atkinson, Wisconsin. p. 255

Cited by

  1. Effect of Harvest Stage of Sorghum × Sorghum Hybrid (SSH)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SSH Silage vol.31, pp.2, 2011, https://doi.org/10.5333/KGFS.2011.31.2.143
  2. Effects of Harvest Stages and Ensiling Method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Sorghum × Sorghum Hybrid Silage vol.31, pp.3, 2011, https://doi.org/10.5333/KGFS.2011.31.3.295
  3. Study on Manufacture of Corn Silage Using Gunny Bag vol.31, pp.3, 2011, https://doi.org/10.5333/KGFS.2011.31.3.305
  4. Study on Quality of Corn AG-BAG Silage Manufactured with Corn Grown in Reclaimed Paddy Field vol.31, pp.4, 2011, https://doi.org/10.5333/KGFS.2011.31.4.423
  5.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Sorghum-Sorghum Hybrid Bale and Trench Silage According to Those Parts vol.32, pp.3,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3.221
  6. Effects of Ensiling Method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Sorghum × Sorghum Hybrid (SSH) Silage in Different Locations of SSH Silage vol.32, pp.3,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3.245
  7. Effect of Addition of Chlorella and Lactic Acid Bacteria on Nutritive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Fresh Rice Straw Silage vol.35, pp.2,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