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Comparison of Cultural Idea of Horse Between Korea and Mongolia - In view of customs related to horse in Korea and Mongolia

한·몽 말 문화 연구 시론 -한국과 몽골의 말과 관련된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In Mongolia which consists of nomadic populations, horse has been loved by nomads and considered most important transportation means. Horses have been used when they were making long journey looking for new plain ground for grazing. Therefore, horse is closely connected with Mongolian nomadic culture. In Korea, too, horses had been considered one of most important means for transportation and military. The symbolism of horse that is represented in both Mongolia and Korea is Heavenly Horse which communicates with the God and it was sanctified as a Sacrificing Horse which was sent to God for sacrifice, and it was even worshiped as Divine Horse, the diety. As is the case of two of Mongolian customs associated with Mongolian language are 'the ceremony of horse's giving birth her young' and 'the ceremony of letting the mare go where it was before', all the cases are related with cattle's milk. The ceremony of 'horse's giving birth her young' is the ceremony where people hope that they would see the young can grow well which were born in early summer thus increasing the numbers of horse. To go with this, they perform a ceremony of Chachal in which they sprinkle the best quality white milk which is the symbol of good luck and hope they would produce plentiful of dairy products. The ceremony of 'letting the mare go where it was before' is also the ceremony where people hope to have many new born young horses thus produce more dairy products and Airag for the next year as milking is no more available for that you. Since the unified Silla Era, Koreans have performed a sacrifice rituals to horse in auspicious day. It's purpose is to see their horses get no disease and bear as many youngs as possible. The Back Ins Je, one of well blown festivals in Jeju Island, was originated from people's wish to prosper in stock farming. It can be said that the custom of Korea and Mongolia related with horse's giving birth was originated from the wishes to god for fertility and fecundity. On top of that, while Mongolians sprinkled horse's milk both on the ground and to the air hoping they would have increased houses and, thus, secure many dairy products, Koreans wish that they would see the increased number of horses and their healthy conditions through heavenly rituals.

유목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몽골에서 말은 중요한 이동수단으로서 목축민들의 특별한 애정과 존중을 받아온 몽골을 대표하는 가축이다. 몽골에서 말은 가축을 흩어짐 없이 사육하고 새로운 초지를 찾아 유목하거나 장거리 이동시 주요한 교통수단으로 사용 되였다. 따라서 말은 몽골의 목축생활 양식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사회에서도 말은 교통수단과 군사용 등으로 사용된 중요한 가축이었다. 한국과 몽골의 문화에 등장하는 말은 신승물, 신성성, 의리를 지키고, 충성을 다하는 존재, 재앙을 예시하는 존재, 민중의 이상과 꿈을 실현시켜 줄 수 있는 존재, 정력과 지혜로움, 도약 등의 상징성을 지닌 동물로 묘사되어 있다. 또한 말은 신과 교감하는 천마이며, 신에게 바쳐지는 성물인 헌마로서 존중되었고, 그리고 신성한 존재인 마신으로까지 추앙받는 존재였음을 알 수 있다. 몽골에서 말과 관련된 세시풍속은 말이 출산하는 여름의 첫 달인 인일 '암말의 씨를 내는 의례'에서 시작해서 가을 술일에 '암말을 놓는 의례'로 끝이 난다. 암말의 씨를 내는 의례에서 암말을 놓는 의례에 이르기까지 말과 관련된 몽골의 세시풍속은 가축의 젖과 연관되어 있다. 암말의 씨를 내는 의례는 말이 새끼를 얻는 것을 기념하는 축제로서 이때는 각종 가축의 젖과 유제품이 흔해지는 풍요로운 시기이다. 몽골인들은 가축의 출산을 알리고 축원할 때 주로 가축의 젖을 바치는 풍속을 행한다. 즉, 말이 새끼를 낳는 초여름 새끼가 건강하게 자라서 수가 증가하기를 기원하고, 이와 더불어 유제품이 더 풍부해지기를 기원하면서 길상을 의미하는 흰색 젖의 특상품을 하늘, 대지 그리고 물의 신에게 뿌리는 차찰의식을 거행한다. 차찰의식을 통해 몽골인들은 초원의 풀이 잘 자라고 가축의 수가 증가하여 삶이 풍요로워 지기를 기원하였다. 가을의 '암말을 놓는 의례' 역시 말 젖짜기를 그치면서 다음 해 새끼말들이 많이 태어나서 더 많은 젖과 아이락을 얻기를 기원하는 축제임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래로 국가가 주도하는 마제가 개최되었는데, 마조제는 중춘, 선목제는, 중하, 마사제는 중추 등 각각 길일을 택하여 말에게 제사하였다. 이들 제사는 말의 무병과 성장 번식을 기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주도의 대표적인 목축의례인 백중제 역시 그 해의 목축이 잘되기를 기원하는 제의의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정월의 첫 말일인 상오일에 장을 담그면 맛이 좋다고 전해진다. 첫 말날 장을 담그면 장맛이 좋다고 하는 것은 말이 콩을 좋아하므로 콩을 원료로 하는 장을 담그는 것이고, 말날에 담근 장은 말피처럼 빛깔이 진하고 맛이 있다는 것이다. 말은 기가 왕성하므로 말날은 먼 길을 나서기에 좋은 날로 믿고 있다. 한국과 몽골의 말과 관련된 세시풍속은 말의 출산과 관련하여 다산과 풍요를 바라는 마음에서 신에게 기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몽골인들이 말 젖을 하늘과 땅에 뿌리는 차찰 의식을 통해 말의 번식과 흰색의 유제품이 풍부해지길 기원하였다면, 한국의 세시풍속은 제천의식을 통해 말의 번식과 무병을 기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북아시아 유목적 태반을 공유하고 있는 몽골과 한국의 목축 관행의 상사 및 상이점, 스텝과 농경지대라는 목축 환경의 상이성과 그를 기반으로 전개되어 온 목축 관행의 역사적인 변용들을 구체적으로 조목조목 따져 밝혀가는 본격적인 연구과제는 시론 차원의 이 논문에서는 일단 문제로만 제기해 두려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三國史記
  2. 三國遺事
  3. 몽골비사. 1994. 유원수역주, 서울, 혜안
  4. 元史. 1980. 新校本, 臺北, 鼎文書局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제주도세시풍속, 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152-153
  6. 국립민속박물관. 1998. 한국의 세시풍속 II,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7. 게.강토그토흐. 2001. 몽골의 세시풍속. 몽골의 무속과 민속, 서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민속학연구소, 303-304
  8. 金義淑. 1996. 淸州道 牧子服 硏究, 濟州의 民俗IV. 제주도, 제주도지편찬위원회, 157
  9. 김종대. 2001. 33가지 동물로 본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서울, 다른세상, 186-188
  10. 南都泳. 2003. 濟州道軌場史, 경기도, 한국마사회박물관, 441-442
  11. 박원길. 2001. 유라시아 초원제국의 역사와 민속, 서울, 민속원, 492-498
  12.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02. 남도문화연구, 순천,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13. 오인혜. 1999. 성행위, 초원의 대서사시 몽골 유목문화, 용인, 경기도 박물관, 1999, 61
  14. 윤은숙. 2004. 한.몽 가축의 출산문화 연구 試論-한국 소와 몽골 양의 출산 관습과 금기조항을 중심으로-, 白山學報제69호, 서울, 白山學會, 441
  15. 任東權. 1995. 韓國의 말과 민속, 馬事博物館誌, 경기도, 한국마사회박물관, 29-30
  16. 임동권외. 1999. 한국의 馬민속, 서울, 집문당, 183-184
  17. 장장식. 2002. 몽골민속기행, 서울, 자우출판사
  18. 張正龍. 1988. 江原道의 馬信抑考, 韓國民俗學 18, 民俗學會, 115-127
  19. 정형호. 1997. 몽골 한국의 말문화 비교 고찰, 한국민속문화연구총서 1, 서울,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 연구소, 164
  20. 천진기. 2003. 문화의 비밀을 푸는 또하나의 열쇠, 한국동물민속론, 서울. 민속원, 294
  21. 表仁柱. 1999. 한국의 馬信仰과 말(馬)의 기능, 국제아세아민속학. 제3회 국제아세아민속학회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집, 29
  22. 表仁柱. 2002. 민속에 나타난 마문화(馬文化)의 실태와 의미, 馬事博物館誌, 경기도, 한국마사회박물관. 84
  23. 米內山庸夫. 1998. 蒙古草原, 東京, 改造社, 107-108
  24. 上村明. 2002. 馬の寧乳儀禮 グ-ニ-.ウルス.がルがハ.ヨス再考-儀禮の政沿性と身體性 をぐって-,北アジァにおける人と動物のあいだ, 東京, 東方書店, 301
  25. 上村 明. 1999. 목축의 기술과 의례, 초원의 대서사시-몽골 유목문화,용인, 경기도 박물관,113
  26. 杉山正明지음.이진복 역. 1999. 유목민이 본 세계사 민족과 국경을 넘어, 서울, 학민사, 31
  27. 札奇斯欽. 1992. 蒙古文化與社會, 臺灣, 臺灣商務印書館,142
  28. 岩村恐 씀. 周采赫 옮김. 1988. 遊牧史上에서의 몽골의 위치-유목의 개념정의 문제와 함께-, 江原史學第4輯, 춘천, 江原大學校 史學會, 105
  29. 鳥居人類學硏究室編, 1992, 土俗學上より觀たる蒙古, 서울, 民俗苑, 1002
  30. A. Ochir. 2004. 몽골인들의 말문화, 한국축산문화의 始原, 몽골-시베리아 순록.양유목의 原型탐구, 춘천, 한국초지학회.강원대학교동물자원공동연구소 학술심포지엄, 3-5
  31. Б.Я. Владимирцов著. 주채혁 譯. 1990. 몽골사회제도사,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5-56
  32. С.Бдамхатан. 1987. БНМАУ-ын угсаатны ЗУЙ, улс ын хэвлэлийн газар, УБ, 63
  33. E.E. Kuzmina, 金浩東 옮김. 1993. 古代 유라시아 말 信仰의 起源과 傳播, 韓國古代史論叢 4, 서울, 韓國古代史硏究所, 360-361
  34. Х.Сампилдэндэв. 1985. Малчин ардын з ан Уйлий н улаижлал, улсын хэвлэлийн газар, УБ, 5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