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a Life Planning Program for Retired Elderly People

은퇴자의 생활설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Choi Bo A (Dept. of Home Management Sungkyunkwan Univ.) ;
  • Chi Young Sook (School of Human Life Sciences, Sungkyunkwan Univ.)
  • 최보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
  • 지영숙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부)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fe planning program for retired elderly people. This program is not a preparation program for elderly people prior to their retirement but a readjustment and re-planning their life after retirement. This program help retired elderly people to solve the life problem and set up a affirmative ones future image. Also this program pay regard to social, home backgrounds of this generation. The program consists of four session curriculums session 1 is entitled to &Make my future by oneself&, session 2 is &Enjoy healthy life as much as one can&, session 3 is &Have a heart for family& and session 4 is &Set up a mature old age&. A fled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en retired elderly people who want t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voluntarily. 4 sessions each of which consists of 2 hours were performed at Korean Association of Retired Persons. Field test for program evaluation is designed to three steps: pre-test, post-test and one month follow-up test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evaluation results, the program show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lderly people's understanding about elderly life. At the one month follow-up assessment, the effect of program is still remained strongly even though there is a Partial slight increase or reduction which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s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have express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For further study, we need various contents which are suited to larger group with diverse socio0-demographic backgrounds.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diverse instruction methods which are pertinent to levels of participants. Also, the program needs to continuous adjustment to the next generation with their social, home background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9). 평생교육백서 3호
  2. 권태한 외(1996). 전환기 한국의 사회문제. 민음사
  3. 국민건강보험공단(2003). 국민건강보험의 급여비 추이분석
  4. 김경신(1996). 노인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노년학 연구 5, 51-70
  5. 김도수(1996). 평생교육 사회의 교육제도론. 서울 : 교육과학사
  6. 김명자(1991). 여가활동과 행복한 노후생활의 향유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한양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성희(1996). 조기퇴직자의 진로교육방안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재인 외(1998). 여성노인의 여가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9. 김정열(1997). 퇴직전 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태현(1996). 노년학. 교문사
  11. 대한노인회(1994). 신한국창조에 기여한 노인상
  12. 모선희(1999). 고령화 사회와 노인 여가문화. 峨山 84('99.9)
  13. 박재간(1980). 노인학교의 문제점과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노인문제연구소
  14. 박재간. 홍미령(2000). 노인교육의 현황과 과제 : 고령화사회와 노인교육의 실천방안. 노인복지정책연구 18, 7-30
  15. 서경희(1995). 은퇴자를 위한 퇴직전 준비교육의 활용방안. 대구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1984). 교원의 퇴직 후 생애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17. 서울시(2001). 국민보험의 급여비 추이분석. 국민건강보험 공단
  18. 송명자(1999). 발달심리학. 학지사
  19. 숙명대학교(1997). 현대노년학. 숙명대학교 출판부
  20. 어성연(1994). 노인의 가정생활교육에 대한 학습요구도 분석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유영주 외(1996). 가족발달학. 교문사
  22. 이기영 외(1998). 생활설계론. 교문사
  23. 이연숙(1998). 성인을 위한 가족생활교육론, 학지사
  24. 이철우(1998). 노인관의 변화와 대응방안모색. 한국사회(1), 155-201. 한국사회연구소
  25. 임희섭. 박길성(1993). 오늘의 한국사회. 나남
  26. 조용환(1999). 질적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7. 조희선. 성혜영(2002).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성균관대 생활과학 5호, 245-254
  28. 지영숙(1998a). 현대가족생활설계론. 학지사
  29. 지영숙(1998b). 한국가정의 건전도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233-250
  30. 지영숙(1999). 노인가정의 생활관리.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 춘계 학술대회
  31. 지영숙. 이영호(2001). 생활설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1), 221-234
  32. 지영숙. 최보아(2002). 은퇴기 생활설계를 위한 진단척도의 개발 성균관대 생활과학 5호, 177-194
  33. 진계환(1988) . 은퇴자를 위한 노후준비교육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차갑부(1993). 성인교육방법론. 양서원
  35. 차용은(1994) . 유료시설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최영신(1999). 질적자료수집 : 생애사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교육 인류학연구 2(2), 1-22
  37. 한국가정생활개선진흥회(1999). 건전한 가정 우리가 가꾸어요
  38.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1999). 풍요로운 노년 가꾸기
  39. 한정란(1993). 노인교육과정 개발실천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0. 한정란(1998).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퇴직준비교육. 연세교육연구 11(1), 263-265
  41. 허정무(1993).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을 통한 퇴식준비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한국노년학 18, 1-18
  42. Burgess, E. W. .Havighurst R. T. .Goldhammmer, H.(1949). Personal Adjustment in old age. Science Research Associates. Chicago Press
  43. Deacon & Firebaugh(1975). Family Resource Management. Boston Allyn & Bacon
  44. Duvall, E. M.(1971). Family Development. Lippincott
  45. Erikson, E. H.(1963). Childhood & Society. New York : Norton
  46. Foner(1995). Old Age: Constructions and Deconstruction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0(6), 246-254
  47. Greenman, N. P. .Kimmel, E. B.(1995). The Road to Multicultural Education: Potholes of Resistanc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46, 360-380 https://doi.org/10.1177/0022487195046005006
  48. Havighurst, R. J.(1972). Development Tasks and Edumtion. New York : David Mckay
  49. Kunter, B. P. & Langer, S. F.(1956). Five hundred over sixty.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50. Scott, H. B.(1982). Adjustment to and Satisfaction with Retirement. Journal of Gerontology VoI 37(5), 616-624 https://doi.org/10.1093/geronj/37.5.616
  51. 森岡淸美(1983). 新しぃ家底社會學. 風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