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orce and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20, 30대 이혼 남녀의 이혼과 이혼 후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Ok Sun Wha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 ;
  • Sung Miai (Dept. of Home Economics, Korea National Open Univ.)
  • 옥선화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vorce and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explored the sex differences. For this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30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liv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Sep. 23rd to Oct. 20th, 2002.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dealt with demographic information and other sca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project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en and women experienced a similar level of pre-divorce conflicts, women were more likely to want to divorce. Second, although women had wor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 and more difficult problems than men after divorce, women more readily accepted their divorce reality than men. Divorce was not the best but the second best way to escape from a bad marriage for women.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marital preparation and divorce adjustment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권희완(1992). 부부관계의 인식에 관한 연구.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출판부. 35-70
  2. 김성희(2003). 청년 남녀의 이혼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75-85
  3. 노영주 (2001). 이혼 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2). 413-613
  4. 문현숙. 김득성(2000).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3). 99-120
  5. 박민자 (1992). 부부관계의 평등성.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출판부. 71-109
  6. 박찬미, 서병숙(1987). 도시주부의 결혼만족도와 이혼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5(2), 145-162
  7. 성미애(1999). 남성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후 적응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성정현(1999). 이혼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성역할태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 93-116
  9. 성정현, 송다영, 정미숙. 한정원, 김 진(2001). 재판 이혼의 사례를 통해 본 한부모가조의 자녀양육비 실태와 대안. 사회복지연구. 18
  10. 옥선화, 성미애, 신기영(2000). 도시 및 농촌 거주자의 가족 및 친족관련 가치관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8(9), 1-20
  11. 옥선화, 성미애. 이재림(2002). 빈곤 여성가장의 삶의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 (2). 65-92
  12. 이재경(2000). 성별화된 이혼과 여성. 가족과 문화, 12(2), 81-98
  13. 이현송(1999). 주관적 이혼 사유의 변화. 가족과 문화. 11(2), 25-45
  14. 장혜경, 민가영(2002). 이혼여성의 부모역할 및 자녀 양육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5. 최연실(1996). 청소년자녀기 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통계청(2003). 인구주택 총조사 보고서
  17. 한경혜(1993). 한국 이혼부부의 적응과 관련변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가족학연구회 편. 이혼과 가족문제. 서울: 하우
  18. 한경혜, 김영희(1994). 이혼여성의 전배우자와의 관계 및 협력적 부모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가족학논집, 6. 103-128
  19. 한경혜, 이정화(2002). 도시 및 농촌거주자의 이혼에 대한 태도. 대한가정학회지. 40(9). 161-174
  20. 한경혜, 강유진, 한민아(2003). 이혼태도와 관련 요인. 가족과 문화, 15(1), 77-96
  21. 한국여성개발원(2003). 여성관련 통계
  22. 한국청소년상담원(2001). 이혼가정의 아이들.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3. 허정원, 옥선화(1998). 이혼한 편모의 가족 및 사회 관계망 지원과 이혼 후 적응. 생활과학연구 23. 37-48
  24. 현온강, 조복희(1994). 부모의 역할만족도 척도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2(1). 103-117
  25.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Y: Russel Sage Foundation
  26. Furstenbug, F. F., & Nord, C. W. (1985). Parenting apart; Patterns of childrearing after marital disrup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7, 893-904 https://doi.org/10.2307/352332
  27. Kitson, G. C. (1982). Attachment to the spouse in divorce: A scale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6), 379-393 https://doi.org/10.2307/351547
  28. Kitson, G. C. (1992). Portrait of divorce: Adjustment to marital breakdown. NY: Guilford Press
  29. Kitson, G. C., & Raschke, H. J. (1981). Divorce research: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Journal of Divorce, 4, 1-37
  30. Kitson, G. C., & Morgan, L. A. (1990). The multiple consequences of divorce: A decade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6), 913-924 https://doi.org/10.2307/353310
  31. McCubbin, H. I., & Patterson, J. M. (1988).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to crises: A double ABCX model of family behavior. In D. H. Olson & B. C. Miller(eds.). Family studies review yearbook. Beverly Hills, CA: Sage
  32. Ross, C. E. (1995). Reconceptualizing Marital status as a continuum of social Attach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129-140 https://doi.org/10.2307/353822
  33. Seltzer, J. (1991).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who live apart: The father's role after seper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1), 79-102 https://doi.org/10.2307/353135
  34. Spanier, G., & Castro, R. (1979). Adjustment to separation and divorce: A qualitative analysis, In G. Levinger & O. Males(eds.). Divorce and separation: Context causes consequences(pp.211-227), NY: Basic Books
  35. Wang, H., & Amato, P. R. (2000). Predictors of divorce adjustment: Stressors, resources, and defini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655-669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65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