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cised Meander Cutoff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Central Korea

경기${\cdot}$강원 지역 감입곡류 하천의 곡류절단면 분포 특성

  • Lee Gwang-Ryul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Hee University) ;
  • Yoon Soon-Ock (Department of Geography and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Kyung-Hee University)
  • 이광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cised meander cutoff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of Central Korea. The density of meander cutoff is highest in the mountain rivers including Naerin and Dongdae flowing on Jeongseon-gun and Inje-gun of Gangwon Province. Most of meander cutoff process has been occurred repeatedly during the Quaternary period, especially concentrated in the period of climatic change between glacial and interglacial stages. In the aspect of the lithology, the density of cutoff is highest in sedimentary rock, but lowest in igneous rock. As for geological structure, its frequency is high at $11{\sim}20km$ westerly away from the Taebaek Mountains, at subsequent channel, lower part of resequent channel, and channels crossing the fault line. The relation between distance from the Taebaek Mountains and altitude is very obvious at the western side of the Taebaek Mountains. The values of altitude, height from riverbed, and stream order are highest at sedimentary rock and lowest at volcanic rock.

본 연구는 경기, 강원 지역을 대상으로 감입곡류절단 지형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검토하였다. 강원도에서도 높은 산지지역인 정선군 및 인제군을 주로 흐르는 내린천 및 동대천 등의 하천에서 곡류절단면의 분포 밀도가 가장 높았다. 곡류절단의 발생은 제4기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빙기와 간빙기 사이의 기후 변동기에 집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질별로는 퇴적암에서 분포 빈도가 가장 높고, 화성암에서 가장 낮았다. 지질구조로 볼 때, 태백산맥으로부터 서쪽 $11{\sim}20km$ 거리에 가장 많이 분포하며. 적종하천이나 적종하천에 유입하는 지류의 하구부, 즉 단층선에 직교하는 하천에서 곡류절단이 가장 활발하였다. 태백산맥에서의 거리와 해발고도와의 관계는 영서하천에서 매우 뚜렷하고, 하상비고 및 절단면 면적과의 관계에서는 태백산맥에서 서쪽 12km를 기준으로 동서로 갈수록 값이 작아진다. 기반암 종류에 대한 해발고도. 하상비고, 하천차수와의 관계는 공통적으로 퇴적암 지역에서 값이 가장 높으며, 화산암 지역에서 가장 낮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재, 2001, 지형학, 법문사
  2. 손명원, 1996, '하안단구와 태백산지의 지반운동 유형,' 한국지형학회지, 3-1, 45-53
  3. 송언근, 1993,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감입곡류 지형발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송언근, 1998, '동강유역 하안단구와 곡류절단의 지형 발달,' 한국지형학회지, 5(2), 109-130
  5. 윤순옥. 이광률, 2000, '홍천강 중.하류의 하안단구 지형 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5(2), 189-206
  6. 윤순옥. 황상일, 2000,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대한지리학회지, 3(1), 17-38
  7. 윤순옥. 황상일. 반학균, 2003,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정동진, 대진 지역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8(2), 156-172
  8. 이광률, 2003, '사내천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359-372
  9. 이광률, 2004a, '소양강 상류 하안단구의 지형면 특성과 퇴적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9(1), 27-44
  10. 이광률, 2004b, '북한강 하안단구 퇴적층의 풍화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39(3), 425-443
  11. 이광률. 윤순옥, 2003, '홍천강 하안단구의 형성시기별 역 풍화 특성,' 지질학회지, 39(4), 431-444
  12. 이민부. 이광률, 2003, '추가령구조곡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2), 157-173
  13. 최성길, 1995, '한반도 중부동해안 저위해성단구의 대비와 편년,' 대한지리학회지, 30(2), 103-119
  14. Bloom, A.L. and Park, Y.A., 1985, Holocene sea level history and tectonic movement, Quaternary Research, Korea, 24, 77-84
  15. Hooke, J.M. and Redmond, C.E., 1992, Causes and nature of river planform change, in Billi, P., Hey, R.D., Thorne, C.R., and Tacconi, P.(ed.), Dynamics of Gravelbed Rivers, John Wiley & Sons, 557-571
  16. Leopold, L.B., 1994, A View of the R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17. Rhoads, B.L. and Welford, M.R., 1991, Initiation of river meandering,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15-2, 127-156
  18. Schumm, S.A., 1999, Causes and controls of channel incision, in Darby, S.E. and Simon, A.(eds.), Incisied River Channels: Processes, Forms, Engineering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19-33
  19. 崖成吉, 1997, 韓國東海岸における後期更新世段丘地形の發達過程と最終間氷期の海水準, 日本東北大學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 豊島正幸, 1980, '日本と韓園における還流丘陵の分布,' 西村嘉助先生退官記念地理學論文集, 99-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