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etal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Amino Acid in Mulberry Fruits

뽕나무 계통별 오디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 Kim Hyun-Bok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Sun-Lim (National Institute of Cor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ang Seok-Woo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o reveal the possibility as a source of functional food an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mulberry fruits, amino acid analysis with mulberry fruits was carried out with L-8800 Amino acid auto analyzer. We analyzed 16 amino acid components including 6 essential amino acid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ean content of total amino acid was 4,640.8 mg/100 g DW. 'Sabangso(II)' showed the highest total amino acid content (6,919.3 mg/100 g DW) among the fifty accessions tested, whereas 'Gukkwang' showed the lowest content (3,389.1 mg/100 g DW). The distribution rate of amino acid components decreased in the order of Glu ($20.1\%$) > Gly ($12.7\%$) > Asp ($12.5\%$) > Thr ($8.2\%$) > Ala ($7.9\%$) > Arg ($7.5\%$) > Pro ($6.1\%$) > Ser ($6.1\%$) > Val ($5.7\%$) > Leu ($5.3\%$) > Ile ($2.7\%$) > His ($2.5\%$) > Met ($0.9\%$) > Tyr ($0.8\%$) > Lys ($0.7\%$) > Cys ($0.3\%$). 'Sabangso(II)' showed the highest content in 11 amino acid components, which were Glu (1,293.2 mg/100 g), Ser (390.2 mg/100 g), Thr (564.4 mg/100 g), His (175.3 mg/100 g), Arg (590.4 mg/100 g), Lys (53.5 mg/100 g), Gly (589.4 mg/100 g), Ala (499.3 mg/100 g), Leu (481.9 mg/100 g), Ile (240.9 mg/100 g), and Val (407.6 mg/100 g). Tyr and Cys were the highest in 'Jangsosang' (70.8 mg/100 g, 19.3 mg/100 g, respectively), and Asp, Pro, and Met were the highest in 'Jasan(I)', 'Hwansipchosaeng' and 'Palcheongsipyung(I)' (1,098.8 mg/100 g, 364.4 mg/100 g, 68.8 mg/100 g, respectively).

오디는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의 그 가치를 새롭게 인정받고 있으나 음료시장의 새로운 화두로 부각되고 있는 아미노산의 조성 및 함량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뽕나무 계통별로 오디를 수확하여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고 계통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육종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천연식품 소재로서의 이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16종의 구성 아미노산 분석에서 Glu의 분포비율이 $20.1\%$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Gly ($12.7\%$) > Asp ($12.5\%$) > Thr ($8.2\%$) > Ala ($7.9\%$) > Arg ($7.5\%$) 순이었다. 2. 오디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총 평균 함량은 4,640.8 mg/100 g이었으며, '사방소(II)'의 경우 6,919.3 mg/100 g 으로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자산(I). '사방소(I)'이 각각 6,232.6 mg/100 g, 6,037.6 mg/100 g으로 높았다. 반면 '국광'은 3,389.1 m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3. 각각의 아미노산에 있어 계통에 따른 함량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사방소(II)', '장소상', '자산(I)', '팔청시평' 및 '환십조생' 오디는 특정 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계통으로 선발되었다. 4. 오디는 다양한 기능성과 더불어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천연 식품 소재이므로 금후 건강기능제품의 재료로 활용하여 이용성을 증대시키면 국민의 건강증진은 물론 농가의 소득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재식, 김영희, 김명곤, 손희숙 (1989) 양송이, 느타리, 표고버섯의 유리아미노산 및 전아미노산 조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1(1): 58-62
  2. 황진봉,양미옥,신현경 (1998) 약초중의 아미노산 함량 조사. 한국식품과학회지, 30(1): 35-41
  3. 김을상,임경자,박훈,전승규 (1978) 한국 식품중의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I) (쌀 다수확 장려품종의 아미노산 조성). 한국식품과학회지, 10(4): 371-375
  4. 김현복 (2003) 오디와 포도의 안토시아닌 색소 물질 조성 비교 및 C3G 정량. 韓蠶學誌, 45(1): 1-5
  5. 김현복,김애정,김선여 (2003) 오디의 기능성 물질 분석 및 개발 식품 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36(3): 49-60
  6. 김현복, 김애정, 여정숙, 장승종 (2003) 오디 샤베트 아이스크림의 관능적 특성 및 영양성분 분석. 韓蠶學誌, 45(2): 85-89
  7. 김현복,김선림 (2004) 뽕나무 계통별 오디함유 rutin 분석 및 품종변이. 韓蠶學誌, 45(2): 85-89
  8. 김현복, 김선림 (2003) 오디에서 C3G(cyanidin-3-glucoside)의 분리, 동정 및 계통별 함량분석. 韓蠶學誌, 45(2): 90-95
  9. 김현복,김선림,문재유 (2002) 오디 Anthocyanin 색소 정량 및 품종 변이. 韓育誌, 34(3): 207-211
  10. 김현복,김선림,문재유,장승종 (2003) 뽕나무 계통별 오디의 유리당 조성 및 함량. 韓蠶學誌, 45(2): 80-84
  11. 김현복,김선림,성규병,남학우,장승종,문재유 (2003) 뽕나무 계통별 오디종자의 지방산 조성 및 함량. 韓蠶學誌, 45(2): 75-79
  12. 김현복,김선여,류강선,이완주,문재유 (2001) 뽕나무 품종별 오디추출물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韓蠶學誌 43(2): 104-108
  13. 김현복,이용우,이완주,문재유 (2001) 청일뽕 오디를 이용하여 제조된 침출주의 관능평가 및 생리활성연구. 韓蠶學誌, 43(1): 16-20
  14. 김현복,박광준,석영식,김선림,성규병,남학우,문재유 (2002) 횡성군 일대에서 채취한 야생뽕의 형태학적 특성 및 오디의 효능. 韓蠶學誌, 44(1): 4-8
  15. 김현복,류강선 (2000) 뽕나무 품종별 오디가공제품의 관능적 특성. 韓蠶學誌, 42(2)): 73-77
  16. 金美蘭, 高英秀 (1981) 韓國産 개암 種實의 아미노산 組成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13(1): 1-5
  17. 김선림,박남규,손종록 (2004) 작물의 유용성불 분석 및 평가. 제 1부 유용성분 분석. 아미노간 분석법. 사단법인 한국작물학회.작물과학원, pp. 3-16
  18. 金善礪,朴光駿,李杬周 (1998) 뽕나무 오디추출물의 抗炎症,抗酸化 작용에 대한 生理活性 檢索. 藥作誌, 6(3): 204-209
  19. 김태완,권영배,이장헌,양일석,염종경,이희삼,문재유 (1996) 오디의 항당뇨 효능에 관한 연구. 韓蠶學誌, 38(2): 100-107
  20. 한국식품과학회 (2004) 제1회 아미노산 심포지엄 - 아미노산의 건강기능성과 산업적 응용 -
  21. 이철호 (1973) 장류제품의 아미노산 조성과 그 단백질 품질평가에 과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5(4): 210-214
  22. 이완주,김애정,김선여 (2003) 뽕잎의 기능성물질 탐색 및 효과 구명. 식품과학과 산업 36(3): 2-14
  23. 南宮 錫,蘇明煥 (1997) 食品學總論. 進路硏究社,152-165
  24. 朴黨, 梁且範 (1976) 皮麥品種別 精麥中 아미노酸 組成. 한국식품과학회지, 8(3):129-135
  25. 박세원,정이숙,고광출 (1997) 오디 품종간 안토시아닌 정량분석 및 생리활성 검색. 韓園誌, 38(6): 722-724
  26. 농촌진흥청 (2004) 2003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결과 농촌지도사업 활용자료 - III. 축산,농업경영,생활과학,농기계 - 40. 오디를 이용한 손쉬운 냉온차 제조법. pp. 1167
  27.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2001) 식품성분표 제6개정판(2001년) 제 II편
  28. S. L. Kim, H. T. Yun, J. K. Moon, K. Y. Park, Y. H. Lee, and Y. H. Ryu (2004) Variation in Seed Storage Protein among Different Colored Soybean Varieties. Korean J. Crop Sci., 49(2): 141-147
  29. S. L. Kim, S. K. Kim, C. H. Park (2004) Introduction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buckwheat sprouts as s new vegetable.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7: 319-327
  30. 尹聖重,李杬周 (1995) 蠶桑産物中 藥理成分 實用化 硏究 1.뽕잎 중 FlavonoI Glycoside 成分의 品種 및 孝節的 含量 變化. 農業 論次集(.94薄士後 硏修過程), 37: 20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