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oil Depth and Irrigation Period on Some of the Native Plants in and Artificial Substrate of Roof Garden

옥상녹화용 인공배합토에서 토심 및 관수주기에 따른 몇몇 자생식물의 생육특성

  • Bang, Kwang-Ja (Dept. of Environment Plant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ure, Sangmyung University) ;
  • Ju, Jin-Hee (Soonchunhyang University) ;
  • Kim, Sun-Hae (Sangmyung University Industr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 방광자 (상명대학교 환경조경식물자원학부) ;
  • 주진희 (순천향대학교) ;
  • 김선혜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 Received : 2004.11.13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Focusing on native plants that have high possibility of being introduced as rooftop materi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xtensive and easy-to-manage rooftop garden and to raise the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by verifying their growing response to artificial substrate soil depth and irrigation perio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September in 2002. Plants tested included Chrysanthemum zawadskii, Sedium middendorffianum, Thymus quinquecostatus, Allium senescens, and Dianthus superbus. Regarding soil depth, it was 5 cm and 10 cm. Irrigation period was non-irrigation, 1-week, 2-weeks, and 3- weeks, Its result is as follows; 1. In case of Sedum middendorffianum Maxim, mortality rate was 0% regardless of soil depth and irrigation period making it very suitable material for rooftop garden. 2. In case of Allium senescens L., mortality rate was 0% regardless of soil depth and irrigation period making it very suitable material for rooftop garden. Therefore, Provided that fertilizing is managed well, it is a plant that can be highly utilized.3. In case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 Subsp. (Nakai) Y. Lee Stat., the growth of top was lower in 10cm than in 5cm and it grew well in 10cm. When utilizing for rooftop garden, it would be desirable to keep minimum viable soil depth at over 10cm. If there is enough rainfall, soil and soil depth seem to have greater effect on growth than irrigation period does. 4. In case of Diauthus sup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 rooting rate and growth were better in 10cm than in 5cm.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keep minimum soil depth at over 10cm. 5. In case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the growth of top and flowering were better in 10cm than in 5cm. Therefore, it seems desirable to have minimum viable soil depth to be over 10cm. In conclusion, the most suitable species for rooftop garden are Sedium middendorffianum and Allium senescens in this experiment. However, Chrysanthemum zwadskii, Thymus quinquecostatus, and Dianthus chinensis also can be utilized greatly when irrigation is managed regularly in artificial mixed soil over 10cm.

본 연구는 경량형 옥상조경 소재로 도입가능성이 높은 자생식물을 중심으로 인공배합토에서 토심과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을 검증함으로써 경량이면서 저관리형의 옥상조경을 실현하고 자생식물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심과 관수주기에 상관없이 생육이 양호하였던 수종은 애기기린초(Sedum middendorffianum Maxim)와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로 고사율 0%로 나타나 토심 5cm의 무관수의 조건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한 소재라 판단된다. 또한 두메부추는 토심 5cm에서 건물률이 높아 충실한 생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엽록소 측정을 통한 관상가치에서는 토심 10cm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관상가치를 고려한다면 토심 10cm 이상의 옥상녹화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2. 한라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Herb. Subsp. Coreanum (Nakai) Y. Lee Stat.)와 술패랭이(Diauthus sup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는 토심 5cm에서 고사율이 높았으며 생육이 저조하였다. 관수는 토심이 5cm인 경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에서도 양호한 생장을 하였다. 따라서 무관수의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10cm 이상의 토심을 조성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목본류인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은 토심 5cm에서 무관수이거나 3주간의 관수주기에서 90% 이상 고사하였으며 최소 1주간격으로 관수하였을 경우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특히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일 경우에도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심 10cm에서 저관리 옥상녹화의 조성에 도입 가능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한 수종은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도입할 경우 최소 토심 10cm가 적정하며 5cm 이하의 토심에서는 최소 2주일에 1회 이상의 관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심 5cm에서도 애기기린초(Sedium middendorffianum)나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와 같은 수종을 도입하였을 경우에는 초경량 저관리의 옥상녹화 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생초화류을 중심으로 토심과 관수와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앞으로 다양한 토양과 수종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인공배지에서의 적정시비량과 저토심에서의 목본류에 대한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