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Irrigation Interval, Medium Composition and Drainage on the Growth Response of Korea Native Fern Rumohra aristata at Indoor

실내에서 관수주기, 상토종류, 배수층의 유$\cdot$무에 따른 자생 가는쇠고사리의 생육반응

  • Ju, Jin-He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
  • Bang, Kwang-Ja (Division of Plant Science & 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 주진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
  • 방광자 (상명대학교 환경조경식물산업학부)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It was aimed to promote as a material for interior landscape by validating Rumohra aristata, in an indoor environment, especially irrigation interval, medium composition and drainage at indoor. 1. The result of physico-chemical analysis of medium composition showed that porosity, pH and Ex-Ca, Ex-Mg and Ex-K were high with peatmoss: vermiculite: perlite(1:1:1) and water contents,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high with sand: leaf mold(1:1). 2. Growth and indoor adaptability of Rumohra aristata were better with irrigation at 2 interval per week than irrigation at 7 interval per week regardless of drainage. 3. In the case of medium composition, of growth and indoor adaptability were higher with sud: leaf mold (1:1) than peatmoss: vermiculite: perlite(1:1:1). 4. Fronds fresh weight and dry weight decreased when irrigation interval increased and were higher with sand: leaf mold(1:1) than peatmoss: vermiculite: perlite(1:1:1) treatment.

본 연구는 실내에서의 관수주기, 상토종류, 배수층의 유$\cdot$무에 따른 가는쇠고사리의 생육을 살펴봄으로써 실내조경용 식물소재로 활용 및 관리 방법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관수주기는 주 2회와 주 7회로 처리하였으며 배수층은 각 관수주기 처리별로 500mm 깊이의 마사토로 처리하였다. 상토는 자연토인 마사토:부엽토=1:1와 인공토인 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1:1:1을 사용하였다. 1. 2가지의 상토의 화학적인 특징을 분석한 결과 토양산도, 치환성 양이온함량은 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1:1:1 처리에서, 전기전도도,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전질소함량, 양이온치환용량은 마사토:부엽토=1:1 처리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2. 관수주기에 있어 주 2회 관수처리가 주 7회 관수처리보다 가는쇠고사리의 생육과 실내 적응성이 높아 양치식물이 높은 수분환경을 선호함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관수는 바람직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3. 상토에 다른 가는쇠고사리의 생육과 실내 적응성은 마사토:부엽토=1:1 처리가 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1:1:1 처리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실내에서는 자연토의 하중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추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경량의 인공토양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4. 배추층의 유$\cdot$무에 의한 가는쇠고사리의 생육결과, 주 2회 관수처리에서는 배수층에 유$\cdot$무에 따른 생육적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주 7회 관수처리에서는 배수층이 있는 처리구가 생육과 실내 적응성이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병화(1994) 화훼원예총론. 서울: 항문사
  2. 곽순옥(2000) 자생화에 대한. 서울지역 시민들의 인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봉찬(1995) 제주도 양치식물에 관하여. 식물원협회지 4:30-35
  4. 농촌기술연구소(1998) 토양화학분석법. 수원: 농촌기술연구소
  5. 방광자, 주진희(2002) 실내 습도조건이 가는쇠고사리, 석위의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2):34-38
  6. 방광자, 주진희, 한승원(2004) 차광정도에 따른 자생 더부살이 고사리의 생육변화. 한국조경학회지 31(6): 73-76
  7. 이종석, 방광자(2002) 실내조경학. 서울: 도서출판 조경
  8. 안영희, 김봉찬, 이택주(1996) 자생양치식물의 원예작물화를 위한 기초연구: 서식지, 답사 및 수집에 ㄷ의한 생태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원예학회춘계발표요지 pp. 452-453
  9. 임선욱, 류순호(1995) 토양비료.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0. 윤평섭(1999) 실내원예조경의 현황과 방향. 한국실내조경협회지 1(1): 1-16
  11. 주진희, 방광자(2003) 차광처리가 자생 상록양치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내조경협회지 5(1): 33-39
  12. 허근영, 강호철, 김인혜, 심경구(2002) 소성 점토다공체 및 코코넛 피트를 혼합한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0(5): 107-115
  13. 최계회(2000) 몇 가지 고사리과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실내 온도와 습도의 영향.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Brady, N. C., and R. R. Weil(1996)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11th Ed.). New Jersey USA: Prentice-Hall, Inc
  15. Hoshizaki, B. J., and R. C. Moran(2001) Fern grower's manual. Timber Press. Inc. pp. 25- 37
  16. Kondure, S., M. R. Evans. and R. H. Stamps(1999) Coconut husk and processing effects 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conut coir dust. HortScience 34: 88-90
  17. Yeh, D. M., and H. M. Wang(2000) Effects of irradiance on growth, net photosynthesis and indoor performance of the shade-adapted plant. maidenhair fern. J. Hort. Sci. Biotech. 75(3): 296-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