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ristic Characteristics and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Woraksan National Park

월악산국립 공원의 식물구계학적 특성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종

  • Lim Dong-Ok (Department of Life Sciences, Honam University) ;
  • Kim Yong-Shik (Faculty of Natural Resources,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 Hwang In-Chun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 임동옥 (호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 김용식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자연자원학부) ;
  • 황인천 (호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Based on the specific plant species for environmental assesmen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MoE), a total of 68 taxa were identified; 29 taxa for the floristic degree(FD) I, 12 taxa for the FD II, 11 taxa for the FD III, 9 taxa for the FD IV and 6 taxa for the FD V. The endangered plant species, in Woraksan National Park, such as Lilium cernum and Berchemia berchemiaefolia are categorized as the Conservation Degree (CD) II which is designated by the MoE. Th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such as Crypsinus hastatus, Lilium cernum, Berchemia berchemiaefolia, Lilium callossum, Gastrodia elata, Aristolochia contorta, Koelreuteria paniculata, Rhododendron tschonoskii, Scopolia japonica, Cypripedium macranthum, Paeonia japonica and Thymus quinquecostatus including 12 plant taxa are categorized as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by the Korea Forest Service.

월악산국립공원지역에 분포하는 식물 중에서 환경부 지정의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종은 I등급에 29분류군, II등급에 12분류군, III등급에 II분류군, IV등급에 9분류군 및 V등급에 6분류군 등 총 6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 동$\cdot$식물 II급종은 솔나리와 망개나무 2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 물은 고란초, 솔나리, 망개나무, 땅나리 , 천마, 쥐방울덩굴, 모감주나무, 흰참꽃, 미치광이 풀, 개불알꽃, 백작약 및 백리향 등 12분류군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준(1996) 월악산의 식물생태계 pp 35-101. In: 월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2. 강상준, 김홍은, 이희선(1988) 월악산 산림군집의 분포와 환경경도 분석. 충북대 자연과 연구. 1: 75-84
  3. 국립공원관리공단(1996) 월악산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pp. 218
  4. 김용식, 김태욱(1990) 한국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보전과 식물원 및 수목원의 역할.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연구보고 11: 1-37
  5. 김철환(2000) 자연환경성평가-.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 18(1): 163-198
  6. 박만규(1975) 한국식물중 절멸 또는 그 위기에 있는 것과 희귀종에 관한 조사연구. 자연보존 8 특집호: 3-24
  7. 산림청(2005. 2) http://www.foa.go.kr/
  8. 양인석(1978) 윌악산 및 주홀산 일대의 쌍자엽식물(초본)상. 한국자연보본협회 조사보고서. 15: 77-90
  9. 이덕봉(1959) 희귀식물 2종의 신분포지. 식물학회지 2: 27
  10. 이방흔, 배정오, 정무웅, 고강석, 김은식, 김동호, 허인애, 이준배, 차병진, 이창복, 정영호, 이우철, 이정석, 김삼식, 김윤식, 이은복, 김재봉(1990) 특정야생동식물 보존대책 연구(I). 국립환경연구원보 12: 237-254
  11. 이영노(1981) 한국의 희귀 및 위기식물. 한국의 희귀 및 위기 동식물 pp153-271
  12. 이영노, 오용자(1978) 주흘산과 월악산의 단자엽식물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5: 91-98
  13.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1-33
  14. 이유미, 이원렬(1996)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도감. 산림청 임업연구원. 서울 pp. 255
  15. 이창복(1978) 월악산 및 조령계곡의 목본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5: 57-75
  16. 이창복(1987) 우리나라 희귀식물의 분포 현황과 보전대책. 자연보전 59: 15-21
  17.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상권) 914p., (하권) 910p
  18. 환경부(1998)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 대통령령 제 15639호
  19. 환경부(2001)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의 지정현황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전협회 연구보고서
  20. 환경처(1993) 특정야생동식물 지정 고시 제93-5
  21. 환경청(1989) 특정 야생동식물 지정 고시 제 89-5
  22. 환경부(2005) http://www.me.go.kr/
  23. 현진오. 2001. 한반도 보호식물의 선정과 사례연구. 순천향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88쪽
  24. Takthajan A.(1986)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Univ. Califonia press. Lo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