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between Tex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Jurassic Unagsan and Cretaceous Sogrisan Granites

쥬라기 운악산 및 백악기 속리산 화강암류의 조직과 물성과의 관계

  • Yun Hyun-Soo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Park Deok-Won (Groundwater & Geotherm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Hong Sei-Sun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Kim Ju-Yong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Yang Dong-Yoon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Chang Soobum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Development Project Team)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박덕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장수범 (한국석유공사 개발사업팀)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Unagsan and Sogrisan granit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Gyeonggi massif and middle Ogcheon belt, respectively, and they show different petrologic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 former has compact textures and light grey colors, and the latter has spotted miarolitic textures and pink colors. Most of the samples selected for tests are fresh and coarse-grained. And bored core samples were prepared so that they are vertical to the rift plane. The results of modal analysis show that Unagsan granite has significantly higher quartz and plagioclase contents (Qz+Pl) than Sogrisan granite. In contrast, alkali feldspar content (Af) of Sogrisan granite is much higher than that of Unagsan granit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light grey colors of Unagsan granite are due to relatively high Qz+Pl, and the pink colors of Sogrisan granite are caused by higher Af. Fractures in Sogrisan granite have strongly perpendicular strike patterns and more dip values close to vertical compared with the fractures in Unagsan granite. Results of the fracture pattern analysis suggest that the Sogrisan granite has better potential to produce dimension stones than the Unagsan granite. However, miarolitic textures often found in the Sogrisan granite may be one of the factors reducing the granite quality. The Unagsan and Sogrisan granites have similar specific gravity values of 2.60 and 2.57, respectively. Absorption ratios and porosity values of Sogrisan granite are higher than those of Unagsan granite, and they shows linearly positive correlations.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s of the Unagsan granite a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Sogrisan granite. These differences and variation trends found in physical properties of Unagsan and Sogrisan granite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the textures of Unagsan and Sogrisan granites, namely compact and miarolitic textures respectively. For Unagsan granite,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rosity but for Sogrisan granite no specific correlations are found. This is probably due to the irregular dispersion patterns of miarolitic textures formed during the later stages of magmatic processes. Contrary to the trends found in absorption ratios, both granites have similar values of abrasive hardness, which can be explained by higher Qz+Af of the Sogrisan granite than those of the Unagsan granite and that quartz and alkali feldspar have relatively larger hardness values. For Sogrisan granite, compressive strength shows sligh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Qz+Af+Pl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iotite and accessory mineral contents (Bt+Ac).

연구대상인 운악산과 속리산 화강암류는 각각 경기육괴 북부인 운악산과 옥천대 중부인 속리산 일대에 대규모로 분포한다. 전자는 쥬라기의 석류석 흑운모화강암으로 담회색이 우세하며 치밀조직을, 후자는 백악기의 흑운모화강암으로서 홍색을 띠며 공동구조를 이룬다. 자료의 균질성을 얻기 위하여 시료의 입도는 거의가 조립질 그리고 암석판정상 신선한 암석 을 택하였다. 그리고 공시체는 모두 일번 결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작하였다. 주성 분광물은 모우드 값에서 큰 차이를 보여 전자는 석영+사장석이, 후자는 알칼리장석이 각각 뚜렷 이 증가하며 이로 인하여 각각 담회색과 홍색을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열극의 주향은 전자보다 후자에서 직교하는 경향이 더 뚜렷하며 경사는 수직에 가까운 것들이 후자에서 크게 증가하여, 전자보다 후자에서 규격석이 산출이 더 많을 것으로 해석된다. 후자에 종종 수반되는 공동구조가 암질을 저하시키는 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운악산과 속리산 화강암류의 비중은 각각 2.60과 2.57의 값을 가진다. 흡수율과 공극율은 뚜렷한 정의 관계를 이루며, 이들 값은 전자보다 후자에서 각각 두 배 정도로 증가한다. 이러한 물성 값의 차이와 변화경 향은 전자와 후자에 각각 발달하는 치밀조직과 불규칙하게 배열하는 대소의 공동조직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압축강도는 그 값이 후자보다 전자에서 대부분 증가하며, 인장강도는 그 값이 후자보다 전자에서 뚜렷이 증가한다. 공극율은 전자에서 압축 및 인장강도에 뚜렷한 부의, 그리고 후자에서 모두 높은 분산도에 의하여 상관성 결여되는 경향을 이룬다. 이는 전자보다 천부 정치암인 후자에서 후기 마그마 산물로 형성된 공동구조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자와 후자의 마모경 도는 공극율과 달리 서로 비슷한 범위와 평균값을 가지며, 이는 도가 강한 석영+알칼리장석 모우드 값이 후자에서 다소 증가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전자와 달리 후자의 압축강도는 주성분과 부성 분광물에 따라 각각 증가 및 감소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영, 윤지선, 전기찬, 1996, 서울 화강암의 전단강도 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3, 282-290
  2. 김형식, 임병조, 정명현, 1978, 화강암질암류의 압축강도와 그 입도 및 광물성분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4, 175-185
  3. 박덕원, 1989, 물성에 의한 석재의 품질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4p
  4. 박덕원, 1995, 중생대 화강암에 발달된 결의 역학적 특 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1p
  5. 박덕원, 김형찬, 이창범, 홍세선, 장세원, 이철우, 2004, 포천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 발달된 결의 특성. 암석학회지, 13, 133-141
  6. 박덕원, 서용석, 정교철, 김영기, 2001, 주라기 화강암에 발달하는 결의 현미경학적 분석. 대한지질공학 회, 11, 51-62
  7. 소칠섭, 최병열, 1975, 경상계 퇴적암의 공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8, 203-210
  8. 소칠섭, 최병열, 1975, 암석역학적으로 고찰한 서울화강암의 절리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1, 233-239
  9. 이병대, 장보안, 윤현수, 이한영, 진명식, 1999, 문경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미세균열 발달특성. 암석학 회지, 8, 24-33
  10. 윤현수, 1994, 문경지역 담홍색 화강암 코아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암석학회지, 3, 234-240
  11. 윤현수, 1997, 포천-의정부지역 화강암 석재자원의 암석학적 특성연구. 암석학회지, 6, 34-44
  12. 윤현수, 김선억, 1990, 문경남부일대에 분포하는 백악 기 화강암의 암석학 및 암석화학. 광산지질, 23, 343-352
  13. 윤현수, 박용순, 이춘오, 이병대, 김경수, 1993, 문경-상주사이에 분포하는 화강암 석재의 암석학적 특성. 암석학회지, 2, 32-40
  14. 윤현수, 홍세선, 이윤수, 2002, 포천-기산리 일대에 분 포하는 쥬라기 대보화강암의 암석 및 암석화학. 암 석학회지, 11, 1-16
  15. Bell, F.G., 1978,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ell sandstones, Northumberland, England. Engineering Geology 12, 1-29 https://doi.org/10.1016/0013-7952(78)90002-9
  16. Bowells, O., 1934, The stone industries. McGraw-Hill Book Comp., 493p
  17. Daly, R.A., Manger, G.E. and Clark, Jr. S.P., 1966, Density of rocks. In Handbook of physical constants( ed. S.P. Clark, Jr.), Geol. Soc. Am. Mem., 97, 20-26
  18. Dixon, H.W., 1969, Decomposition products of rock substances, proposed engineering geological classification. Rock Mechanics Symp., Stephen Roberts Theatre, Univ. Sydney, 39-44. j.m
  19. Duncan, N, 1969, Engineering geology and rock mechanics. Leonard Hill, 252p
  20. GMIK(Geology and Mineralogy Institute of Korea), 1973, 1/250,000 Seoul geological map of Korea. GMIK, Korea
  21. Fahy, M.P., Guccione, M.J., 1979, Estimating strength of sandstones using petrographic thin-section data. Bull. Assoc. Eng. Geol., 16, 467-485
  22. Gunsallus, K.L., Kullhawy, F.H., 1984, A comparative evaluation of rock strength measures. Int. Assoc. Bull. Eng. Geol., 21, 233-248
  23. Hudson, R.D. and Priest, S.D., 1979, Discontinuity spacings in rock. Int. Jour.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13, 135-148
  24. Hunt, R.E., 1984, Geotechnical engineering investigation manual. McGraw-Hill Book Comp., 331-336
  25. Irfan, T.Y., 1996, Mineralogy, fabric properties and classification of weathered granites in Hong Konk. Quater. Jour. Eng., 29, 5-35
  26. Klein, C. and Hurlbut, C.S., Jr., 1985, Manual of mineralogy. John Wiley & Sons, 596p
  27. Nelson, R.A., 1985, Geologic analysis of naturally fractured reservoirs. Gulf Pub. Comp., 721p
  28. Kwon, S.T., Cho, D.L., Lan, C.Y., Shin, K.B., Lee, T. and Merzman, S.A., 1994,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the Seoul granitic batholith. Jour. Petrol. Soc. Korea, 3, 109-127
  29. Osborne, F.F., 1935, Rift, grain, and hardway in some Precambrian granites, Quebec. Econ. Geol., 30, 540-551 https://doi.org/10.2113/gsecongeo.30.5.540
  30. Shakoor, A. and Bonelli, R.E., 1991, Relationship between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engineering index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elected sandstones. Bull. Int. Assoc. Eng. Geol., XXVIII, 55-71
  31. Tugrul, A. and Zarif, I.H., 1998, Correlation of mineralog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with engineering properties of selected granitic rocks from Turkey. Eng. Geol., 303-317
  32. Twidale, C.R., 1982, Granite landforms. Elsevier Sci. Pub. Comp., 372p
  33. Winkler, E.M., 1973, Stone: properties, durability in man,s environment. Springer-Verlag, 230p
  34. Wise, D.U., 1964, Microjointing in basement, middle Rocky mountains of Montana and Wyoming. Geol. Soc. Amer. Bull., 75, 287-292 https://doi.org/10.1130/0016-7606(1964)75[287:MIBMRM]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