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ubsidence Mechanism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Program

지반침하 메커니즘 분석 및 평가 프로그램 개발

  • 최성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전양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박의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정용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천대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Surface subsidence which occurs with several reasons, such as collapse of gangway, discharge of groundwater, compaction of weak rock mass, and tunnel excavation in shallow depth, gives rise to a serious problem in national infra-structure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mechanism of subsidence has been examined numerically to overcome the passive approach on subsidence occurrence area. With many kinds of numerical studies, the major geotechnical parameters have been selected and the weighted values have been defined for each parameters. Also the authors developed the numerical program which can estimate the possibility of subsidence occurrence, and proposed the decision method for objective and quantitative guidelin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the hazard map on subsidence region.

지하채굴적의 함몰, 지하수의 무분별한 양수, 연약지반의 압밀 및 얕은 심도에서의 지하굴착 등의 원인으로 기인하는 지반침하는 국가 기간망에 심각한 안전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인구밀집 지역에서는 가옥 및 기타 시설물의 붕괴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국민의 생활권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반침하가 발생한 이후 조사와 보강작업이 실시되는 기존의 수동적인 접근법을 탈피하고 지반침하를 예측하여 피해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 지질조건에 부합하는 지반침하의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으며, 지반침하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들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각 요인들의 가중치를 점검, 합리적인 판단 기준을 제시코자 하였으며, 지반침하 발생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이러한 가중치를 접목시킴으로써 지반침하 발생가능성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과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지질학적 분포 현황과 같은 자연적인 조건과 지하채굴적 및 양수 현황 등과 같은 인공적인 조건들을 결부시켜 추후 전 국토에 대한 지반침하 재해 위험지도를 작성함으로써 지반침하 발생 가능성을 억제하고 그 피해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어촌진흥공사, 1998, 지하수환경재해 사례집, 188p
  2. 이정인, 문현구 외, 1997, 탄광지역 지반 침하 메카니즘 및 침하 방지공법에 관한 연구,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연구보고서, 292p
  3. 장윤호 외, 1999, 삼척탄전 지반침하 실태 분석 및 향후 대책,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연구보고서, 257p
  4.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1995, 가은지역 지반침하 조사 및 보강공사 보고서 95-03
  5.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1995, 철암지역 지반침하 조사 및 보강공사 보고서 95-04
  6.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1996, 화전지역 지반안정성 조사 96-04
  7.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1996, 고사리지역 지반안정성 조사 96-02
  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85, 지반침하 방지공법에 관한 연구, pp. 1-70
  9. 한국지반공학회, 1997, 지반공학시리즈6 - 연약지반, 구미서관, 521p
  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2, 지반침하 방지 및 폐갱도 활용기술 개발연구, KR-02(C)-15
  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4, 지반침하재해저감기술개발, 국책연구개발사업 보고서
  12. 한국토지공사, 1999, 연약지반의 압밀특성에 관한 연구, 935p
  13. Boscardin, M. D., Cording, E. J. and O'Rourke, T. D., 1978, Case studies of building behavior in response to adjacent excav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pp. 1-3-3-32
  14. Cundall, P.A. and Strack, O.D.L., 1979, A discrete numerical model for granular assembles, Geotechnique, 29:47-65 https://doi.org/10.1680/geot.1979.29.1.47
  15. NCB, 1965-1975, Subsidence engineer's handbook, National Coal Board, London
  16. Pao Y. H., 1989,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and neural networks, Addition-Wesley
  17. Terzaghi, K., 1925, Principles of soil mechanics, IVSettlement and consolidation of clay: Engineering News Record, 95(3), p. 874-878
  18. USGS, 1999, Land Subsidence in the United states-USGS Circular 1182, 17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