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ussions on the Distribution and Genesis of Mountain Ranges in the Korean Peninsular (II) : The Proposal of 'Sanjulgi-Jido(Mountain Ridge Map)‘

한국 산맥론(II): 한반도 '산줄기 지도'의 제안

  • Park Soo Jin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 IL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수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손일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In recent years, there are strong social demands to characteri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anjulgi-Jido(mountain ridge map)' that might be used not only to satisfy these social demands but also to effectively presen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and drainage basins in the Korean Peninsular. The 'Sanjulgi-Jido'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map that presents the continuity of mountains based on the drainage divides that are delineated by a pre-defined drainage basin size and elevation. This study first validated the Bakdudaegan system through the analyses of a digital elevation model. The Bakdudaegan system has long been recognized as the Koreans traditional conceptual framework to characteri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Bakdudaegan system has several problems to represent the mountain systems in Korea, which includes 1) the lack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drainage basins, 2) inaccuracy to depict the boundary of drainage basins, 3) the lack of representativeness of mountains, and 4) geo-polical issue that confines the spatial extent of mountain systems within the Korean Peninsular. In order to represent the mountains system in a more quantitative manner, we applied several terrain analysis techniques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and drainage basins. Based on these analyses, we developed an hierarchical system to classify the continuity (If mountains, which are presented a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rainage divides with a certain elevation. The first-order Sanjulgi is the drainage divides whose drainage basin are bigger than $5,000km^2$ and the point elevation is above 100m. The next order Sanjulgi is delineated as the size of drainage basin is successively divided by two. This kind of design is able to provide a logical framework to present the mountain systems at different detail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scale of maps. We also provide several empirical functions to calculate various geomorphological indices for each order of Sanjulgi. The 'Sanjulgi Jido' is similar with the Bakdudaegan system, since it characterizes the continuity of mountains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rainage divide. It, however, has more scientific criteria to define the scale and continuity of mountains.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the 'Sanjulgi Jido' proposed has different logical and methodological background, compared with the mountain range map that explains the genesis of mountain systems in addition to the continuity of mountains.

최근 한국 사회에는 산지의 공간적 연속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사회적인 요구가 높다. 이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한반도의 산지와 유역분수계의 공간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산줄기 지로'의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산줄기 지도'란 지표면에서 일정한 고도를 가지면서 산으로 인식될 수 있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을 표시한 지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 사회에서 전통적인 산지 인식체계로 알려져 있는 백두대간 체계가 한반도의 산지특성과 유역분수계를 얼마나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는지 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백두대간 체계는 유역분수계의 특성을 파악하거나 산지의 연속성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목적에 사용되기에는, 1)유역분수계 구분의 대표성 결여, 2)유역분수계 표현의 부정확성, 3) 산지 표현의 대표성 결여, 그리고 4) 지정학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등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한반도의 산지와 유역분수계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한반도의 산지 분포를 유역분수계의 관점 에서 계층화하여 산줄기 지도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산줄기 지도에서는 한반도에서 유역 면적이 $5,000km^2$ 이상 되는 유역분지의 분수계 중에서, 고도가 100m 이상이 되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을 1차 산줄기로 규정하였다. 그 다음 차수의 산줄기들은 기준 유역면적을 매 차수마다 반분하여 산줄기를 그릴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차수의 산줄기 가 표현할 수 있는 각종 지형학적 특성을 제시하는 경험공식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반도 전체 산줄기 의 분포와 특성을 필요한 목적과 표현하려는 지도의 축적에 따라 계층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지도는 유역분수계에 근거했다는 점에서 산경표의 산줄기 체계와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나, 근대 지형학의 관점에서 산지의 규모와 연속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제시된 산줄기 체계는 산지의 형성작용과 그 과정을 설명하는 교육적인 모형인 산맥체계와 뚜렷이 구별된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표.임은선.김연준, 2004,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 산줄기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 김영표, 2005, '다시찾은백두대간', 과학동아, 2005년2월호
  3. 대한지리학회, 2005, 국토연구원의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 와 일방적인 유포에 관한 대한지리학회의 입장, 대한지리학회보, 85, 3-6
  4. 박수진, 2004, '생태환경특성파악을 위한 지형분류기법의 개발,' 대한지리학회지, 39(4), 495-513
  5. 박수진.유근배, 2004, '지형학적 공간구조의 해석을 위한 DEM의 최적격자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1(3), 1-29
  6. 박수진.손일, 2005, '한국 산맥론(I) : DEM을 이용한 산맥의 확인과 현행 산맥도의 문제점 및 대안의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40(1), 126-152
  7. 북한과학원 지리학연구소, 1999, 조선의 산줄기, 과학기술 출판사
  8. 손일, 2002, '태백산맥이냐, 백두산맥이냐?' 지식정보사회 의 지리학 탐색(박삼옥 편), 한울아카데미, 51-84
  9. 손일, 2005, 새산맥지도: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하고 있 다,' 과학동아, 2005년 2월호
  10. 신준환, 2004,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과정과 복원 방향,' 한국의 전통생태학(이도원 편), 사이언스 북스, 104-135
  11. 양보경, 1993, '조선시대의 자연인식체계,' 한국사 시민강좌, 14, 일조각
  12. 이도원, 2004, '생태학은 옛사람의 삶안에 있다,' 한국의 전통생태학(이도원 역음), 사이언스 북스, 18-47
  13. 이도원.신준환.강신규, 2003, '백두대간 체계안에 내포된 유역개념과 문제점,' 한국생태학회지, 24, 215-221
  14. 이우형, 1993, 우리땅의 산과 산줄기고 - 조선시대 산경표 와 고지도에 의한-, 광우당
  15. 전상운, 1976, 한국과학기술사, 을유문화사
  16. 최창조, 1984,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7. 현진상, 2000, 한글 산경표 : 우리나라는 산에도 족보가 있다, 풀빛
  18. Bates and Jacksons, 1968,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19. Bloschl, G. and Sivapalan, M., 1995. Scale issues in hydrological modelling: a review, Hydrological Processes, 9, 313-330 https://doi.org/10.1002/hyp.3360090307
  20. Casti, J.L., 1994, Complexificaton, HarperCollins
  21. Chorley, R. J., 1969, The drainage basin as the fundamental geomorphic unit, in R. J. Chorley(ed.), Introduction to Physical Hydrology, Methuen & CO LTD
  22. Conrad. O., 1998. DiGem-Software for digital elevation model. Ph.D. Thesis(in German), University of Goettingen, Germany
  23. Costa-Cabral, M.C. and Burges, S.J., 1994. Digital elevation model networks (DEMON): a model of flow over hillslopes for computation of contributing and dispersal area, Water Resources Research, 30, 1681-1692 https://doi.org/10.1029/93WR03512
  24. Fairbridge, R. W., 1968, The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Reinhold Book Corporation
  25. Fuchs, V., 1985, Oxford Illustrated Encyclopedia: The Phy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6. Gallant, J.C. and Wilson, J.P., 2000. Primary topographic attributes. in J.P. Wilson and J.C. Gallant(eds.), Terrain Analysis: Principles and Application, John Wiley and Sons, 51-86
  27. Gibson, C., Ostrom, E. and Ahn, T.K., 1998, Scaling issues in the social sciences, IHDP Working Paper, No.1, IHDP
  28. Gregory K.J. and Walling D.E., 1973, Drainage Basin Form and Process: A Geomorphological Approach, Edward Arnold
  29. Hollings, C.S. 1993. Cross-scale morphology, geometry and dynamics of ecosystems, Ecological Monographs, 62, 447-502 https://doi.org/10.2307/2937313
  30. Hutchinson, M.F. and Dowling, T.I., 1991. A continental hydrological assessment of a new grid-based digital elevation model of Australia. Hydrological Processes, 5, 45-58 https://doi.org/10.1002/hyp.3360050105
  31. Mandelbrot, B.B. 1982, Fractal Geometry of Nature, Freeman, New York
  32. Moore, I.D., Turner, A.K., Wilson, J.P., Jenson, S.K. and Band, L.E., 1993. GIS and land surfacesubsurface modeling, in M.F. Goodchild, B.O. Parks and L.T. Steyaert(eds.), Environmental Modeling with GI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6-230
  33. Rodriguez-Iturbe, I. and Rinaldo, A., 1997, Fractal River Basin: Change and self-organ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34. Tarboton, D.G., 1996. Fractal river networks, Horton's laws and Tokunaga cyclicity, Journal of Hydrology, 187, 105-117 https://doi.org/10.1016/S0022-1694(96)03089-2
  35. Tarboton, D.G., 1997.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s and upslope areas in grid digital elevation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33, 309-319 https://doi.org/10.1029/96WR03137
  36. Zhang, W.H. and Montgomery, D.R., 1994. Digital elevation model grid size, landscape representation, and hydrologic simul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30, 1019-1028 https://doi.org/10.1029/93WR03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