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pacing and Main Branch Length on the Productivity of Mulberry Fruits and Growth of Mulberry

뽕나무 식재거리 및 원가지길이가 오디 수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 Sung, Gyoo-Byung (Dep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Hong, In-Pyo (Dep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Kim, Hyun-Bok (Dep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Nam, Hak-Woo (Dep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성규병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홍인표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김현복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남학우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As mulerry fruit has been increasingly evaluated as desirable for use in fresh and processed food and drink such as jam, juice and mulberry wine, opportunities for using the mulberry plant as a fruit sources have grown. With the demand for the mulberry fruits, mulberry fields for the production of mulberry fruits are increasing. To establish the mulberry cultivation methods for mulberry fruits production, effects of spacing and branch length on the productivity of mulberry fruits and growth of mulberry were studied.

오디 생산을 위한 재배법 개발을 위하여 원줄기 길이 1m로 하여 원가지를 3~5개 정도로 유지하는 중간만들기 수형으로 유지하였다. 이 때 뽕나무 재배에 적합한 식재거리는 2${\times}$1 m(500주/10a)로 하는 것이 2${\times}$1.5 m(333주/10a)에 비하여 주당수량은 약간 적으나 식재 주수가 많아 단위면적당 수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가지 길이를 30, 50, 70 및 90 cm로 한 경우 90 cm 처리구에서 오디의 수량이 가장 많았다. 원가지 길이별 주당 가지수는 원가지 길이가 길수록 가지수가 많았으며, 10a당 가지량 및 엽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식재 거리별 주당 가지수는 식재거리가 넓을수록 가지수가 많았고, 10a당 가지량 및 엽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최동룡, 김선규(1995) 정지방법과 재식밀도가 양조용 포도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韓園誌. 36(3): 343-353
  2. 장준택, 고광출(1985) 하지전정 정도와 질소수준이 사경재배 사과나무의 생장과 수체내 성분에 미치는 영향. 韓園誌. 26(2): 132-139
  3. 조명동, 김기열, 김점국, 김성봉 (1985) 복숭아나무 도장지의 하계절단정도가 신초재신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원예). 27(2): 26-31
  4. 김현복, 김애정, 김선여 (2003) 오디의 기능성 물질 분석 빛 개발식품 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36(3): 49-60
  5. 김용호, 崎山亮三(1996) 하우스 멸감에 있어서 전정시기가 화아분화 및 착과량에 미치는 영향. 국제농업개발학회지. 8(1): 53-59
  6. 김현복, 성규병, 홍인표, 남학우 (2004) 뽕나무 유전자원의 과실적 특성 및 오디 생산용 우량계통 선발. 韓蠶學誌. 46(1): 6-11
  7. 김현복, 성규병, 홍인표, 정인모, 남학우 (2004) 오디 유망 뽕품종 선발. 농업생물부 시험연구보고서. pp.529-535
  8. 고광출(1994) 뽕나무 과실의 과수화와 이용기술 연구(1) 뽕나무 과수화 기초연구-농업특정연구개발사업보고서 농촌진흥청
  9. Koyama Akio, Hiroaki Yamanouchi and Horoaki Machii (2001) Screening of mulberry genotypes suitable for fruit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high yielding strains with large fruitis. JARQ. 35(1): 59-66 https://doi.org/10.6090/jarq.35.59
  10. Machii Horoaki, Akio Koyama and Hiroaki Yamanouchi (1999) Fruit traits of genetic mulberry resources. J. Seric. Sci. Jpn. 68(2): 145-155
  11. 박광준, 이용기 (1996) 뽕나무의 배수성에 따른 오디의 형태 및 품질 특성 차이 농업논문집. 38(1): 307-317
  12. 박세원, 정이숙, 고광출(1997) 오디 품종간 안토시아닌 정량분석 및 생리활성 검색. 韓園誌. 38(6): 722-724
  13. Su Chao, Chen Qi, Su Lihong, Zhu Guangyi and Wang Shuxia (2001) Breeding of a fruit mulberry variety 'Hongguo 1'. 蠶絲科學(中國). 27(1): 5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