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Suicide Rate in Korea

경제적 양극화와 자살의 상관성: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 Published : 2005.12.25

Abstract

Korean society recently witnesses a rapid lllcrease of suicide across all ages. In particular, suicide in old ages jumps up ill a very unexpected way. Furthermore, the order of suicide in the cause of death across all ages is becoming higher and higher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details of suicide that occurs in Korean society with the comparison to that of Japan at the descriptive level. It is not well known why suicide in Korean surges recently. Several previous research show the possibility that surging suicide is closely related to the worsened economic conditions especially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ey adopt economic growth, unemployment rate, income distribution, household finance index as economic indicators in their research. This study also adopts those indicators and conducts a correlation analysis in two periods, 1990-1997 and 1998-2004.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indicators and suicide in the period of 1990-1997.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income distribution and suicide in the period of 1998-2004. Other economic indicators except income distribution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icide. This finding suggests that currently increasing suicide in Korea may be a result of economic polarization, which has been worsened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자살률이 급증하고 있다. 자살이 사망원인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고 중요 사인에서 자살의 순위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자살률의 특징의 하나는 고령 자살률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고령 사망순위에서 자살의 순위는 높지 않지만 고령 자살률의 증가 폭은 다른 연령대의 자살률보다 월등히 높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살을 기술적인 수준에서 상세히 밝히고 있다. 특히 일본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의 자살의 경향을 비교하면서 한국의 최근 자살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객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자살의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한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자살의 급증이 경제적인 이유에 기인하고 있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경제성장률, 실업률, 소득분배, 가계부실지수 등의 경제지표와 전체자살률, 고령 자살률, 각 연령 자살률과의 관계를 1990년부터 1997년까지, 1998년부터 2004년까지로 시기를 나누어 상관관계 계수를 구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1997년까지는 자살률과 경제지표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1998년부터 2004년 사이에는 자살률과 소득분배 지표 사이에 확실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령별 자살률로 나누어보면 10대와 20대의 자살률을 제외한 거의 모든 연령층에서 자살률과 소득분배 지표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최근 한국사회의 양극화 현상이 급증하는 자살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경제성장률이나 실업률은 자살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든 경제적 상황의 변화가 자살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소득분배 악화 현상인 경제적 양극화가 자살률의 급증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낮으며 적극적 활동성과 디지털 성향이 높은 여고생이 의복태도 변인 중 유행을 추구하였고, 외모에 대한 욕구와 동조가 높고, 적극적 활동성과 물질지향성이 높은 여고생이 의복의 성적매력성을 중요시하였다. 외모에 대한 가치와 욕구가 높고, 적극적 활동성과 성취지향성이 높으며, 가정지향성이 낮은 여고생이 의복의 개성/자기표현을 중요시하였으며, 외모에 대한 가치와 욕구가 높고, 성취지향성과 적극적 활동성이 높으며 가정지향성이 낮은 여고생이 의복의 심미성에 관심이 높았다. 외모에 대한 가치와 욕구, 동조가 낮고, 물질지향성과 적극적 활동성이 낮으며 가정지향적인 여학생이 의복의 정숙성에 관심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중 고등학교 여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외모에 대한 태도와 의복태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안정성에 차이는 없었으나, 신전 위에서 고정하는 것이 과도한 이식 건의 장력으로 인한 슬관절 굴곡 구축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라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근 추출물 경구 투여가 간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리한 혈청으로부터 ALT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근 추출물이 혈청 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그 생성량을 측정하여 보았으나 대조군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스트레스가 부하된 5일 동안 연근(蓮根)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결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뇌 조직내 noradrenaline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혈청 내 ALT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스트레스로 인해

Keywords

References

  1. 김승용(2004),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9(8), 181-205
  2. 김형수(2000),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겨울호. 25-45
  3. 뒤르켐, 에밀(1994), <<자살론: 사회학적 연구>> 서울: 청아
  4. 박경애(1996), '성과 자살' <<가족과 문화>> 창간호, 149-172
  5. 박종순, 이준영, 김순덕(2003) '우리나라에서 경제성장률과 실업률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36(1), 85-91
  6. 박종순, 김순덕, 지선미, 이제숙(2003), '우리나라 자살률의 추세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역학회지>> 25(2), 84-91
  7. 송태정, 배민근, 김기범(2005), '자살, 이혼, 범죄, 그리고 경제' 연구보고서. LG 경제 연구원
  8. 통계청. 각 년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9. 통계청. 2005. '2004년 사망원인통계결과' 통계청 보도자료. 통계청
  10. 통계청. KOSIS. 통계청
  11. 日本 國立社會保, 人口問題硏究所. 각 년도 人口統計科集 (Latest Demographic Statistics). 日本 國立社會保, 人口問題硏究所
  12. Eun, Ki-Soo(2003), 'Understanding Recent Fertility Decline in Korea.'
  13. Journal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1: 574-595 (Supplement to Volume 1). Tokyo, Japan: National Institute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Research
  14. Giddens, Anthony(1965), 'The Suicide Problem in French Sociology'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16(1): 3-18 https://doi.org/10.2307/588563
  15. Girard, Chris(1993), 'Age, Gender, and Suicide: A Cross-National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8: 553-574 https://doi.org/10.2307/2096076
  16. Nordstrom, Thor(1995), 'The Impact of Alcohol, Divorce, and Unemployment on Suicide: A Multilevel Analysis' Social Forces 74(1): 293-314 https://doi.org/10.2307/2580633
  17. Pampel, Fred C,(1998), 'National Context, Social Change, and Sex Differences in Suicide Rat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5): 744-758 https://doi.org/10.2307/2657337
  18. Simpson, Miles E., and George H. Conklin(1989), 'Socioeconomic Development, Suicide and Religion: A Test of Durkheim's Theory of Religion and Suicide,' Social Forces, 67(4): 945-964 https://doi.org/10.2307/2579709
  19. Stack, Steven(1992), 'The Effect of Divorce on Suicide in Finland: A Time Series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4: 636-642 https://doi.org/10.2307/353249
  20. Stack, Steven and Ira Wasserman (1993), 'Marital Status, Alcohol Consumption, and Suicide: An Analysis of National Data'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 1018-1024 https://doi.org/10.2307/352781
  21. Trovato, Frank:(1987), 'A Longitudinal Analysis of Divorce and Suicide In Canada'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9: 193-203 https://doi.org/10.2307/352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