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s Considering Variations of the Future Volume in Urban Areas

신설 도시부 도로의 장래 교통량 변화를 반영한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홍다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e current traffic accident reduction procedure in economic feasibility study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road and V/C ratio. For solving this problem, this paper suggests methods to be able to evaluate safety of each road in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through developing accident Prediction model in reflecting V/C ratio Per road types and traffic characters. In this paper as primary process, model is made by tke object of urban roads. Most of all, factor effecting on accident relying on road types is selected. At this point, selecting criteria chooses data obtained from road planning procedure, traffic volum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median barrier, and the number of crossing point, of connecting road. and of traffic signals. As a result of analyzing between each factor and accident. all appear to have relatives at a significant level of statistics. In this research, models are classified as 4-categorized classes according to roads and V/C ratio and each of models draws accident predicting model through Poisson regression along with verifying real situation data. The results of verifying models come out relatively satisfactory estimation against real traffic data. In this paper, traffic accident prediction is possible caused by road's physical characters by developing accident predicting model per road types resulted in V/C ratio and this result is inferred to be used on predicting accident cost when road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are performed. Because data using this paper are limited in only province of Jeollabuk-Do, this paper has a limitation of revealing standards of all regions (nation).

현재 도로사업의 타당성 조사 시 사용하는 교통사고 감소편익 산정시 도로등급별로 사고율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고, 도로특성 및 V/C에 따른 특성이 고려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도로유형별 V/C 및 교통 특성을 반영하여 사고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여 도로의 신설 및 개량에서 그 도로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단계로서 도시지역 도로를 대상으로 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우선 도로유형별로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 때 선정 기준은 도로설계단계에서 획득할 수 있는 자료를 위주로 선정하였으며. 교통량, 중앙분리대의 유 무, 교차점수. 연결로수, 횡단신호등수 그리고 차로수를 선정하였다. 각 요인과 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등급 및 V/C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하여 포아송 선형회귀식을 통하여 사고예측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모형식의 결과가 실제 사고 자료에 대해 비교적 양호하게 추정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V/C에 따른 도로유형별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함으로써 도로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인한 교통사고예측이 가능하고, 이 결과를 도로의 신설 및 개량에 대한 타당성 조사시 사고비용을 추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가 전라북도 한 지역으로 한정되어있어 전국적인 대표성을 지니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2004), '교통통계'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7), '도로의 기하구조와 교통 안전성에 관한 미국 연방도로청의 보고서', 도로 교통 안전 기술보고서 pp97-02
  3.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4. 김태완(1966), '도로기하구조가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경부고속도로중심으로, 서울대 환경대학원석사논문'
  5. 이수범.김정현.김태희(2003), '도로 및 교통특성에 따른 계획 단계의 도시부 도로 교통사고 예측모형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33-144
  6. FHWA(1981), 'Planning and Scheduling Work Zone Traffic Control'
  7. Japan Institute(2000),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RoadInvestment Projects.'
  8. TRB Special Report 214(1987), 'Designing Safer Roads, Practices for Resurfacing,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9. C. V. Zegeer, J. Hummer, L. Herf, D. Reinfurt, and W. Hunter(1986), 'Safety Effects of Cross-Section Design for Two- Lane Roads', Report No. FHWA-RD-87-008, Federal Highway Adminstration, Washington, D. C
  10. Mohanmmad A. Hadi and A.S. Jaradat(1998), 'Analysis of Commercial Minibus Acciden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0 No.5 https://doi.org/10.1016/S0001-4575(98)00021-9
  11. Fitzpatrick, k. et. al(2000), 'Speed Prediction Two Lane Rural Highways', Research Report, FHWA-RD-99-171
  12. James A. Bonneson, Patrick T. Mccoy(2001), 'Effect of Median Treatment on Urban Arterial Safety and Accident Prediction Model', TRR. 1581 https://doi.org/10.3141/1581-04
  13. FHWA(1992), 'Safety Effectiveness of Highway Design Features', Vol. I -Access Control-
  14. FHWA(1992), 'Safety Effectiveness of Highway Design Features', Vol. V -Inter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