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ggestion on Instruction Service Quality Assessment Tool

강의 서비스품질 측정도구 제안

  • Choi Kyoung-Ho (Department of Public Opinion Poll, Jeonju University) ;
  • Lee Seung-Joo (Division of Life Science-Genetic Engineering Statistics, Cheongju University)
  • 최경호 (전주대학교 여론조사학과) ;
  • 이승주 (청주대학교 생명 유전 통계학부)
  • Published : 2005.07.01

Abstract

The instruction assessment, which can be a tool to realize a class of high quality, evaluates instruction system and process. The result data of the instruction assessment is analysed and used to reorganize lecture contents or to improve teaching method. It enhances qualitative level of university education. The goal of the instruction assessment is to be a tool that provides high qualitative education to raise students'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education service quality through instruction assessment as a useful tool for measuring service quality. The suggestion of valid tool for improving instruction service quality is described in this paper.

강의평가는 질 높은 수업을 실현하고 개선${\cdot}$발전시키기 위해서 일련의 수업체계 및 과정을 평가하고,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강의 내용을 재조직하거나 강의방법을 개선하여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며, 더 나아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소비자인 학생들의 만족도를 제고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강의평가는 교육현장에서 수행되는 강의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교육 소비자인 학생들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서비스품질 측정 도구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의평가를 통한 교육 서비스품질 향상이 중요한 만큼 강의 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한 타당한 측정도구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화 (2002). 강의명가 자료분석을 통한 강의 평가지 개선방안, <교육문제연구>, 16, 81-101
  2. 김수선 (2001). 대학강의평가 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강의평가 도구의 양호도에 대한 실증적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종태 . 이재만 (2004). A study on reliability of lecture evaluation by students, Journal of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5, 183-191
  4. 김혜연 (2003). 강의평가와 관련된 요인들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신용식 (1999). 품질기능전개를 이용한 대학 강의서비스 품질평가 모형 설계,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유춘호 (2001). 강의 평가 설문문항의 개 발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26, 339-389
  7. 유춘호 . 이정호 (2003).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2, 789-807
  8. 이유재 (2004). 서비스마케팅(제 3판), 학현사, 서울
  9. 조선배 (2000). 서비스품질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품질경영웹진>, 133-137
  10. 차수련, 채연수 (1999). 교육 서버스품질의 측정에 관한 연구, <경상논총>, 20, 81-110
  11. Berry, L. L., A. Parasuraman and V. A. Zeithaml(1988). The service quality puzzle, Business Horizon, September-October, 31, 35-43 https://doi.org/10.1016/0007-6813(88)90053-5
  12. Buzzell, R. D. and B. T. Gale(1987). The PIMS Principles: Linking Strategy to Performance, New York, Free Press
  13. Cohen, P. A.(1980). Effectiveness of student rating feedback for improving college instruction : a meta-analysis of finding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13, 321-341 https://doi.org/10.1007/BF00976252
  14. Gale, T. B.(1992). Monitor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Marketing-Perceived Quality, Chicago, AMA
  15. Parasuraman, A., V. A. Zeithaml and L. L. Berry(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 41-50
  16. Parasuraman, A., V. A. Zeithaml and L. L. Berry(1988). SERVQUAL : A multi-item scale for measuring custo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 2-40
  17. Zeithaml, V. A., L. L. Berry and A. Parasuraman(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 3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