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esdpinia Sappan Natural Dyeing using Camellia Ash Solution and Rice Straw Ash Solution as Mordants

동백나무 잿물과 볏짚 잿물을 매염제로 사용하는 소목 천연염색

  • 서희성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전동원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김종준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Ash solutions derived from vegetation have been known for their good mordanting action. They are used as finishing agents because they are able to promote dye uptake. It is expected that the types of ash solutions may have been different worker by worker since the workers have employed easy-to-get plants, when we reviewed old literature. However, the ash solutions are being used without clear distinctions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camellia ash solution and rice straw ash solution were prepared according to traditional methods. Using these solutions as mordanting agents, natural dyeing experiments with Caesdpinia Sappan were peformed. Following the dyeing procedure, the effect of the type of ash solution on the color of the dyed fabric was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sh solution mordanting effect us not dependent upon the components of the ash solution.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 mordanting effect was not based on the action of the metallic ions in the ash solution. The pH values of the ash solutions were adjus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s in ash solution alkalinity on the dyeing process. The pH values ranged from neutral or weak acidity to the alkaline range 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danting tv the ash solutions.

Keywords

References

  1. 권민수, 전동원, 최인려, 김종준(2004). 소옥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I -정제 알루미늄 화합물들의 매염효과에 대하여-. 복식문화연구, 12(5), 781- 791
  2. 권민수, 전동원, 최인려, 김종준(2004). 소목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II -잿물의 매염효과에 대하여-. 복식문화연구, 12(6), 908-917
  3. 김재필, 이정진(2003). 한국의 천연염료.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4. 남성우(1995). 전통천연염료 염색방법 현대화. 과학기술처 1차년도 보고서
  5. 남성우(1998). 천연염료에 의한 염색. 섬유기술과산업, 2(2), 238-242
  6. 남성우(2000). 천연염료의 이론과 실제(I)
  7. 남성우, 정인모, 김인희(1995). 염료에 의한 염색(II)- 소목에 의한 견염색. 한국염색가공학회지, 7(4), 87-96
  8. 박은하(1992). 적색계 식물성 염료에 관한 연구 -조선 시대를 중심으로-.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서유규 (1966). 임원 16지 1권. 서울: 서울대학교 고전간행회
  10. 성우경(2002). 치자와 소목의 혼합염료에 의한 견의 염색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2), 192-201
  11. 소황옥(1983). 한국 전통 염직에 관한 문헌적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소황옥(1987). 소방염에 관한 실험적 연구(I). 대한가정학회지, 25(3), 1-12
  13. 안명숙(2002). 천연염색. 서울: 예학사
  14. 이상락, 이영희, 김인희, 남성우(1995).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물의 항균 소취성에 관한 연구(I) -소목. 한국염색가공학회지, 7(4), 74-86
  15. 이영(1982). 전통 천연염료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전동원, 김종준, 강소영(2003), 키토산 처리포의 소목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1). 복식문화연구, 11(3), 431-439
  17. 정필순(1985). 한국 자연염료와 염색에 대한 연구 -문헌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8. 조경래(1987). 천연염료에 관한 연구(I). 한국의류학회지, 11(3), 325-332
  19. 조경래(2004). 천연염료와염색. 서울: 형설출판사
  20. 조경래, 문광희, 대안스님(2000). 전통염색의 이해. 서울: 보광출판사
  21. 주영주(1996). 다색성 천연염료의 매염 및 염색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주영주(1998). 잿물로 매염처리된 소방염포의 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699-707
  23. 주영주, 남성우(1997). 천연염색에 시용되는 천연매염제에 관한 연구(I) -볏짚재. 한국염색가공학회지, 9(6), 33-41
  24. 황은경, 김문식, 이동수, 김규범(1998). 매염제에 따른 색상변화에 관한 연구(I) -울금과 소목의 혼합 염색. 한국섬유공학회지, 35(8), 490-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