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ong-Term Monitoring Data From the Geum River Estuary

금강 하구의 장기 관측 자료 분석

  • JEONG YONC HOOW (Department of Ocean Information Science, K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YEONC TAE (Department of Ocean Information Science, Kusan National University) ;
  • CHAE YOUN ZOO (Department of Ocean Information Science, Kusan National University) ;
  • RHEE CHOONC WOON (Department of Ocean Information Science, Kusan National University) ;
  • KO KYUNC RAN (Department of Ocean Information Science, K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OH YOUNG (Department of Ocean Information Science, K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JU YOUNG (Department of Ocean Information Science, Kusan National University) ;
  • YANG JAE SAM (Department of Ocean Information Science, Kusan National University)
  • 정용훈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 김영태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 채윤주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 이충원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 고경란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 김소영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 정주영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 양재삼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long-term variation of water qualities, we have daily monitored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water in the Geum River estuary from June 1996 to April 2004. We found that the water qualities were determined by three dominant factors : 1. fluvial input from Geum River ($28.3\%$), 2. chemical processes such as nitrification and phosphate addition originated from sediment resuspension and domestic sew- age input ($18.6\%$), 3.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nutrient consumption by primary producers ($13.5\%$). The factor 1 (fluvial input) effectively affected the water quality of the estuary particularly during the normal or low river discharge. The factor 2 (chemical processes) and the factor 3 (biological processes) showed distinct seasonal differences due to their relative strengths of biological activities. The factor 3 was a governing parameter during the period of spring algal bloom in 2004. For the spring period, an empirical equation derived from the multi-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in-situ chlorophyll-a distributions in the estuarine water were successfully simulated by the phosphate concentrations and N/P ratios. Therefore we suggest that phosphate functions as a limiting factor for the primary productivity in the Geum River estuary for the dry season, especially during spring.

금강 하구 해수의 장기적 수질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의 일부로서, 하구 내 고정점에서 1996년 6월부터 2004년 4월까지 매일 관측한 수질 변화 자료를 다양한 통계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금강 하구 내 수질은 금강 담수의 유입에 의한 요인(요인 $1: 28.3\%$), 퇴적물의 재부유나 도시 하수의 유입에 따른 질산화과정 등을 포함하는 화학적인 요인(요인 $2: 18.6\%$),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으로 대표되는 생물학적인 요인(요인 $3; 13.5\%$)에 의하여 $60\%$이상이 결정되었다. 조사 기간을 평균할 때 담수의 유입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량이 평균치거나 혹은 보다 적을 때 금강 유량이 더욱 효과적으로 금강 하구 내 환경 인자에 영향을 주었다. 반면 요인 2와 요인 3은 계절적으로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원인은 생물 활동의 시기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04년 금강 하구 내 엽록소-a의 대증식 기간에는 요인 3인 생물학적인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요인의 대표적인 인자인 엽록소-a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금강 하구 내에서 엽록소-a의 농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 인자는 인산염과 N/P 비율로 나타났다. 파라서 갈수기(특히, 봄철) 동안 인산염은 금강 하구 내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준학, 김경렬, 1987. 금강 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II. Chlorophyll-a 분포결정 요인에 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22: 207-215
  2. 김경렬, 기준학, 1987. 금강 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I. 질소계 화합물의 순환: 전반적 고찰. 한국해양학회지, 22: 191-206
  3. 김종구, 1998. 다변량 해석기법에 의한 금강 하구역의 수질평가. 한국환경학회지, 7: 591-598
  4. 노형진, 1999. 다변량데이터의 통계분석. 석정, 661 pp
  5. 이용혁, 양재삼, 1997. 금강 하구역에서 영양염류, 엽록소, 부유물질과 염분변화에 대한 500일간의 연속관측.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 1-7
  6. 정충영, 최이규, 1999.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518pp
  7. 양재삼, 정주영, 허진영, 이상호, 최진용, 1999. 금강하구의 물질수지, I. 영양염의 계절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71-79
  8. 허만형, 2001. 통계분석론. 법무사, 728 pp
  9. Gao, X. and J. Song, 2004. Phytoplankton distributi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n the Changjiang Estuary, China. Mar. Pollut. Bull., 50: 327-335
  10. Gayoso, A.M., 1998. Long-term phytoplankton studies in the Bahia Blanca estuary, Argentina. ICES J. Mar. Sci., 55: 655-660 https://doi.org/10.1006/jmsc.1998.0375
  11. Grelowski, A., M. Pastuszak, S. Sitek and Z. Witek, 2000. Budget calculations of nitrogen, phosphorus and $BOD_5$ passing through the Oder estuary. J. Mar. Syst., 25: 221-237 https://doi.org/10.1016/S0924-7963(00)00017-8
  12. Huang, X.P., L.M. Huang and W.Z. Yue, 2003.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and eutrophication in the Pearl River estuary, South China. Mar. Pollut. Bull., 47: 30-36 https://doi.org/10.1016/S0025-326X(02)00474-5
  13.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New York, 173 pp
  14. Shim, J.H. and J.S. Yang, 1982.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eum River Estuary. J. Oceanol. Soc. Korea, 17: 1-11
  15. Sierra, J.P., A. Sanchez-Arcilla, J. Gonzalez Del Rio, J. Flos, E. Movellan, C. Mosso, R. Martinez, M. Rodilla, S. Falco and I. Romero, 2002. Spatial distribution of nutrients in the Ebro estuary and plume. Continental Shelf Res., 22: 361-3780 https://doi.org/10.1016/S0278-4343(01)00061-9
  16.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 Oceanogr., 14: 799-801 https://doi.org/10.4319/lo.1969.14.5.0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