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weekly variation of Spring Phytoplankton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Freshwater Discharges from Keum River Estuarine Weir, Korea

금강하구언 담수방류와 춘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단주기 변동

  • Yih, Won-Ho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san National University) ;
  • Myung, Geum-Og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san National University) ;
  • Yoo, Yeong-Du (Saemangeum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K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Geel (Korea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for Hydrosphere) ;
  • Jeong, Hae-Jm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Irregular discharges of freshwater through the water gates of the Keum River Estuarine Weir, Korea, whose construction had been completed in 1998 with its water gates being operated as late as August 1994, drastically modified the estuarine environment. Sharp decrease of salinity along with the altered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utrients are accompanied with the irregular discharges of freshwater into the estuary under the influence of regular semi-diurnal tidal effect. Field sampling was carried out on the time of high tide at 2 fixed stations(St.1 near the Estuarine Weir and St.2 off Kunsan Ferry Station) every other day for 4 months from mid-February 2004 to investigate into the semi-weekly variation of spring phytoplankton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freshwater discharges from Keum River Estuarine Weir. CV(coefficient of variation) of salinity measurements was roughly 2 times greater in St.1 than that in St.2, reflecting extreme salinity variation in St.1 Among inorganic nutrients, concentrations of N-nutrients($NO_3^-,\;NO_2^-$ and $NH_4^+$) were clearly higher in St.1, to imply the more drastic changes of the nutrient concentrations in St.1. than St.2 following the freshwater discharges. As a component of phytoplankton community, diatoms were among the top dominants in terms of species richness as well as biomass. Solitary centric diatom, Cyclotella meneghiniana, and chain-forming centric diatom, Skeletonema costatum, dominated over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order for S-6 weeks each (Succession Interval I and II), and the latter succeeded to the former from the time of <$10^{\circ}C$ of water temperature. Cyanobacterial species, Aphanizomenon Posaquae and Phormidium sp., which might be transported into the estuary along with the discharged freshwater, occupied high portion of total biomass during Succession Interval III(mid-April to late-May). During this period, freshwater species exclusively dominated over the phytoplankton community except the low concentrations of the co-occurring 2 estuarine diatoms, Cyclotella meneghiniana and Skeletonema costatum. During the 4th Succession Interval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over $18^{\circ}C$, the diatom, Guinardia delicatula, was predominant for a week with the highest dominance of $75\%$ in discrete samples. To summarize, during all the Succession Intervals other than Succession Interval III characterized by the extreme variation of salinity under cooler water temperature than $18^{\circ}C$, the diatoms were the most important dominants for species succession in spring. If the scale and frequency of the freshwater discharge could have been adjusted properly even during the Succession Interval III, the dominant species would quite possibly be replaced by other estuarine diatom species rather than the two freshwater cyanobacteria, Aphanizomenon flosaquae and Phormidium sp.. The scheme of field sampling every other day for the present study was concluded to be the minimal requirement in order to adequately explore the phytoplankton succession in such estuarine environment as in Keum River Estuary: which is stressed by the unpredictable and unavoidable discharges of freshwater under the regular semi-diurnal tide.

1988년에 완공하여 1994년 8월부터 수문을 작동한 금강 하구언으로 인해 금강 하구역 환경은 크게 변하였다. 수문을 통해 담수를 불규칙하게 방류하면, 극심한 염분 저하와 함께 수중 무기영양염 농도가 급변한다. 이와 같이 환경 스트레스가 큰 금강 하구 내측에서 춘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단주기 변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4년 2월 중순부터 4개월 동안 2개의 고정점에서 약 2일 간격으로 고조 때에 현장조사와 시료채취를 실시하였다. 하구언에 근접한 정점에서는 정점2(도선장 부근 정점)에 비해 염분 측정치의 변동계수가 2배에 이르러, 정점1에서 시간에 따른 염분의 변동이 극심함을 반증하였다. 용존 무기영양염 가운데, 질소계 영양염($NO_3^-,\;NO_2^-$$NH_4^+$)의 농도가 정점2에 비해 정점1에서 뚜렷이 높게 나타나, 수문 작동에 따라 그 농도가 부정기적으로 급변할 수 있는 환경임을 확인하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구성하는 주요 분류군은 규조류로서 출현종의 수나 생물량 모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 가운데 단독성 중심 규조 Cyolotella meneghiniana와 사슬형 중심 규조 Skeletonema costatum은 조사기간 전반부에 차례대로 5-6주 동안씩(천이 구간 I 및 II)절대 우점하여, 수온 $10^{\circ}C$의 시점을 중심으로 뚜렷한 천이현상을 보여 주었다. 천이구간 III(4월 중순-5월 말)은 대량 방류된 담수와 함께 하구역에 유입된 담수 녹조종인 남세균 Aphanizomenon flos-aquae와 Phormidium sp. 등이 매우 높은 구성비를 나타낸 시기이다. 이 기간에는 극저염-고염의 극심한 변동으로 인하여 낮은 수준의 생물량을 기록한 규조 Cyclotella meneghiniana와 Skeletonema costatum 외에는 담수종들이 전적으로 우점하였다. 천이구간 IV에서는 수온이 $18^{\circ}C$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규조 Guinardia delicatuia가 단일 시료 내 최고 우점도 $75^{\circ}C$를 기록하며 약 일주일간 우점하였다. 즉, 조사기간 중에는 수온 $18^{\circ}C$ 미만의 극심한 염분 변동기(천이구간 III)를 제외한, 전 기간 중에 규조가 절대 우점하며 춘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천이를 주도하였다. 천이구간 III에서도, 만약 담수방류의 규모와 빈도를 적절히 조절하였더라면, 주요 우점종이 담수 남세균이 아닌 하구성 규조로 바뀔 수도 있었을 것이다. 본 연구에 적용한 격일간 현장조사는 불규칙한 담수방류가 불가피한 반일주조 하의 하구역 환경에서 식물플랑크톤 종의 천이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효근, 이상호, 1999.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 평균해면과 조석. 한국 해양학회지 바다, 4: 93-100
  2. 김영길, 조유숙, 1970. 금강 하구의 Micro-plankton량과 조성변화에 관하여(1). 군산수전논문집 4: 23-36
  3. 김영길, 김종배. 1978. 춘계 금강하류역의 수질 및 Diatom의 조성변화에 관하여. 군산수전연보 12: 9-17
  4. 김형섭, 김영길, 양재삼, 이원호. 2004. 곰소만과 금강하구역에서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 개체군의 변동. 한국양식학회지 '바다' 9(4): 164-172
  5. 심재형.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 34권 식물편(해양식물플랑크톤). 교육부. 487면
  6. 양재삼, 정주영,허진영, 이상호, 최진용. 1999. 금강하구의 물질수지 I. 영양염의 계절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71-79
  7. 유성규. 1962. 1961년 9월 충청남도 연안(어청도.천수만.군산지역)에 있어서 Microplankton의 양 및 조성에 대한 연구. 농림부 중앙수산시험장. 간석지 기본조사 보고, 2: 57-72
  8. 이상호, 최현용, 손영태, 권효근, 김영곤, 양재삼, 정해진, 김종구. 2003.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138-150
  9. 이상호, 최현용, 권효근. 2001a 하구연 수문 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 변화: III. 저염수의 조석동조.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 115-125
  10. 이상호, 권효근, 최현용, 양재삼, 최진용, 1999.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 염분구조와 하구유형. 한국 해양학회지 바다, 4(4): 255-265
  11. 이상호, 최현용, 오임상, 1995. 하계 금강 plume의 구조와 변동. 한국해양학회, 30: 125-137
  12. 이용혁, 양재삼, 1997. 금강하구역에서 영양염류, 엽록소, 부유물질과 염분변화에 대한 500일간의 연속관측.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 1-7
  13. 이원호. 1990. VII. 식물플랑크톤. 영산호 외측 해조류양식장의 어업피해조사 보고서(김중래, 정종률, 정의영, 최문술, 이원호, 조웅현, 이건형 공저). 군산대학 해양개발연구소. 393-558
  14. 이원호, 이상호, 장진호, 1990. 고군산군도 주변해역의 해양학적 기초 연구 I. 해수특성, 표층 퇴적물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군산대학교 해양개발연구, 2: 61-81
  15. 이원호, 조봉곤, 이광훈, 최현용. 2001b. 새만금해역 저염수괴의 해양생태계에 대한 영향 연구 - 금강하구의 담수플룸의 영향을 중심으로 - 해양수산부 KSGP보고서. 115면
  16. 최진용, 최현용, 서만석. 1995. 하구언 갑문폐쇄 후 금강하구역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30: 262-270
  17. 최현용, 이상호, 유광우, 1999. 금강하구언 대량방류시 황해 중동부 해역의 염분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1-9
  18. 倉茂英次郞, 1943, 鮮黃海側及び南鮮における浮游性珪藻の定量竝に質的特性, 第一報, 昭和 12年 乃至 16年 定量性績, 朝鮮總督府水産試驗場報告 8號: 1-114
  19. 倉茂英次郞, 1944, 鮮黃海側及び南鮮における浮游性珪藻の定量竝に質的特性, 第二報, 昭和 17-18年 沿岸各地成績に滿洲國及び關東洲沿岸比較. 日本海洋學會誌, 3(4): 254-276
  20. Dauvin, J., E Thiebaut and Z Wang. 1998. Short-term changes in the mesozooplanktonic community in the Seine ROFI (Region of Freshwater Influence) (eastern English Channel).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0: 1145-1167 https://doi.org/10.1093/plankt/20.6.1145
  21. Dias,C.O. 1999. Morphological abnormalities of Acartia lilljeborgi (Copepoda, Crustacea) in the Espirito Santo Bay (E.S. Brazil). Hydrobiologia, 394: 249-251 https://doi.org/10.1023/A:1003502624336
  22. Grasshoff, K., K. Kremling and M. Ehrhardt (Eds.), 1999: Methods of Seawater Analysis, 3rd Ed., Weinheim; New York: Wiley-VCR. 600 pp
  23. Lee, M.J., J.H. Shim and C.K. Kim. 1967. Studies on the plankton of the neighboring seas of Korea. Part 1: on the marine conditions and phytoplankton of the Yellow Sea in summer. Reports from Inst. Mar. Bi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 6: 1-14
  24. Lee, W.H., K.R. Kim and M.S. Choi. 1988. Phytoplankton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lower Keum River during spring season. In: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The eutrophication and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s'. Institute of Han Riv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62-182
  25. Pae, S.J. 1995. Phytoplankton dynamics on a short time scale in Masan Bay. Ph.D. thesis, Department of Oceanography,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84pp
  26. Sautour, B., F Artigas, A Herbland and P Laborde. 1996. Zooplankton grazing impact in the plume of dilution of the Gironde estuary (France) prior to the spring bloom.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18: 835-853 https://doi.org/10.1093/plankt/18.5.835
  27. Sautour, B., L.Felipe Artigas, Daniel Delmas, Alain Herbland and Pierre Laborde. 2000. Grazing impact of micro- and mesozooplankton during a spring situation in coastal waters off the Gironde estuary.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2(3): 531-552 https://doi.org/10.1093/plankt/22.3.531
  28. Shim, J.H. and J.S. Yang 1982.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um River Estuary. J. Oceanol. Soc. Korea, 17: 1-11
  29. Shim, J.H. and S.J. Yoo. 1985. Phytoplankton community off the coast of Kunsan, Korea. J. Oceanol. Soc. Korea, 20: 31-42
  30. Tan, Y., L. Huang, Q. Chen and X. Huang. 2004. Seasonal variation in zooplankton composition and grazing impact on phytoplankton standing stock in the Pearl River Estuary, China. Continental Shelf Research, 24(16): 1949-1968 https://doi.org/10.1016/j.csr.2004.06.018
  31. Tomas, C.R. (ed.) 1996. Identifying marine diatoms and dinoflagellates. Academic Press. 598pp
  32. Yih, W., H.S. Kim, H.J. Jeong, G. Myung, Y.G. Kim. 2004. Ingestion of cryptophyte cells by the marine photosynthetic ciliate Mesodinium rubrum. Aquat. Microb. Ecol. 36: 165-170 https://doi.org/10.3354/ame036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