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in the Jeoniu Stream Area

전주천일대의 관속식물상과 도시화지수

  • Beon Mu-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H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과) ;
  • 오현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과) ;
  • 김영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과) ;
  • 김연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e flora of the studied area in the Jeonju stream was listed as 267taxa; 66families, 184genera, 236species, 28varieties and 3forms. Based on the list of an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3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Paspalum digtichum(Gramineae), Solanum carolinense(Solanaceae), Ambrosia artemirizyolia var. elatior(Compositae).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 4taxa were recorded: Lilium amahile(Li1iaceae) , Prunus yedoens is(Rosaceae), Forsythia koreana(01 eaceae) , Paulownia coreana (Scrophulariaceae). Naturalized plant species was listed as 68taxa; 18families, 49genera, 66species, 2varieties, and Naturalization Index was 25.Spercent of 1/4 the vascular plants, Urbanization Index was 25. Ipercent analysis.

본 조사 지역인 전주천일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66과 184속 236종 28변종 3품종 총 267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생태계교란야생식물에는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돼지풀 등 3종류가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특산식물에는 털중나리, 왕벚나무, 개나리, 오동나무 등 4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에는 18과 49속 66종 2변종 총 68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25.5\%$으로 전체 관속식물상의 1/4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25.1\%$가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상황. 한국잡초학회지 22(3): 207-226
  2. 국립환경연구원(2003) 한국외래식물. 국립환경연구원
  3. 김계환, 서병수, 박종민, 변무섭, 박준모(2002) 만경강 중.하류 유역의 식물군집구조. 전북대학교 농대논문집 33: 78-87
  4. 김무열(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247-351
  5. 노재현, 허준(2004)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26-32
  6.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홍덕, 우복주, 백기열(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18-41
  7. 박수현(1995)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371쪽
  8. 박수현(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178쪽
  9.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184
  10.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이동우, 윤희빈, 이귀용, 이철희(2003a)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2): 210-223
  11.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한주환, 이철희(2003b) 충청북도 미동산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2): 112-122
  12. 이유미, 김성식, 조동광, 정승선(2002a)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104-123
  13.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2002b)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 271-286
  14. 이창복(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5. 임동옥, 박양규, 유윤미(2004a)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4): 346-359
  16. 임동옥, 유윤미, 황인천(2004b)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 288-296
  17.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3-4): 69-83
  18. 전동준(2004) 하천생태계의 특성과 생물다양성 보전. 자연보존지 126: 7-14
  19. 최중대(1996) 하천의 자연성 제고를 위한 관리 정책. 자연보존지 95: 16-20
  20. 沒田眞(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リ-13.大日本圖書. 16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