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Schedule Risk Management Tools at the Preconstruction Phase in Building Construction - Focused on the Steel Work -

건축공사 착공 전 단계의 공정리스크 관리도구 개발 - 철골공사 중심으로 -

  • 서상욱 (경원대학교 건축학과) ;
  • 윤유상 (경원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김선국 (경원대학교 토목건축공학부)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pporting tool for efficient management, at preconstruction phase, of the schedule risk that is able to generate at construction phase.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to develop a practical tool are as follows. First steel work was selected as a relevant trade and a risk breakdown structure focused on the process of steel work having large effect on total construction process was made. Secondly, the work flow considering schedule risk factor was made and schedule risks that must be managed preferentially through analyzing the grade of importance for risk was selected. Finally, based on above two procedure, the management form for schedule risk was developed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abundant data for schedule risk for other construction process and to develop a manual and a schedule risk management system.

건축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자들은 전체 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리스크 관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지만 그 에 대한관리 절차 및 도구 등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공정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기존의 리스크 관련 연구에서의 리스크 분류체계는 현장업무 중심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실용화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 공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철골공사를 대상으로 공사 프로세스 중심의 리스크 분류체계와 주요 공정 리스크 요인과 연계한 업무 플로우를 제시하였고, 공정리스크 관리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정리스크 중요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정 리스크 요인별 대응방안 및 세부대책으로 이루어진 공정 리스크 관리 도구를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석 외 2인(2002), 건설공사단계별 리스크 인자 중요도에 관한 현황 분석
  2. 고성석 외 2인(2004), 건축공사 공종별 위험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20권 5호
  3. 김인호(2001), 건설사업의 리스크관리-건설사업의 위험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전략적 접근방법, 기문당
  4. 서석원 외 2인 (2002), 건설공사의 최적 리스크 대응방안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모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8권 제8호
  5. 윤철성 외 1인 (2003), 국내 건설공사 클레임 사례를 기준한 위험요인 및 대응전략 도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9권 제9호
  6. 윤여완 외 1인 (2001), 건축공법별 리스크 인지를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7권 제4호
  7. 조훈희 외 2인 (2001), 공기연장 실태조사를 통한 발주자 중심 공기지연 리스크 대응방안 -공공발주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7권 제12호
  8. 주해금 외 1인 (2003), 건설사업 위험분류체계의 재정립을 통한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4권 제2호
  9. 한종관 외 2인 (2003), 시공자 중심의 주요 공종별 공기지연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 19권 제 3호
  10. 홍성욱 외 2인 (2003), 국내 건설기업의 리스크 관리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9권 제5호
  11. 황지선 외 1인 (2003), 초기 건설공사의 리스크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제1호
  12. Aleshin, A. and Dworatschek, S.(1997), Risk Management of Joint Venture Construction Projects of Foreign Cooperation in Russia, PMI 28th Annual Seminars & Symposium, pp.221-226
  13. B. Mulholland and J. Chritian (1999), Risk assessment in construction schedul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8-15
  14. Jaafari, A.(1994), Total Project Risk Management Aided by Information Systems., 12th INTERNET World Congress on Project Management., Proceedings. Vol. 2, pp 311-317
  15. Mootanah, D. P.(1997), A Holistic Framework for Managing Risks in Construction Projects, PMI 28th Annual Seminars & Symposium, pp. 1056-1062
  16. Tetsuya Miyagawa (1997), Construction manageability planning - A system for manageability analysis in construction planning, Automation in Construction, pp.175-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