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Behavior of the Five-Day Workweek Company Employees for Developing Leisure Faciliti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지역사회 여가시설 개발을 위한 주 5일 근무자들의 여가행태 분석 연구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behavior of the five-day workweek company employees for developing leisure faciliti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he subjects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247 staffs of 4 bank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leisure time, the cost of leisure, consciousness of leisure, actual condition and need of leisure activities and spaces, leisure satisfaction and limitation on leisure.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correlation, $x^2-test$,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Leisure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unity of family and cultivate the sentiment. 2)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ies was lower than neutral. The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ies related with cost, time of leisure, information of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 and leisure environment. 3) Present leisur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restrictive and passive. However, the subjects showed hopes to increase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to engage in diverse forms of leisure in the future. Also, they showed an increased desired ratios in participating in each leisure activities. 4) In terms of location, they needed leisure facilities which was closer to their house.

Keywords

References

  1. 김광득(1993). 현대여가론-이론과 실제. 백산출판사
  2. 김문겸(1993). 여가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3. 김법동(1988). 우리나라 도시거주 직장인의 여가생활 라이프스 타일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성일(1993). 도시민의 여가시간 및 활용실태. 도시문제. 6월. 9-24
  5. 김수현 등(2002). 주5일 근무제가 도시정책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6. 김영찬(1986). 우리나라 도시주민의 여가공급체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외숙(1996).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가정책. 대한가정학회지. 34(5). 159-172
  8. 김외숙(2004). 주5일 근무제와 가족여가. 한국여가문화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57-58
  9. 김찬호(2002). 문화를 생산하는 학습공동체를 위하여. 제1회 여가 . 문화 포험, 여가문화학회
  10. 김현주 . 이창형 . 박소라(2002). 주 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직장인들의 주말 여가 문화 이용 행태변화. 제1회 여가 . 문화 포럼, 여가문화학회
  11. 박태권(1989). 여가공간으로서의 도시공원에 관한 연구: 부천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영대(2004). 여가생활과 문화정책. 한국여가문화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7-31
  13. 백주현(1990). 여가선택 행동이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송복(1995). 21세기 사회의 공동체 생활문화. 21세기 공동체 생활문화육성을 위한 다학제적 방안모색 학술심포지움. 9-22
  15. 서울시정개발원(1994). 서울시민 생활시간조사
  16. 신화경. 이연숙(1997). 도시인의 여가행태 및 공간적 요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3(12), 187-195
  17. 신화경(2000). 여가생활패턴과 여가공간의 위치구조. 상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
  18. 신화경(2003). 여가생활과 주거환경. 여가시간 증가와 생활과학. 한국생활과학회 하계학술대회집, 47-59
  19. 양성인(2002). 주5일 근무제가 도시근로자들의 여가생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강옥 . 김희수(2001).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관광정책 대응방안. 한국관광연구원
  21. 이장영 외 12인(2004). 여가. 일신사
  22. 정영린(1997).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전병재 외(1991). 여가놀이문화 개발 및 확산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 연구소
  24. 정승진 외(2003). 아파트 커뮤니티 공간과 프로그램 이용 및 요구도. 한국주거학회지, 14(1), 41-50
  25. 최윤형(2003). 주 5일 근무제가 직장인의 여가활동유형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장호(1989). 국민여가생활의 건전화를 위한 정책.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1991). 여가놀이문화 개발 및 확산방안 연구
  28. 한국방송공사(1990). 국민생활시간조사
  29. 홍성희 . 김성희(2000). 공공시설의 여가프로그램 이용실태 분석 (중년기와 노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97-114
  30. 홍성희 . 문숙재(1991). 주부의 여가활동과 여가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9(3), 153-174
  31. 허갑중(2002). 주5일근무제 실시에 따른 국민관광 육성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32. 황지영(2002). 주5일 근무제도 도입에 따른 여가활동의 변화 추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통계청(2000). 통계로 보는 한국인의 모습
  34. 통계청(2001). 1999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업보고서
  35. Ajken, I. & Driver, B. L.(1992).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leisure choic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4(3), 207-224
  36. Allen, L. R.(1990). Benefits of leisure attributes to community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83- 196
  37. Berg, E. C, Trost, M., Schneider, I. E. & Allison, M. T. (2001). Dyadic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of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time, and gender to relationship satisfaction. Leisure Sciences, 23, 35-46 https://doi.org/10.1080/01490400150502234
  38. Berigier, M. J.(1981). A conceptual model of leisure- time choice behavior.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3(2), 139-158
  39. Cullign, K. & Murpy, J.(1989). The future of the leisure. Long Range Planning, 22(6), 127-131 https://doi.org/10.1016/0024-6301(89)90111-8
  40. Happer, W.(1997). The future of leisure: Making leisure work. Leisure Studies, 16, 189-198 https://doi.org/10.1080/026143697375395
  41. Heywood, J. L.(2002). The cognitive and emotional components of behavior norms in outdoor recreation. Leisure Sciences, 24, 272-281
  42. Iwasaki, Y. & Mannell, R. C.(1999), Situational and Personality Influences on Intrinsically Motivated Leisure Behavior. Leisure Sciences, 21, 287-306 https://doi.org/10.1080/014904099273011
  43. Murphy, J. F., et al.(1973). Leisure service delivery system: A modern perspective. Philadelphia: Lea & febiger
  44. Shin, H. K. & Lee, Y. S.(1996). Prediction and application of future trends in residential interior design: Research into Practice. ED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