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ource Plants in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Chungcheongbuk-do, Korea

충청북도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자원식물상

  • You Ju-Han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Cho Heung-Won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Jin Yeon-Hee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Yun Hee-Bin (Chungcheongbuk-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Lee Gwi-Yong (Chungcheongbuk-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Han Ju-Hwan (Chungcheongbuk-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Lee Cheol-Hee (Department of Horticultu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유주한 (충청북도수목 산야초연구센터) ;
  • 조흥원 (충청북도수목 산야초연구센터) ;
  • 진연희 (충청북도수목 산야초연구센터) ;
  • 윤희빈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 이귀용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 한주환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systematically to grasp the resource plants in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Jecheon-si, Chungcheongbuk-do, Korea. This site was located at $37^{\circ}12'$ in latitude and $127^{\circ}57'$ in longitude and the period of survey was from March to October, 2004.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71 taxa; 83 families, 238 genera, 324 species, 44 varieties and 3 forma. And in the results of survey on resource plants, we confirmed 178 taxa of ornamental plants$(47.98\%)$, 232 taxa of edible plants$(62.53\%)$, 257 taxa of medicinal plants$(69.27\%)$ and 154 taxa of other useful plants$(41.51\%)$.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4 taxa; Eranthis stellata, Paeonia japonica, Viola albida and Scopolia japonica.

본 연구는 충청북도 제천시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자원식물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지역은 북위 $37^{\circ}\;12'$, 동경 $127^{\circ}\;57'$에 위치하고 2004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상은 83과 238속 324종 44변종 3품종 등 총 371종류가 확인되었고 자원식물상 조사결과 관상용 식물자원은 178종 $(47.98\%)$, 식용 식물자원은 232종$(62.53\%)$, 약용 식물자원은 257종$(69.27\%)$, 기타용 식물자원은 154종$(41.51\%)$로 나타났다.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너도바람꽃, 백작약, 태백 제비꽃, 미치광이풀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 남춘. 1997. 사면 녹화 공사용 자생 목본식생의 파종 적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1):73-81
  2. 김시동, 박수영, 김태중, 정인명, 김성민. 1996. 잔대 종자 발아촉진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2):171-176
  3. 김정률, 유창연, 조동하, 성은수, 정재영, 김희규. 1998. 약용자원식물 구절초의 고소득화를 위한 번식체계 확립 및 재분화 식물체의 광합성 능력 증대 I . 구절초의 기내배양 및 재분화 식물체의 RAPD 분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1(1):1-8
  4. 노태홍, 서관석. 1993. 수집종 쑥(Artemisia sp.)의 생육특성 및 성분함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2):171-177
  5. 노태 홍, 서 관석 . 1994. 수집 종 쑥(Artemisia sp.)의 조기 재배시 생육특성과 화학성분 함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1):95-100
  6. 도상학, 안덕균, 상낙술.1997. 주요수입 생약제 품질 평가및 자급생산기술개발보고서.농림부
  7. 도재화, 박선주, 김주환.2002. 통고산(경북)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5(3):188-210
  8. 박완근, 백원기, 이우철, 안상득. 1997.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0(1):64-85
  9. 백원기, 이우철, 박완근, 안상득. 1996. 한석산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2):121-142
  10. 백정애 , 강승원, 노아란, 윤미정 , 박천호. 2000. 광, 온도, GA3 및 KNO3 처리가 산국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18(2):218
  11. 산림청.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중부임업시험장. pp.255
  12. 서병기, 박석근, 지형준, 정일민, 심경구, 심재성. 1994. 방향성 식물자원의 정유함량에 관한 연구 I .목련과,운향과수목의 시기 및 부위별 정유함 량. 한국자원식물학회지 7(2):127-132
  13. 서종택, 유승열, 김원배, 최관순, 김병현.1996. 고려 엉겅퀴(곤드레)의 종자발아 및 차광재배 효과 구 명.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2): 151-156
  14. 손관화,김기선.2003.방향성 자생 향유및 꽃향유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Uniconazole 처리효과. 한국원예학회지 44(5):947-954
  15. 송주택 .1985. 식물학대사전 . 거북출판사. pp.1582
  16. 송호경, 이선, 이미정, 지윤의. 2001. 자연생태관 조성을 위한 식물자원 조사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 지 19(2):113-118
  17. 신수철. 1996. 고들빼기의 김치 가공적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2): 105-112
  18. 안상득,김수철,이상래.1994 백두산자원식물조사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7(1):53-61
  19. 안영희, 김세화, 이정희, 이상태. 1999. 한국산 원추리속식물의 화분분류학적 연구.한국원예학회지 40(4):505-510
  20. 안영희, 양영철.2001. 자원식물 활용을 위한 서운산 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4(3):259-276
  21. 오세명,정형진,권순태.1999.토양조건이 더덕의 생육특성 및 향끽미물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4):282-288
  22. 우보명, 전기성, 김경훈, 최형태. 1996. 고속도로 비탈면에서 주변환경을 고려한 녹화공법과 식생선 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4):619-633
  23.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김덕식, 이철희. 2004. 충청북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7(2): 122-134
  24. 윤의수. 1990. 추월산 한약자원식물의 분포 및 분류 체계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1):41-63
  25. 이병현, 조진기. 1990. 목초자원의 수집 보존 및 특성 조사. 경북대농학지 8:59-64
  26. 이영로.1996.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pp.1237
  27. 이승택, 채영암. 1996. 약용작물재배. 향문사. pp.101-105
  28. 이정석, 장연경.2002. 자생 좀비비추(Hosta minor) 잎무늬종의 형태적 특성 및 RAPD에의한유연관 계 분석 . 한국원예학회지 43(3):373-378
  29.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990
  30. 이희덕,허성수.1996. 고채(왕고들빼기) 생육특성과 식용방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1 ):41-46
  31. 임진희 , 상채규. 1990. 노루귀(Hepatica asiatica Nakai) 재배화를 위한 자생지 생육환경에 대하여. 한국원예학회지 31(1):81-89
  32. 장계현, 박정민, 강진호, 이성태. 1998 둥굴레 속 식물의 생육 및 개화 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6(2):142-148
  33. 전기성 , 우보명 .1996. 녹화용 자생 목본식물과 초본 식물 종자의 혼파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2):271-279
  34. 정정학, 김기선. 1991. 한국 자생나리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32(3):411-418
  35. 최명철. 1992. 산나물재배와 이용법. 오성출판사. pp.347-349
  36. 최희선, 이상수, 이용범.2001. 옥상정원에 이용가능 한 혼합 인공토양의 종류 및 토심에 따른 비비추 의 생육반응. 한국조경학회지 29(3):46-54
  37. 하상국, 전재기, 최상태. 1988. 할미꽃(Pulsatilla koreana)의 화아분화 및 촉성재배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29(1):4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