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Stability in the Riboflavin Content of Dietary Supplements on Storage Conditions

국내유통 비타민보충용제품의 저장조건에 따른 비타민 $B_{2}$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 Kim So-Hee (Seoul Regional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Kim Ji-Yeon (Seoul Regional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Lee Young-Ja (Seoul Regional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김소희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 김지연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 이영자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stability of riboflavin in dietary supplements. Dietary supplements were in the type of tablet, powder, capsule and liquid. Various factors on the stability of riboflavin such as effect of light,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were examined using HPLC method. Samples were exposed to various temperatures (-9, 4, $30^{\circ}C$) and light at room temperature far 9 months. As well as storage period became longer, reduction rate constant of riboflavin increased. Riboflavin reduction rate constants were higher during storage with light than without ligh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reduction rate constants in types of dietary supplement. In other words, riboflavin in tablet types was significantly more stable than the others, and liquid type was the most unstable. Therefore, type, light, and packing container of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riboflavin w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stablish their appropriate shelf lives. In consideration with riboflavin decrease in dietary supplements, riboflavin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nutritional labelling guide when predicting them at the end of shelf lives.

HPLC를 이용하여 국내유통 비타민보충용제품 16종에 대한 비타민 $B_{2}$ 저장조건별(기간, 차광유무, 온도)경시변화를 제형별로 분석하여 비타민 $B_{2}$ 함량면화를 검토하였다. 저장조건(저장기간, 차광유무, 저장온도)를 달리한 결과 비타민 $B_{2}$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저장을 시작한 처음 5개월 이전에는 비타민 $B_{2}$ 경시변화가 심하고 그 이후에는 점차 작은 변화를 보였다. 차광유무에 따른 경시변화를 보면 차광한 제품이 비차광한 제품보다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온도별 안정성을 보면 냉장($4^{\circ}C$), 냉동($-9^{\circ}C$), 실온($30^{\circ}C$)순으로 감소율이 커졌으나 제형별로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았다. 따라서 비타민B2는 온도보다는 빛에 더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형별로는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정제제품이 각 조건에서 타 제형보다 경시변화가 적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캅셀, 분발, 액상 순으로 액상제품이 가장 큰 경시변화를 보였다, 비타민보충용제품 제조시에는 유통과정 중 제형별, 저장기간, 차광유무 등 저장조건에 따른 경시변화결과를 비타민B2 함유제품의 유통기한 설정에 활용하는 것이 요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우원미, 중년남성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2. 양융준, 내원자에 대한 일부 건강식품 섭취조사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3. Morreale, S. L. and Schwartz, N. E. Helping Americans eat right. Developing practical and actionable public nutrition education messages based on the ADA Survey of American Dietary Habits. J Am. Diet. Assoc. 47, 263 (1995)
  4. 김미혜, 정소정, 소유섭, 김명철, 김창민, 칼슘, 키토산, 프로폴리스 건강보조식품중 중금속 모니터링을 통한 납기준 제정, 한국식품과학회지, 33(5), 525-528, (2001)
  5. Menrad, K. Market and marketing of functional food in Europe. J Food Engineering. 52, 181-188 (2003)
  6. 송병춘, 김미경, 미취학 아동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31(6). 1066-1075, (1998)
  7. Chul Joon L, Dong hyo C. Biochemical studies on the riboflavin in greenbeans druing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 29-35 (1961)
  8. 황금희 한국인 성인남자의 리보프라빈 대사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 594-603, (1994)
  9. 김혜영, 단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소시지-채소 볶음과 마늘쫑 볶음의 생산단계 및 보관단계에 따른 리보플라빈 함량변화(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461469 (2002)
  10. 임화재, 윤진숙, (1990) 한국인 상용식품중의 리보플라빈 함량추정에 관한 문제점, J Korean Soc. Food Nutr. 19. 7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