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by University Students in Chonbuk Area

전북지역 향토음식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 Yang Hyang-Sook (Dep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Rho Jeong-Ok (Dep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양향숙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in area by students living in Jeonju.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10.0 program. The recognition of native local foods was generally poor: Among 56 kinds of native foods only Jeonjubibimbab, Jeonjukongnamulkukbob and Sunsoonsabockbunjasul were highly recognized, whereas the other native foods (such as Pungchyunjangaguvi. Namwonchuatang, Jeonjukongnamulkukbob, Sunsoonsabockbunjasul, Pungchyunjangaguyi, Namwonchuatang, Minmulgokiajuk etc.) were very poorly recognized by students. About $48.6\%$ of the students acquired the knowledge on cooking the native local foods from their mother or grandmother. About half of the students had eaten the native local foods in a restaurant, but not at home. The reasons to eat the native local foods were 'curiosity', 'favorite' and 'consider about health and nutrition'.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consumption of the native foods by the students was once a month($24.0\%$). However $74.9\%$ of the students did not eat local foods because they did not have a opportunity to eat them. About $49.1\%$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unknown cooking method' was an important problem for the further development for native local foods. Most of the students($97.3\%$) responded, somewhat hypocritically, that native local foods were a very important part of our culture, so they must be maintained. In conclusion, the further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was dependent on the cooperation with different institutions (e.g. marketing of local mass media, local events, family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숙, 이재경(1991). 강원도 향토음식에 관한 주부의 인지도 조사연구. 가정문화논총, 10, 87-127
  2. 김복일, 오영준(1998). 광주.전남지역 향토음식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정보학회, 2, 195-226
  3. 김성미(2001). 경북지역 대학생의 전통음식에 대한 태도(II). 한국조리과학회지, 17(2), 139-148
  4. 노정옥, 우경자(2003a). 인천지역 대학생의 떡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1), 1-17
  5. 노정옥, 우경자(2003b). 인천지역 대학급식소의 이용 실태 및 식습관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3), 362-369
  6. 신길만, 홍철희(2000). 담양권 대나무이용 향토음식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6(3), 243-261
  7. 신민자, 김옥선, 정재홍(2004). 수도권 지역의 연령에 따른 전통 떡류의 이용현황.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4(6), 551-560
  8. 신애숙(2000). 부산의 전통.향토음식의 현황 고찰. 조리학회, 6(2), 67-78
  9. 신애숙, 우문호(1999). 양산대학생들의 음주행동에 관한 조사연구(I).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4(2), 131-137
  10. 양이선, 황춘선(1990). 제주도 향토음식에 관한 대학생의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5(3), 317-330
  11. 우경자, 양향숙, 노정옥(2005). 대학생의 외식행동과 식당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5(2), 235-245
  12. 윤계순, 송요숙(1996). 전통 밑반찬의 인지도와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II) -마른반찬 및 자반류-.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1(5), 593-600
  13. 윤숙경(1994). 안동지역의 향토음식에 관한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9(1), 61-69
  14. 윤은숙, 송태희(1995). 우리나라 향토음식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 11, 145-152
  15. 이경애, 장영애, 김우경(1993a). 남녀대학생돌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4), 183-191
  16. 이경애, 장영애, 김우경(1993b). 남녀 대학생들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지식 및 섭취실태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3), 187-195
  17. 이연정, 최수근(2004). 경주지역 향토음식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기호도 조사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7(1), 157-175
  18. 이춘자(2000). 전라도의 향토음식. 국민영양, 11, 31
  19. 전라북도 농촌진흥원(1996). 전북음식
  20. 정차권, 강일준, 김현숙, 남상명, 김동준, 이민철(1996). 위암을 유도시킨 흰쥐에서 한국 전통 식품이 위암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9(7), 821-829
  21. 정효선, 서경화, 신민자(2004). 전통떡류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용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20(1), 26-33
  22. 조연숙, 홍상욱, 한재숙(1988). 전통음식에 관한 도시 주부들의 의식조사 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3(3), 281-292
  23. 최순남, 정남용, 윤미은(2002). 서울 지역 대학생의 식습관 및 식생활태도에 관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7(1), 57-63
  24. 허은정(2003). 주류에 대한 도시가계의 구매결정과 지출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1(5), 1-13
  25.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1993).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137
  26. 황춘선, 장순영(1987). 여대생의 식습관 에 관한 연구. 여성문제연구, 29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