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ypology on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Workers

직장인의 시간관리행동 유형화 연구

  • Chae, Hwa-Young (Dept. of Consumer Studies & Resource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 ;
  • Lee, Ki-Young (Dept. of Consumer Studies & Resource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
  • 채화영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 ;
  • 이기영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reveal the sub-dimensions of time management behaviors and secondly to group workers by time management behavio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Factor analysis of the 36 items on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instrument revealed three components: factor planning, relations-intention, and urgency. (2)Worke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by the level of those three factors of time management behaviors: 'accomplishment type'($28.31\%$), 'chronic-urgency type'($24.39\%$), 'valuing-job type'($23.73\%$) and 'valuing-human relations type'($23.57\%$). (3)The accomplishment type gained the highest points on the time management satisfaction score, and the level of important${\cdot}$non-urgencies was the highest score, indicating that the accomplishment type had good time management. However, the level of unimportant${\cdot}$urgencies was the highest score. Therefore, this type should try to reduce the level of unimportant${\cdot}$urgencies.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연(1993). 취업주부의 시간관리행동이 시간갈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효정(2001). 기혼여성 재택근무자와 직장근무자의 가사노동 시간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83-96
  3. 두경자(1991). 가정관리 체계모형의 실증적 검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두경자(2002). 생활시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신광출판사
  5. 서미경(1996). 주부의 Life-Style 과 시간제약지각 및 시간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5(1), 15-3 1
  6. 유성은(2000). 시간관리와 자아실현. 생활지혜사
  7. 윤은기(2004). 빠름의 시테크 느림의 시테크. 무한
  8. 이기영, 김외숙(2002).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9. 이나미(1994). 주부의 시간지각 및 시간성향에 따른 시간관리행동과 가정생활만족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미선, 이정우(1997). 전문.사무직 취업주부의 가사노동 관리방안 및 가사노동 관리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5(2), 201-216
  11. 이승미(1989). 주부가 지각한 시간제약과 가사노동의 수행방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승미(1997). 가족공유시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연숙(1996). 체계 내 역동성 요소에 근거한 가족유형에 따른 주부의 가정관리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4(3), 295-308
  14. 이정숙(1983). 도시주부의 가정관리능력 및 자아실현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정숙, 이정우(1995). 취업주부의 시간관리전략이 가정관리행동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3(4), 129-147
  16. 이현아(2001). 주부의 인터넷사용으로 인한 가족체계의 하위요소변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임종원, 박형진, 강명수(2003). 마케팅조사방법론. 법문사
  18. 조성은, 문숙재(1991). 주부의 가사노동 시간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95-112
  19. 한경미(1993). 시간관리행동과 관련변수: 취업주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11(2), 83-95
  20. 한지수(2003). 부부의 시간사용유형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홍성희(1994). 부부의 시간계획 및 관리전략에 따른 관리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학가정학회지, 32(1), 47-59
  22. 소중한것 먼저 하기 프로파일 기업용자기 평가 설문지. 한국리더십센터
  23. Burr, W. R. (1970).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Marriage over the Life Cycle: Random Middle Class Sampl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5(3)
  24. Campbell, A., R. E. Converse, & W. L. Rodgers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25. Hawkin, J. L., & L. Trans (1968). Association satisfaction of marriage and the family
  26. Hugley, B. C. (1976). Managerial Orientation and its Effect on Level of Liνing, Unpublished Matser these. Iowa State University
  27. Lee, Yonsuk (1988). Time management strategies: relationship to perceived time conflicts and life satisfaction. Iowa State University
  28. Macan, Therese Hoff et al. (1990).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cor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4)
  29. Murdrack, Peter E. (1997). The structure of perceptions of tim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7(2)
  30. Rice A. S., & S. M. Tucker (1986). Family Life Management
  31. 문숙재, 김정옥 역(1990), 가정자원관리, 동명사
  32. Robinson, J., & G. Godbey (2000).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The Pennsylvania State Univ
  33. Seiwert, 박기안 역(1993). Time is money: save it, 시간관리학, 미래비지니스
  34. Stephen R. Covey, A. Roger Merrill, & Rebecca R. Merrill (1994). First Things First
  35. 김경섭 역(2003). 소중한 것을 먼저 하라,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