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rritoriality and the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of a Commoner's Settlement in Modern Times

${\cdot}$현대 민촌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 -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의 사례 -

  • Jeon Jong-Han (Research Center for Settlement Commun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전종한 (충남대학교 마을공동체연구단)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author inquired the multi-layered sphere of a commoner's settlement of Jangha-ri in modem times to approach the territoriality and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of it. This settlement has originated in a lineage settlement of Jinju-Gang, and has experienced socio-spatial cohesion since its making(the 17th Century). Especially, it is found that the territoriality of Jangha-ri has fluctuated in times and has obtained multi-layeredness according to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to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o the political relationship of villagers. As a result, it is interpreted that the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and territoriality of Jangha-ri in modem times do not only have a physical reality, but also social, political, cultural one.

이 논문은 근${\cdot}$현대 민촌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에 접근하는 일환으로 촌락민의 제 관계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촌락권의 중층성 문제를 탐구한 것이다. 연구 지역인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는 금강 범람원 변에 입지한 민촌적 배경의 진주강씨 종족마을이다. 이 촌락은 마을이 형성된 17세기 이후 지금까지 견고한 사회적 집단성을 바탕으로 20세기 중후반의 이른바 촌락 해체기를 경험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근 현대시기를 지나면서 이 마을에는 촌락민들을 둘러싼 제 관계를 반영하며 촌락 영역의 다양한 경계들, 즉 중층적 촌락권이 만들어져 왔다. 필자는 촌락민을 둘러싼 제 관계를 인간-자연관계, 사회적 관계, 정치적 관계라는 세가지 차원으로 나누어서 각각에 상응하는 촌락권의 범위와 내용을 검토하였다. 장하리와 검신들을 묶는 인간-자연 관계의 촌락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장하리와 북고리를 연결하는 통혼권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의 촌락권이 19세기 이후 여전히 존속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최근에는 장하리, 북고리, 상황리, 하황리로 연결되는 정치적 연대의 촌락권이 출현하였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과거의 신분 관계에 기초한 통혼권의 경우처럼 특정 촌락권이 소멸하기도 하지만 근 현대 이후 사회 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새로운 유형의 촌락권이 탄생하는 경우도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요컨대 중층적 촌락권으로 대변되는 이 마을의 영역성은 장하리 주민들이 처했던 환경적 특수성을 표현하고 사회${\cdot}$문화적 차별성을 표상하며 정치적 연대성을 함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地籍圖(충청남도 부여군청)
  2. 舊土地臺帳(충청남도 부여군청)
  3. 朝鮮の聚落(1935, 朝鮮總督府)
  4. 扶餘郡誌(1987, 扶餘郡誌編纂委員會)
  5. 晉州姜氏世譜(1918)
  6. 晉州姜氏通溪公派中正公家譜(1979)
  7. 大倧敎重光六十年史(1971, 大倧敎總本司)
  8. 김일철 외, 1998, 종족마을의 전통과 변화, 백산서당, 서울
  9. 김 준, 2004, 어촌사회 변동과 해양생태, 민속원, 서울
  10. 김필동, 2000, '한국 종족집단의 형성과 변동,' 농촌사회, 10, 261-292
  11. 문옥표 외, 2004, 조선양반의 생활세계, 백산서당, 서울
  12. 박찬승, 2000, '한국전쟁과 진도 동족마을 세등리의 비극,' 역사와 현실, 39, 274-308
  13. 부여문화원, 2001, 부여의 민간 신앙, 북커뮤니케이션즈, 대전
  14. 오영교, 2004, 강원의 동족마을, 혜안, 서울
  15. 오영교, 2004, 강원의 동족마을, 혜안, 서울
  16. 이문종, 1998, '村落,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그 구조적 이해와 촌락 조사를 위한 시론적 연구,' 지역개발연구논총, 7,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1-16
  17. 이용기, 2001, '마을에서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 기억,' 역사문제연구, 6, 11-55
  18. 이창기, 2003, 울릉도, 독도, 동해안 어민의 생존전략과 적응, 영남대학교출판부
  19. 윤택림, 2003, 인류학자의 과거 여행 - 한 빨갱이 마을의 역사를 찾아서 -, 역사비평사, 서울
  20. 장세옥, 2002, '일제하 부여지역 동족마을의 농민운동 연구,' 호서사학, 33, 61-103
  21. 전종한, 2002, '종족집단의 거주지 이동과 종족촌락의 기 원에 관한 연구,' 사회와 역사, 61, 87-124
  22. 전종한, 2004, '사족집단의 사회관계망과 촌락권 형성과정: 烏棲山의 溪居地 靑蘿洞을 사례로,' 문화역사지리, 16(2), 36-52
  23. 정근식 외, 2003, 구림연구 - 마을공동체의 구조와 변동 -, 경인문화사, 서울
  24. 정진영, 1998,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한길사, 서울
  25. Brace, C., 1999, Finding England Everywhere: regional identity and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1890-1940, Ecumene, 6(1), 90-109
  26. Claval, P., 2005, Reading the rural landsca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0(1-2), 9-19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14
  27. Cloke, P., et al., 1994, Writing the Rural: Five Cultural Geographies, Paul Chapman Publishing Ltd., Londons
  28. Little, J., 1999, Otherness, representation and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rurality, Progress in Humane Geography, 23(3), 437-442 https://doi.org/10.1177/030913259902300307
  29. Lowenthal, D., 1994, European and English landscape as national symbols, in Hooson, D.(ed.), Geography and National Identity, Blackwell, Oxford, 15-38
  30. Mitchell, C. J. A., 2004, Making sense of counterurbanization, Journal of Rural Studies, 20, 15-34 https://doi.org/10.1016/S0743-0167(03)00031-7
  31. Palang, H., et al., 2005, Rural landscape: past processes and future strateg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0(1-2), 3-8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01
  32. Phillips, M., 1998, The restructuring of social imaginations in rural geography, Journal of Rural Studies, 14(2), 121-153 https://doi.org/10.1016/S0743-0167(97)00056-9
  33. Sack, R. D., 1983, Human territoriality: a theor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3, 55-70 https://doi.org/10.1111/j.1467-8306.1983.tb0139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