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ynecology of the Forest Vegetation in Namhae-gun

남해군 삼림식생의 군락생태

  • Lee, Ji-Hoo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In-Taek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지훈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김인택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The forest vegetation of Namhae-gun was investigated using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from March, 1998 to September, 2003.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2 communities, 11 subcommunities, 5 afforestations as follow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typical subcommunit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Ouercus serrata community(typical subcommunity, Acer pseudo-sieboldianum subcommunity), Ouercus variablis community(typical subcommunity, Platycarya strobilacea sub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Carpinus coreans community, Styrax japonica community, Zelkova serrata community,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typical subcommunity, Rhododendron mucronulatum subcommunity, Carpinus laxiflora sub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typical subcommunity, Eurya Japonica subcommunity),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community, Chamaecyparis obtusa afforestation, Alnus firma afforestation, Pinus rigida afforestation, Robinia pseudo-acacia afforestation, Cryptomeria japonica afforestation. The soil pH of the study area was ranged from 4.2 to 5.4, and soil moisture content was strongly related to organic matter content. The Corylopsis coreana community contained the highest soil moisture content, where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ntained the lowest one.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were $15.8\sim19.1%$ in the Quercus mongolica, Carpinus coreans and Ouercus serrata communities, $3.3\sim5.4%$ in the Quercus acutissima, Corylopsis coreana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ies, and $2.8\sim5.6%$ in the Pinus rigida and Cryptomeria japonica afforestation.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contents of cations($K^+$, $Ca^{2+}$ and $Mg^{2+}$).

1998년 3월부터 2003년 9월까지 남해도 및 인접도서를 포함하는 남해군의 삼림식생에 대해 Z.-M.방법에 의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조사지역의 삼림식생은 신갈 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당단풍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굴피나무하위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때죽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히어리군락, 소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진달래하위군락, 서어나무하위군락), 곰솔군락(전형하위군락, 사스레피나무하위군락), 산철쭉군락, 편백식재림, 사방오리식재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 삼나무식재림 등 총 12군락, 11하위군락, 5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본 조사지역 삼림의 토양분석결과 삼림토양의 pH는$4.2\sim5.4$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함수량은 유기물함량과 유의성이 높은 가운데 산철쭉군락이 가장 높고, 소나무군락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기물함량은 신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에서 비교적 높게$(15.8\sim19.1%)$ 나타났고, 상수리나무군락, 히어리군락, 곰솔군락에서는 낮게$(3.3\sim5.4%)$ 나타났다. 식재림은 대부분 낮았으며. 리기다소나무식재림(2.8%)과 삼나무식재림(5.6%)이 가장 낮았다. 치환성 양이온($K^+$, $Ca^{2+}$ and $Mg^{2+}$)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삼식, 박광우, Antony S. Kirkham. 1989. 남해도의 관속식물 분포 조사. 농연보 23: 77-107
  2. 김인택, 송민섭, 백양기. 1995. 호구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환경연구논문집 4: 77-108
  3. 김인태, 이지훈, 박태호. 2000. 망운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환경연구논문집 9: 57-73
  4. 김인택, 이지훈. 2003. 님해군 금산지역 식생에 관한 연구. 생명과학회지 13: 740-745
  5. 농촌진흥청. 1988. 토양화학분석법. 450 p
  6. 남해군. 1974-2003. 남해군통계연보
  7. 류병혁. 1997. 거제도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8 p
  8. 문창국, 김삼식. 1977. 남해도의 천연기념수립과 그 수종. 한국조경학회지 10: 45-50
  9. 신현철. 1990. 금산의 삼림식생 구조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9 p
  10. 양인석, 김원. 1970. 남해군의 식물상. 식물분류학회지 2: 1-10
  11. 오인규. 1991. 창선도의 식생과 토양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63 p
  12. 이수욱. 1981. 한국의 삼림토양에 관한 연구(II). 한국임학회지 54: 25-35
  13.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8(부록): 1-33
  14. 이호준, 정홍락, 변두원, 김창호 1993. 일월산의 삼림식생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6: 239-259
  15. 이호준, 김종홍, 전영문, 정흥락. 2003. 영종도 삼림식생의 군락생태. 한국생태학회지 26: 223-236
  16. 정흥락. 1999. 대구인접지역의 삼림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8 p
  17. 조윤신, 오계칠. 1987. 서울근교 자연생 소나무림에 대한 ordination 방법의 적용. 한국생태학회지 10: 63-80
  18. 진현오, 이명종, 신영오, 김연제, 전상근.1994. 삼림토양학. 향문사. 325 p
  19. 환경처. 1991. '90자연생태계 전국조사(II-3). pp 343-386
  20. 환경청. 1989. 자연생태계전국조사지침. pp 39-58
  21. Braum-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 p
  22.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 Ph. D. Thesis. Wien University. 314 p
  23. Miller, R W. and R.L. Donahue. 1990.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 and plant growth. 6th ed. Prentice-Hall. 768 p
  24. Mii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 p
  25.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 Ecol. 25: 7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