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Local Climatic Regions in Korea

우리나라 상세기후지역의 구분

Lee, Seung-Ho;Heo, In-Hye;Lee, Kyoung-Mi;Kwon, Won-Tae
이승호;허인혜;이경미;권원태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Local climate of South Korea is diverse due to complexity of toof study is to classify local climatic regions based on geographical factors, and vegetation, crops and housing types. Altitude is the most important geographic factor in the establishment of climatic regions. It is defined the area over 300 m above the sea level as the mountain climatic region. The Phylostachy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Hedera rhombea of natural vegetation have become indices of climatic division. The setup of folk house is an index of inland and coastal climatic division of Jungbu region. Also, the northern limit of precocious species rice plants is similar to the boun-dary of mountain climatic region, that of wintering Chinese cabbage if boundary between Nambuclimatic region. The meso-climatic region of South Korea can be divided into Jungbu, Nambu, southern coast and islands, and mountain climatic regions by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crops and the setup of folk houses. The boundaries between the southern type and the northern type garlic, and the northern limit of highland potato and tea tre, the mountain range in Sangyungpyo, the setup of folk houses, and the flowering time of cherry blossom have been selected as boundary indices of local climatic division. Finally, South Korea is divided into 48 local climatic regions.

Keywords

References

  1. 공우석, 2001: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6, 444-457
  2. 김광식, 1962: 한국의 기후구분, 식물보호, 1, 11-19
  3. 김기덕, 이승호, 2001: 기후특성과 관련된 제주도의 민가 경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 29-43
  4. 김연옥, 1962: Thornthwaite의 신분류법에 의한 한국의 기후구분,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3, 235-251
  5. 농촌진흥청, 1994: 과수적지선정기술, 표준영농교본
  6. 농촌진흥청, 2002: 고랭지 채소재배기술, 고랭지시험장
  7. 문영수, 1990: 클러스터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26, 203-215
  8. 박용구, 2000: 우리나라 차나무 분포에 관한 연구-북한계지 를 중심으로, 2000년 한국차학회심포지움
  9. 박정규, 이승만, 1993: 연강수량에 의한 남한의 강수지역구 분, 한국기상학회지, 29, 117-126
  10. 오경섭, 2003: 국토 이해의 밑그림이 되는 산지 인식 방향, 한국지형학회지, 10, 101-103
  11. 오병훈, 1992: 서해 백령도의 동백나무 자생지, 한국자생식 물보존회, 자생식물, 29, 278-279
  12. 오수영, 박재홍, 2002: 한국 유관속식물 분포도, 아카데미서적
  13. 이동규, 박정균, 1999: 군집 분석을 이용한 남한의 여름철 강수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35, 511-518
  14. 이선화, 김상구, 1992: 한국 내 동백나무의 자생분포 및 조작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33, 196-208
  15. 이승호, 1993: 계량적 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구분, 지역과 환경, 11, 1-15
  16. 이승호, 이경미, 2003: 기온 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시기의 변화 경향, 환경영향평가학회, 12, 85-99
  17. 이우승, 1994: 한국의 채소, 경북대학교 출판부
  18.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19. 임경빈, 이수욱, 1975: 조림학적으로 본 온도인자 - 온량지수 와 냉량지수를 중심으로 -, 한국임학회지, 25, 1-12
  20. 정관영, 정영선, 황병준, 1999: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한반도 강설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35, 466-473
  21. 정상림, 공우석, 1984: 한국의 茶나무 분포에 대한 기후학적 연구, 지리학연구, 9, 583-594
  22. 정영호, 1991: 식물대백과(현화식물편), 아카데미서적
  23. 조근호, 곽병화, 1992: 국내에 있어서의 춘란 및 동백나무 자생지와 그 분포 생태에 관하여, 한국원예학회 논문발표 요지, 10, 132-133
  24. 조석필, 2001: 태백산맥은 없다, 사람과 산
  25. 최진식, 1990: 남한의 강설지역구분과 강설의 지역적 특성, 지리학, 41, 35-48
  26. 충북기술원, 2000: 난지형 마늘 고위도 및 내륙지역 재배실태 조사, 152-521
  27. 하장성, 이승호, 권원태, 2003: 우리나라 작물 분포와 기후와 의 관계 -벼, 월동배추를 사례로-, 한국기상학회지, 39, 531-450
  28. 한지만, 이상해, 2001: 경기지역 민가의 배치형식과 외부 공 간 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7, 201-210
  29. 황상일, 2003: 태백산맥과 산경표 산맥 체계의 지형학적 의 미, 한국지형학회지, 10, 138-140
  30. 植木秀榦, 1933: 朝鮮森林植物帶, 植物分類及地理, 2, 73-85
  31. Basalirwa, C. P. K., J. O. Odiyo, R. J. Mngodo and E. J. Mpeta, 1999: The climatological regions of Tanzania based on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19, 69-80 https://doi.org/10.1002/(SICI)1097-0088(199901)19:1<69::AID-JOC343>3.0.CO;2-M
  32. Bunkers, M. J., J. R. Miller Jr. and A. T. DeGaetano, 1996:Definition of climate regions in the Northern Plains using an objective cluster modification technique, Journal of Climate, 9, 130-146 https://doi.org/10.1175/1520-0442(1996)009<0130:DOCRIT>2.0.CO;2
  33. DeGaetano, A. T., 2001: Spatial grouping of United States climate stations using a hybrid clustering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1, 791-807 https://doi.org/10.1002/joc.645
  34. Fovell, R. G. and M. C. Fovell, 1993: Climate zones of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defined using cluster analysis, Journal of Climate, 6, 2103-2135 https://doi.org/10.1175/1520-0442(1993)006<2103:CZOTCU>2.0.CO;2
  35. Kansakar, S. R., D. M. Hannah, J. Gerrard and G. Rees, 2004: Spatial pattern in the precipitation regime of Nepal,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4, 1645- 1659 https://doi.org/10.1002/joc.1098
  36. Unal, Y., T. Kindap and M. Karaca, 2003: Redefining the climate zones of Turkey using cluster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 1045-1055 https://doi.org/10.1002/joc.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