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bility of NRCS-CN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echarge

지하수함양량 산정을 위한 NRCS-CN방법의 적용성

Bae, Sang-Keun
배상근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Several methods are reported in determining groundwater recharge rate for a given watershed. Groundwater recharge depends on land use and soil characteristics, and therefore methods which consider these factors such as NRCS-CN method and baseflow separation method are desirable.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NRCS-CN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the groundwater recharge was predicted by the NRCS-CN method and the base flow separation method in five actual watersheds. Then, the applicability of the NRCS-CN method was tested. The average groundwater recharge rate calculated by NRCS-CN method is 248.98 mm (SD=140.1 mm) and 278.57 mm (SD=147.90 mm) in the case of baseflow separation method. It means that the average groundwater recharge rate determined by baseflow separation method is larger than that of NRCS-CN method. t value is -0.935 (P=0.353) from the results of t-test. It foll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s in statistics. It is found that the NRCS-CN method is can be used to predict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어떤 특정 지역의 지하수함양량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지하수함양은 토지이용과 토양특성에 영향을 받음으로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 할 시에는 이에 대한 고려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고려 할 수 있는 방법에는 NRCS-CN방법과 기저유출분리법이 있다.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위한 NRCS-CN방법의 적용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5개의 소유역에 대하여 NRCS-CN방법과 기저유출분리법을 사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였다. NRCS-CN방법으로 구한 평균 지하수 함양량은 248.98 mm(SD=140.1 mm)이고 기저유출분리법으로 구한 평균 지하수 함양량은 278.57 mm(SD=147.90 mm) 이었다. 이는 기저유출분리법으로 구한 평균 지하수 함양량이 NRCS-CN방법으로 구한 값 보다 큼을 나타낸다. t-test 결과 t 값이 -0.935(P=0.353)로 두 방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NRCS-CN방법은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는데 적절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83-2003)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2. 김경호, 윤영호, 조재혁(1998) SCS-CN 방법에 의한 초정지역의 함양량 산정.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충북대학교, 제17권, 제2호, pp. 1-15
  3. 박재성, 김경호, 전민우, 김지수(1999) 소유역의 지하수함양율 추정기법. 한국지하수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환경학회, 제6권, 제2호, pp. 76-86
  4. 박창근(1996a)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 1. 개념정립과 기법의 개발. 한국지하수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환경학회, Vol. 3, No. 1, pp. 15-20
  5. 박창근(1996b)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 2. 5대강 유역에의 적용. 한국지하수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환경학회, Vol. 3, No. 1, pp. 21-26
  6. 배상근(2002) 지하수함양량 산정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3호, pp. 50-59
  7. 배상근, 이승현(2004) 소유역의 강수에 의한 지하수함양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5호, pp. 397-406
  8. 정영훈, 김경호(2000) SCS-CN 방법에 의한 미원면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충북대학교, 제19권, 제2호, pp. 181-190
  9. 최병수, 안중기(1998) 지역단위 지하수 자연함양률 산정방법 연구. 대한지하수환경학회, 제5권, 제2호, pp. 57-65
  10. Aron, G., Miller, A. and Laktos, D. (1977) Infiltration Formula Based on SCS Curve Number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 Div. ASCE, Vol. 103. No. IR4, pp. 419-427
  11. Bosznay, M. (1989) Generalization of SCS curve number method,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ASCE, 115(1), pp. 139-144 https://doi.org/10.1061/(ASCE)0733-9437(1989)115:1(139)
  12. Hjelmfelt, A. T. (1980) Curve Number Procedures as Infiltration Method. Journal of Hydraulic. Div. ASCE, 106, No. HY 6, pp. 1107-1111
  13. Mayboom, P. (1961)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from stream hydrograph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66(4), pp. 1203-1214 https://doi.org/10.1029/JZ066i004p01203
  14. SCD (1972) Handbook of Hydrology. Soil Conservation Department, Ministry of Agriculture, New Delhi
  15. Soil Conservation Service (1969, 1971) Hydrology. SCS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16. Springer, E.P., McGurk, B.J., Hawkins, R.H.and Goltharp, G.B. (1980) Curve Numbers from watershed data. Proc., ASCE, Irrigation and drainage symposium on watershed management, 2, pp. 938-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