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 Smoking and Family Function

청소년 흡연과 가족기능의 관련성

Lee, Hwi-Kon;Hwang, Hwan-Sik;Park, Hoon-Ki;Lee, Jung-Kwon
이휘곤;황환식;박훈기;이정권

  • Published : 20050300

Abstract

Background: Recently, adolescent smok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our society. In this study, we surveyed smoking status, family function by Korean family function assessment tool, history of abuse, and others to know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for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In May 2001, a total of 1,033 students from 2 male and 2 female general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assessed with self-completing questionnaire. Among the total, there were 502 male and 533 female students. Results: The percentage of male smokers was 27.7% and that of female smokers was 14.5%. The percentage of smo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tudents with a history of physical abuse, psychological abuse or negligence (only in males) than in students without them. The family function score of the smokers was 127.3$\pm$20.3 and that of the non-smokers was 140.3$\pm$21.0 in males. The family function score of the smokers was 121.5$\pm$17.45 and that of the non-smokers was 140.9$\pm$22.1 in females. The family function score of the smo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nsmokers in males and females. In 6 factors (supportiveness, alienation, closeness, roles, sociality, authority (only in males)) each family function score of the smo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nsmokers in males and females. Conclusion: Adolescent smoking was associated with family function and history of abuse (physical, psychological and negligence (only in males)).

연구배경: 최근에 청소년 흡연이 우리 사회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그들의 가족기능 및 학대 과거력과 청소년 흡연율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 근본적 대비책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2001년 5월 서울 소재 2개의 주간 인문계 남자 고등학교와 2개의 여자 고등학교를 선정해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이 가운데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1,03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신체학대, 정서학대 및 남학생의 경우 방임의 과거력이 평생에 1$\sim$3번 이하로 있었던 학생들이 평생에 1$\sim$3번보다 많은 과거력이 있었던 학생들보다 흡연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한국형 가족기능평가(청소년용)에서의 총 점수는 흡연 남학생들과 비흡연 남학생들과의 평균점수가 각각 127.4$\pm$20.3과 140.3$\pm$21.0이었고, 흡연 여학생들과 비흡연 여학생들은 각각 121.5$\pm$17.5와 140.9$\pm$22.1로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남녀 모두에서 흡연 학생이 비흡연 학생보다 가족기능이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청소년 가정의 가족기능을 바로 아는 것은 청소년 흡연 예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며, 청소년 흡연의 예방을 위해서는 가족의 기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가정의학회. 한국인의 건강증진. 서울:고려의학;1996. p. 316-58, 686-7
  2. 지선하. 흡연의 현황과 그 역학적 특성. 서울:한국보건사회 연구원;1999
  3. Johnson JG, Cohen P, Pine DS, Klein DF, Kasen S, Brook JS.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anxiety disorders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JAMA 2000; 284(18):2348-51 https://doi.org/10.1001/jama.284.18.2348
  4.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서울:일조각;1999. p. 424-5, 594-6
  5. 대한신경정신과학회. 신경정신과학. 서울:하나의학사;1997. p. 300-2
  6. 임 웅, 김광휘, 박월미, 이홍수, 이종훈. 고교생 흡연실태 및 가족기능지수와 흡연과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1992; 13(7):592-601
  7. 이윤수, 이혜리, 강윤주. 청소년의 흡연, 음주 및 기타 약물 사용 실태. 가정의학회지 1998;19(1):43-57
  8. Torabi MR, Bailey WJ, Majd-Jabbari M. Cigarette smoking as a predictor of alcohol and other drug use by children and adolescents: evidence of the 'gateway drug effect'. J Sch Health 1993;63(7):302-6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3.tb06150.x
  9. 강윤주, 서성제. 청소년 흡연과 관련된 요인. 한국보건교육 학회지 1996;13(1):28-44
  10. Muramoto ML, Leshan L. Adolescent substance abuse. Recognition and early intervention. Prim Care 1993;20(1):141- 54
  11. Newcomb MD, Bentler PM. Substance use and abuse among children and teenagers. Am Psychol 1989;44(2):242-8 https://doi.org/10.1037/0003-066X.44.2.242
  12. Shedler J, Block J. Adolescent drug use and psychological health. A longitudinal inquiry. Am Psychol 1990;45(5):612- 30 https://doi.org/10.1037/0003-066X.45.5.612
  13. 정태흠, 박성민, 배무경, 이근미, 정승필, 백승호. 대구지역 일부 인문계 고교생들의 흡연에 관련된 요인. 가정의학회지 1998;19(1):58-67
  14. 최지호. 한국형 가족기능 평가도구의 개발[박사학위 논문]. 서울:경희대학교 대학원;2000.
  15. 안동현, 홍강의. 한국에서의 아동 학대 현황. 정신건강연구 1987;6:53-65
  16. Belsky J. Child maltreatment; an ecological integration. Am Psycol 1980;35:320-35 https://doi.org/10.1037/0003-066X.35.4.320
  17. 유춘식. 아동의 권익보호신고소를 중심으로 한 아동학대 현황. 아동문제에 관한 연구보고서 1988;14:7-36
  18. 정래순, 피승용, 강윤주, 이상현, 윤방부. 서울지역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흡연실태 및 니코틴 의존도에 대한 조사. 가정의학회지 1996;17(6):425-37
  19. Bensley LS, Spieker SJ, Van Eenwyk J, Schoder J. Self-reported abuse history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II. Alcohol and drug use. J Adolesc Health 1999;24(3):173-80 https://doi.org/10.1016/S1054-139X(98)00112-8
  20. Berenson AB, San Miguel VV, Wilkinson GS. Violence and its relationship to substance use in adolescent pregnancy. J Adolesc Health 1992;13(6):470-4 https://doi.org/10.1016/1054-139X(92)90009-Z
  21. 윤용진, 김용호, 김대현, 신동학. 도시와 읍면지역 남자 고등학생의 흡연율과 흡연 위험 인식도. 가정의학회지 1996; 17(10):877-83
  22. 여재권, 백승호, 선우성, 고윤석, 조홍준. 흡연 관련 질환에서 금연에 영향을 주는 의사의 권고. 가정의학회지 1996; 17(12):1423-9
  23. Hynes MM. A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girls in New York City. Public Health Rep 1989; 104: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