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oking Behavior Following Diagnosis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관상 동맥 질환자의 흡연 실태 및 금연과 관련된 요인

Kim, Hyun-Mi;Choi, Chang-Jin;Seung, Ki-Bae;Chung, Wook-Sung;Kahng, Hahn-Byoll
김현미;최창진;승기배;정욱성;강한별

  • Published : 20051000

Abstract

Background: The success rate of smoking cessation by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is lower than expected and reportedly this rate increases once doctors interve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octors mediate their patients to quit smoking by investigating of smoking behavior following th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promoting methods of smoking cessation with knowledge of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Methods: A total of 245 male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confirmed by coronary angiography in two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The smoking cessation rate among the subjects for more than one year was 39.6%. More than 90% of the subjects were aware of the doctors warning about smoking, but no more than 6% of them heard how to actually stop smoking from their doctors. In the smoking cessation group the stress score was lower and the exercise performance rate was higher than the smoking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abstinence group succeeded in smoking cessation at higher rate than the drinking group (odds ratio 0.30; 95% confidence interval 0.14 to 0.65). Conclusion: In recommending that a patient quit smoking, doctors should inform patients that drinking could be a detrimental factor and should promote a smoking cessation program including exercise and stress control. Doctors should educate patients that smoking cessation program will be more effective than sheer will power.

연구배경: 흡연은 관상 동맥 질환의 직접적인 위험 인자이며 관상 동맥 질환자가 계속 흡연을 하면 재발하거나 사망할 가능성이 증가하여 금연은 일차 예방 뿐 아니라 이차 예방으로도 중요하다. 관상 동맥 질환자의 자가 금연 성공률은 기대만큼 높지 않으며 의사의 금연 중재 이후 금연의 성공률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성인 남성의 높은 흡연율에도 불구하고 관상 동맥 질환자의 금연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상 동맥 질환 후의 흡연 실태 및 금연 방법과 금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금연 중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지역의 두 개의 대학병원에서 관상 동맥 조영술을 통하여 관상 동맥 질환이 확진된 남성을 대상으로 하여 2003년 10월 16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 연구자가 대면 설문 조사하여 진단 당시 흡연을 하였던 245명을 분석하였다. 흡연군과 금연군의 특성 중 연속형 변수는 t-검정으로 범주형 변수는 카이 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흡연자의 진단전후의 흡연량 변화는 McNemar 검정을 시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하여 관상 동맥 질환 환자의 금연에 미치는 각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 대상자의 1년 이상 금연율은 39.6%였다. 조사 대상자의 90% 이상이 의사로부터 금연 경고를 받았지만 구체적인 금연 처방을 받은 사람은 6%에 지나지 않았다. 흡연군에서는 진단 후에도 금연 시도를 하지 않은 경우가 16.9%, 면접 당시 금연할 의사가 없는 경우가 23.6%로 나타났고 향후 금연 시도 시 도움을 원하지 않는 경우가 72.4%로 나타났다. 단변량 분석 결과 금연군에서 스트레스가 적었고 운동하는 사람이 많았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금주를 못한 군이 금주를 한 군에 비해 금연 할 교차비가 0.30 (95% 신뢰구간 0.14$\sim$0.65)이었고 진단 경과 기간이 길수록 금연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차비는 1.02 (95% 신뢰구간 1.01$\sim$1.03)이었다. 결론: 관상 동맥 질환자의 금연 중재에 있어서 의사는 환자에게 음주가 금연의 실패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주지시켜야 하고 운동과 스트레스 관리 등이 포함된 금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환자에게 금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자신의 의지로만 금연을 시도하는 것보다 효과적임을 교육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Marshall P. 'Just one More…!' A study into the smoking attitudes and behavior of patients following first myocardial infarction. Int J Nurs Stud 1990;27(4):375-87 https://doi.org/10.1016/0020-7489(90)90096-2
  2. Hasnain D, Philip HE, John LC. Recent development in secondary prevention and cardiac rehabilitation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BMJ 2004;328(7441):693-7 https://doi.org/10.1136/bmj.328.7441.693
  3. 손혜숙, 전진호, 이종태, 정귀원, 김성준, 엄상화 등. 일개 대학병원에서 치료 중인 만성 질환자의 금연, 절주 및 운동 실천 정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1;18(3):87-100
  4. Berkel TFMV, Boersma H, Roos-Hesselink JW, Erdman RAM, Simoons ML. Impact of smoking cessation and smoking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Eur Heart J 1999;20:1773-82 https://doi.org/10.1053/euhj.1999.1658
  5. Russel MA, Wilson C, Taylor C, Baker CD. Effect of general practitioners' advice against smoking. BMJ 1979;2(6184):231-5 https://doi.org/10.1136/bmj.2.6184.231
  6. Haustein KO. What can we do in secondary prevention of cigarette smoking?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2003;10:476-85 https://doi.org/10.1097/01.hjr.0000104266.19897.9a
  7. 서경현, 이석민. 금연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장, 단기 금연성공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 탐색.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1):137-51
  8. 김철환, 서홍관.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의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 가정의학회지 2001;22(11):1603-11
  9. Schachter S. Recidivism and self-cure of smoking and obesity. Am Psychol 1982;37:436-44 https://doi.org/10.1037/0003-066X.37.4.436
  10. 김은경, 김매자, 송미령. 관상동맥질환자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02;32(3):355-63
  11. Fagerstrom KO, Schneider NG. Measuring nicotine dependence:a review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are. J Behav Med 1989;12:159-82 https://doi.org/10.1007/BF00846549
  12. 임지혁, 배종면, 최순식, 김성원, 황환식, 허봉렬.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도구로서 한국어판 BEPSI 설문서(수정판)의 타당성. 가정의학회지 1996;17(1):42-9
  13. 오세만, 민경준, 박두병. 병원 불안-우울 척도에 관한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9;38(2):289-95
  14. 김미경, 진충권, 김윤진, 조병만. 금연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요인. 가정의학회지 1995;16(12):880-90
  15. Ashaye MO, Giles WH. Are heart disease patients more likely to have healthy lifestyle behaviors? Results from 2000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urvey. J Cardiovasc Risk 2003;10(3):207-12 https://doi.org/10.1097/00043798-200306000-00009
  16. EUROASPIRE II Study Group. Lifestyle and risk factor management and use of drug therapies in coronary patients from 15 countries; Principal results from EUROASPIRE II Euro Heart Survey Programme. Eur Heart J 2001;22:554-72 https://doi.org/10.1053/euhj.2001.2610
  17. Vale MJ, Jelinek MV, Best JD; COACH Study Group. Coaching patients on achieving cardiovascular health. How many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re not achieving their risk-factor targets? Experience in Victoria 1996-98 versus 1999-2000. Med J Aust 2002;176:211-5
  18. Sonmez K, Akcay A, Akcakoyun M, Demir D, Elonu OH, Pala S, et al. Distribution of risk factors and prophylatic drug usage in Turkish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established coronary artery disease. J Cardiovas Risk 2002;9:199-205 https://doi.org/10.1097/00043798-200208000-00004
  19. 황승주, 오상우, 김순남, 황환식, 조비룡, 허봉렬. 성인 여성흡연자의 흡연양상 및 흡연과 관련된 요인들. 가정의학회지 2000;21(3):344-56
  20. Nakayama Y, Sakata K, Yanagawa H. Relationships between smoking habits and other behavior factors among males: from the results of the 1990 National Cardiovascular Survey in Japan. J Epidemiol 1996; 6(2):87-92 https://doi.org/10.2188/jea.6.87
  21. 이충민, 김대성, 김동현, 신명희, 이무송, 배종면 등. 한국인 건강한 중년 남성에서의 흡연 습관과 다른 생활 습관과의 관련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3;3(1):6-17
  22. Flore MC, Novotny TE, Pirece JP, Hatziandreu EJ, Patel KM, Davis RM. Trends in cigarette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The changing influence of gender and race. JAMA 1989; 261:49-55 https://doi.org/10.1001/jama.261.1.49
  23. 송건용, 김연임. 1989년도 국민 건강 조사. 보건 의식 형태. 한국보건사회연구부; 1990 p. 4-14
  24. Frid D, Ockene IS, Ockene JK, Merriam P, Goldberg R, Kristeller J, et al. Severity of angiographically proven coronary artery disease predicts smoking cessation. Am J Prev Med 1991;7:131-5
  25. Hasdai D, Garratt KN, Grill DE.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after percutaneous coronary revascularization. Mayo Clin Proc 1998;73:205-209
  26. 배종면. 흡연량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대학원;1994.
  27. 송광호, 김경록, 박은희, 서영성, 김대현, 신동학. 남성의 흡연 행태에 따른 심리적 경향 차이. 가정의학회지 1998;19(3):312-9
  28. 여재권, 백승호, 선우성, 고윤석, 조홍준. 흡연 관련 질환에서 금연에 영향을 주는 의사의 권고. 가정의학회지 1996;17(12):1423-9
  29. Slama K, Redman S, Perkins J, Reid AL. The effectiveness of two smoking cessation programs for use in general practice:a randomized clinical trial. BMJ 1990;300(6741):1707-9 https://doi.org/10.1136/bmj.300.6741.1707
  30. Corrigan M, Cupples ME, Stevenson M. Quitting and restarting smoking:cohort study of patients with angina in primary care. BMJ 2002;324(27):1016-7 https://doi.org/10.1136/bmj.324.734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