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egnancy and Social Welfare of Unmarried Mother

미혼모의 출산과 사회복지 실태에 관한 고찰

Joo, Sung-Hong;Jang, Dong-Wook;Baek, Ji-Yeong;Lee, Ji-Young;Sohn, In-Sook;Kim, Soo-Nyung;Cho, Sung-Jin
주성홍;장동욱;백지영;이지영;손인숙;김수녕;조성진

  • Published : 20050700

Abstract

Objective: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common problems, outcomes of delivery of unmarried mothers and related social facto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change social systems an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unmarried mothers. Methods: We studied 196 unmarried mothers who delivered from Jan. 2003 to Aug. 2004. All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whose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by ages, and they were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obstetrically and socially. It verified 95% significant level. Results: Cesarean section rate was 14.3% which is remarkably lower than married mothers. However, it is getting higher (p=0.003) as they are older, and the rate of group of 30s is similar to that of married mothers. Also, the average birth weight of unmarried mothers’ babies is 3,056 gm and it is similar to that of married mothers. They took prenatal care only 3.27 times and 22% of them did not commence it until the 3rd trimester. Fifty seven percent drank alcohols, 51% smoked, and 49% used drugs during pregnancy. Most unmarried mothers who took this survey had a lower level and economic status. After delivery, 16.3% of them raise their babies and 83.7% of them had their babies adopted through welfare facilitie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social system, welfare facilities, and financial supports that educate contraceptive measures to potential unmarried mothers, let them recognize their situations, and protect them.

목적: 미혼모들에 대한 일반적 특성,흔한 문제점,출산의 결과와 이와 관련된 사회적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 결과를 통해 미혼모들에 대한 인식과 제도를 변화시키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분만한 196명의 미혼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대상자의 연령 분포에 따른 산과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여 유의수준 95%로 검증하였다. 결과: 대상자 전체의 제왕절개율은 14.3%로 일반 산모보다 현저히 낮았으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p=0.003), 30대군은 일반산모와 비슷하였다. 신생아 출생체중도 3,056 gm으로 일반산모의 3,103 gm보다 적었다. 산전 진찰은 3.27 회이었으며 22%가 임신 3기까지 산전 진찰을 받지 않았다. 57%의 미혼모가 임신 중 음주를 하였고, 51%가 흡연을 하였 으며, 49%는 약물을 복용하였다. 또한 조사대상 미혼모는 낮은 사회, 경제적 위치에 있었으며, 출산 후 16.3%만이 양육 을 하고 있었고, 83.7%는 복지기관을 통해 아이를 입양시켰다. 결론: 피임에 대한 교육과 미혼모들의 현실을 인정하고 교육시키며 보호할 수 있는 사회적 장치와 양육할 수 있는 시설과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나라당 김홍신의원. 미혼모 실태에 대한 국회제출자료. 2001
  2.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04
  3. 국민보험공단. 전국제왕절개 실태보고서. 2004
  4. Kumbi S, Isehak A. Obstetric outcome of teenage pregnancy in northwestern Ethiopia. East Afr Med J 1999; 76: 138-40
  5. Toro Calzada RJ. Pregnancy in adolescents. Complications, birth weight, somatometry of the newborn and Apgar score, comparison with the general population. Gynecol Obstet Mex 1992; 60: 291-5
  6. 대한소아과학회.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 1998
  7. 강민수,이정윤,이상혁,오은희,이철우,최범 등. 미혼모의 산 부인과적 고찰. 대한산부회지 2002; 45: 1347-53
  8. 김승권,조애저,이삼식,김유경,송인주.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9. 엄애현. 미혼모의 산전 간호 중요성 인식정도와 실행정도에 관 한 조사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10. Sarrel PM, Klerman LV. The young unwed mother: Obstetric results of a program of comprehensive care. Am J of Obstet and Gynecol 1969; 105(4): 575-78
  11. 공세권, 조애저,김승권,손성희.한국에서의 가족형성과 출산행 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2
  12. 한영자, 서경,장영식,김동진.1999-2000년도 모성사망비 수준 및 사망원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13. 통계청. 2001 인구동태통계연보. 2002
  14. 보건복지부 가정아동복지과. 모자보호 생활시설수 및 생활현 황- 시도별: 1980-2002. 2004
  15. 박수천. 한국모자보건학회춘계학술대회 연제집.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