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remediation process using inorganic coagulants for heavy metal contaminated groundwater

무기응집제를 이용한 중금속오염 지하수 정화 연구

Song, Na-In;Kim, In-Su;Lee, Min-Hee
송나인;김인수;이민희

  • Published : 20050600

Abstract

Chemical treatment process by using coagulation/precipitation was performed to remediate heavy metal contaminated groundwater. Groundwater pumped from an extraction well around the landfill at Yangsan, Kyungsangnam Province was spiked with As, Cd, Cr, and Pb for batch scale experiment. Various coagulants such as aluminum sulfate, ferrous sulfate, ferric sulfate, and ferric chloride were used to remove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groundwater. Removal efficiency by coagulation/precipitation method for each heavy metal was measured according to a kind of coagulant and the amount of coagulant used. More than 99% of As were removed by using 1.0 wt% of ferrous sulfate. Aluminum sulfate and ferrous sulfate removed more than 87% of Pb from contaminated water. Pilot scale colum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distilled water spiked with Pb. After the addition of 0.1 wt% coagulant such as ferrous sulfate, ferric sulfate, ferric chloride, and aluminum sulfate, contaminated groundwater was adjusted to pH 7 using 5N of NaOH solution to induce precipitation. Sludge separated from supernatant was reused1. 서 론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recycling of sludge for heavy metal remediation. For all of coagulants, removal efficiencies of Pb were over 95% in the coagulation/precipitation process. Results of batch and pilot column experiments suggested that the coagulation/precipitation method is very available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groundwater.

중금속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기위한 화학적 처리공정 중에서 무기응집제 첨가에 의한 응집/침전법을 이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하는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폐수처리공정에서 중금속의 고상침전효과가 높다고 알려진 황산알루미늄,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염화제이철을 응집제로 사용하였으며, 뚜렷한 중금속 제거 효과를 측정하기위하여 매립장주변에서 채수한 오염지하수에 비소(As), 카드뮴(Cd), 크롬(Cr), 납(Pb)을 추가로 스파이크하여 오염지하수의 중금속 농도를 증가시킨 후 응집/침전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중금속의 제거율은 비소의 경우 황산제일철을 0.5~2.0 wt% 첨가한 경우 약 99%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황산제이철과 염화제이철의 경우에는 약 60% 내외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나, 황산알루미늄의 경우에는 25% 이하의 낮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카드뮴의 제거율은 모든 응집제에서 2.0% 첨가시 약 60%의 제거율을 얻을 수 있었다. 크롬은 황산제일철 2.0% 첨가시 87%, 황산제이철 첨가시 50%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나, 황산알루미늄과 염화제이철은 각각 42%, 17%의 비교적 낮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납의 경우에는 황산알루미늄 첨가시 거의 전량이 제거되었으며, 나머지 응집제 첨가의 경우 약 60%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증류수에 납을 스파이크한 인공오염수를 이용하여 중금속제거를 위한 대형 칼럼실험을 실시하였다. 칼럼실험에 이용한 응집제는 배치실험에 이용하였던 염화제이철,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황산알루미늄이었으며, 이들을 오염수에 0.1 wt% 첨가한 후 5N NaOH 용액을 주입하여 오염수의 pH를 7로 적정함으로써, 오염수내 플럭(floc)이 형성하도록 하였다. 플럭의 응집/침전에 의해 오염수내 납이 95% 이상 (대부분 99% 이상) 제거되었다. 또한 상등액과 분리된 침전 슬러지를 새로운 오염수에 첨가하여 재활용 슬러지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측정한 결과, 황산제이철은 재활용 3회, 염화제이철과 황산알루미늄은 재활용 2회, 황산제일철은 재활용 1회 실험까지 처리수의 납 농도를 지하수 생활용수 기준치 이하로 제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실제 지하수 오염지역의 대단위 처리공정을 설계/운영하기위해 필요한 최적조건들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광백, 김영관, 윤주환, 이병헌, 임봉수, 임재명, 한무영, 1993, 폐수처리공학. 동화기술, 723 p
  2. 김형엽, 김종신, 원찬희, 2001, 응집공정과 Fenton 산화공정에 의한 침출수 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23, 979-987
  3. 박상숙, 강화영, 정정조, 2003, 석유화학폐수 슬러지로부터 회수한 철염 응집제의 응집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5, 1159-1165
  4. 방미란, 임봉수, 배병욱, 1998, 고탁도시 소석회 투입방법에 따른 정수장 응집제의 효율 평가. 대한상하수도학회지, 12, 3, 107-117
  5. 성낙창, 김형석, 박현건, 1996, 하/폐수처리, 동화기술, 320 p
  6. 손호웅, 우남칠, 김지수, 성익환, 이대하, 정교철, 함세영, 이희석, 2000, 응용지하수학. 시그마프레스, 494 p
  7. 오석영, 전효택, 1996, 폐기물 매립지 주변의 지하수 오염과 오염물질의 지연특성.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3, 1, 37-49
  8. 이재원, 김재영, 박준범, 1999, 매립장 침출수로 오염된 지반 정화를 위한 반응벽체 기법 소개. 대한토목학회지, 47, 3, 33-47
  9. 정상용, 권해우, 이강근, 김윤영, 1997,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지 일원의 수질 환경. 한국지하수환경학회지, 4, 4, 175-184
  10. 정찬호, 황정, 박충화, 1998, 공주시 유구읍 명곡리지역 천부 및 심부지하수의 지화학적 수질특성과 오염.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1, 6, 485-498
  11. 최의소, 2001, 폐기물처리와 자원화. 청문각, 504 p
  12. 하기성, 정헌석, 1999, 규산황산알루미늄의 응집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1, 2079-2089
  13. 한국자원연구소, 2000, 지표환경의 중금속과 유기물질 오염특성 및 저감화 연구
  14.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 유산폐기물매립장 침출 수 누출원인조사 연구용역보고서
  15. 한정상, 1998, 지하수환경과 오염. 박영사, 799 p
  16. 환경부, 1997, 수처리제 개발(국내수질에 적합한 고분자 응집제)
  17. 황보봉형, 김정숙, 한승우, 강임석, 1998, 정수공정 개선을 위한 Al(III)염계 응집제와 Fe(III)염 응집제의 비교, 대한환경공학회지, 20, 1005-1014
  18. Amirtharajah, A., O Melia, C.R., 1990, 'Coagulation Processes: Destanilization, Mixing and Flocculation', Water Quality and Treatment, 4th Ed., AWWA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McGraw-Hill, NY, 269-311
  19. Crozes, G., White, P., Marshall, M., 1995, 'Enhanced coagulation: its effect on NOM removal and chemical costs', Journal of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87, 78-95 https://doi.org/10.1002/j.1551-8833.1995.tb06303.x
  20. Tang, H., Stumm, W., 1987, The coagulating behaviors of Fe(III) polymeric species-I, Water Research, 21, 115-128 https://doi.org/10.1016/0043-1354(87)90106-0
  21. Van Benschoten, J.E., Edzward, J.K., 1990, Chemical aspects of coagulation using aluminum salts-I: Hydrolytic reactions of alum and polyaluminum chloride, Water Research, 24, 1525-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