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Health Behavior of the Populations in Urban and Rural Area

도시·농촌지역 주민의 건강행태에 관한 연구

  • Lee, Jeong-Mi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won, Keun-Sa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u-H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Jeon, Gap-Su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정미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권근상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주형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전갑성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ocio-demographic, style of living,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of community resi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Jeonbuk province. Methods: The data was obtained from 2,086 residents who lived in Jeonbuk province from July to September 2001 which included 1,238 residents in urban area and 848 residents in rural are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occupation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population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the urban populations, housewives, professional classes, and people who received collage graduate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people who were engaged in the primary industries and lower educational classes(below middle school), in contras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rural populations. In the practice of health behavior, consumption of health foods and amount of exercise in urban popul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ural, whereas the state of health,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Body Mass Index(BMI), consumption of ethanol and cigarette, and hours of slee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urban and rural populations. In the eating habits, rate of surfeit, vaccination of hepatitis B, and screening of cancer in the urban popul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ural, rate of regular meal, taste of salted food, consumption of vegetables, in contras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rural. But, consumption of coffee, intake of meat, and periodic medical check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thought on health state were sex, age, occupation, educational level, exercise, and consumption of coffe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find related factor with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was conducted. As a results, age, educational level, BMI, intake of meat, screening of cancer, and consumption of health foods were related to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Conclusions: The study showed that special attention to device the health plan are necessary and it suggested that consideration of regional differences are required to provide the community health projects.

도시 농촌지역 주민의 건강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주 및 고창, 순창, 임실, 부안, 무주, 장수, 진안 지역에서 살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2,086명을 대상으로 2001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3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에서 도시와 농촌이 비슷한 분포였다. 교육수준은 도시에서 전문대졸 이상이 42.0%, 농촌에서는 중졸이하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나, 농촌과 도시에서의 교육수준이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1). 직업은 도시에서 가정주부(26.1%), 일반사무직(18.9%)로 나타난 반면, 농촌에서는 일반사무직(20.6%), 농 어 축산업(21.3%), 가정주부(19.5%)순으로 나타났다(p<0.01). 2. 도시, 농촌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생각은 도시와 농촌이 비슷한 분포였다. 복용한 건강식품은 도시에서 영양제와 보약이 22.1%와 24.1%로 농촌의 18.8%와 20.8%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22.2%였으며, 도시와 농촌에 차이는 없었다. 3. BMI 25이상인 경우가 조사대상자 중 17.4%였으며, 도시와 농촌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음주와 흡연, 충분한 수면여부 또한 도시와 농촌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운동에서만이 주 1회 이상 하는 경우가 도시에서 44.8%, 농촌에서 37.1%로 농촌보다 도시가 높게 나타났다(p<0.01). 4. 식생활습관에서 커피음용과 육류섭취는 도시와 농촌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과식은 도시에서 73.5%, 농촌에서는 66.9%로 농촌보다 도시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규칙적인 식사와 음식을 짜게 먹는 경우, 채소의 섭취가 도시보다 농촌에서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5. 종합검진은 도시와 농촌이 비슷하였고, 적어도 3-4년에 한번 받는 경우는 58.7%였다. B형간염예방접종은 대상자이나 실시하지 않은 경우가 도시에서 17.5%, 농촌에서 11.5%로서 농촌보다 오히려 도시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암검사는 받은적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도시에서 33.1%, 농촌에서 27.8%로 농촌보다 도시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05). 6. 자각적 건강상태를 종속변수로설정하고, 나머지 일반적 특성 및 건강형태, 건강검진을 독립변수로하여 다변량분석 한 결과, 성별, 연령, 직업, 교육수준, 운동여부가 자각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만성질환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를 다변령분석 한 결과 연령, 교육수준, BMI, 육류섭취정도, 암검사여부의 변수들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도시와 농촌지역주민들의 건강형태는 운동 및 식생활 습관, 건강검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자각적 건강상태와 만성질환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생각되는 변수로는 연령과 교육수준, 운동 및 BMI 등이 나타나 앞으로 연구 뿐 아니라 보건사업 계획에도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순영, 김선우. 한국인의 건강행태 유형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7: 30(1): 181-194
  2. 송건용, 남정자, 최정수, 김태정. 1992년도 국민보건 및 보건의식 형태조사: 보건의식형태 조사결과.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3. Breslow CL, Enstrom JE. Persistence of health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tality. Pre Med 1980: 9: 469-483 https://doi.org/10.1016/0091-7435(80)90042-0
  4. 이선희, 조희숙. 이성적 행동이론에 의한 도시지역 주민들의 일부 건강증진행태 관련요인 분석. 예방의학회지 1999: 32(2): 183-190
  5. Stachtchenko S, Jenicek M.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Research Implication for community health program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0: 81: 53-59
  6. 윤태호, 문옥륜, 이상이, 정백근, 이신재, 김남순, 장원기. 우리나라의 사회계층별 건강행태의 차이. 예방의학회지 2000: 33(4): 469-476
  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2년도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 조사-국민건강 조사결과. 1993
  8. Pender NJ. Pender AR.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Intentions to engage in health behaviors. Nursing Research 1986; 35: 15-18
  9. 김일순. 건강증진: 새시대 의료의 새로운 지평. 국제학술대회 주제 강연, 1993
  10. 김덕수, 임현술, 김두희. 일부 농촌 주민의 건강증진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의학회지 2000: 25(2): 327-341
  11. 서미경. 한국 노인의 만성질환 상태 및 보건 . 의료 대책. 한국노년학 1995; 15(1):28-39
  12. 남정자, 최정수, 김태정, 계훈방. 한국인의 보건의식행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171-247
  13. 박지연, 구난숙. 체칠량 지수와 식습관에 따른 중 . 장년층의 식생활 특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1: 6(1): 43-50
  14. 노원환, 김석범, 강복수. 건강증진과 관련된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한국농촌의학회지 1998; 23(2): 157-173
  15. 김정순. 일 농촌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1; 12(1): 187-201
  16. 대한가정의학회. 한국인의 건강증진. 고려의학, 1996: 550-551
  17. 이정애. 농어촌 주민의 건강수준 현황과 건강증진 방안. 한국농촌의학회지 1995; 20(2): 211-229
  18. 권순범, 김공현, 김병성, 박형종. 일부 도시 지역 노인의 건강관련 실천과 신체 활동기능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지 1994; 20(2): 3-22
  19. 조병만. 농촌 지역 주민들의 건강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농촌의학회지 1997; 22(2): 183-193
  20. 남철현. 농촌지역 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방안. 한국농촌의학회 '99 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일정 1999; 3-23
  21. Bergner M. Measurement of health status. Medical Care. 1985: 23 (5): 696-704 https://doi.org/10.1097/00005650-198505000-00028
  22. Farmer MM, Ferraro KF. K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7: 39: 298-311
  23. 오영희.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학회 .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2001; 129-142
  24. Fillenbaum GG. Social context and self-assessments of health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79: 20: 45-51 https://doi.org/10.2307/2136478
  25. Markides KS, Lee DJ. Predictors of health status in middle-aged and older Mexican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1991: 46(5): S243-S249
  26. Friedle J. Mechanisms of interaction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discussion. Health Policy and Education 1982: 3: 101-104 https://doi.org/10.1016/0165-2281(82)90027-3
  27. 정경임. 한국인의 건강실천행위가 만성질환 이환에 미치는 영향. '과학의날'기념 춘계학술대회 1997: 10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