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of Turbidity Variation in Imha Reservoir

임하호 탁도변화 분석을 위한 2차원 수치모의

Yi, Yong-Kon;Kim, Young-Do;Park, Ki-Young;Kim, Woo-gu
이용곤;김영도;박기영;김우구

  • Published : 2005.07.31

Abstract

The mixing behavior of turbid water, occurred in 2002 due to Typhoon ‘Rusa’ was numerically modeled with CE-QUAL-W2, a two dimensional width-average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On the ground of the modeling result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turbidity distributions right after Typhoon ‘Rusa’ came to the watershed of Imha reservoir, which were hard to figure out using field measurements only, were analyzed on a daily basis. Input data were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investig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urbidity in NTU, and suspended solids concentration was obtain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and laboratory experiments. Water temperature of inflow, air temperature and dew points were compared and their correlation was analyzed. Temporal distributions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of inflow were studied when it rained. According to numerical results, the turbid current moved as an underflow up to 12.5 km away from the dam, and after that location it advected horizontally as an interflow towards the dam and also diffused. The time was estimated when the head of the turbid water arrived at the dam.

2차원 수리 및 수질모형인 CE-QUAL-W2 모형을 이용하여 2002년 태풍 ‘루사’의 내습으로 인해 발생한 탁수층의 혼합거동을 모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측정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태풍 ‘루사’ 직후의 일별 탁수층의 수평 및 연직방향 탁도분포를 분석하였다. 입력자료는 현장조사 및 실내분석을 통하여 탁도와 부유사농도의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며, 기온 및 이슬점온도와 유입수 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강우시 유입수 부유사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자료분석을 통하여 구성하였다. 수치모의결과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탁수층 혼합거동을 분석한 결과, 탁수층은 댐축으로부터 12.5 km까지 저층류로 이동하고 그 지점이후 중층류로서 수평방향으로 이송.확산됨을 알 수 있었고, 유입된 탁수층이 댐축에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범철, 김윤희(2004) 아시아 몬순지역의 대형댐(소양호)에서의 인순환과 2차원모델의 적용. 대한육수학회지, 제37권, 제2호, pp. 205-212
  2. 김영도, 이용곤, 김대홍(2004) 저수지에서의 선택배제를 위한 성 층흐름 수치모의. 2004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CD-ROM)
  3. 김윤희, 김범철, 최광순, 서동일(2001) 2차원 수리 수질모델(CEQUAL- W2)을 이용한 소양호 수온 성층현상과 홍수기 밀도류 이동 현상의 모델링. 대한상하수도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40-49
  4. 나은혜, 안규홍, 박석순(2002) 팔당호의 계절별 전도현상과 연직 수온 분포에 관한 모델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제24권, 제5 호, pp. 901-910
  5. 박기영(2003) 2차원 수치모형을 활용한 임하댐 탁도 분석 시스템 구축.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6. 박기영, 한건연(2003) 2차원 수치모형을 활용한 임하댐 탁도 분 석 시스템 구축. 2003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CD-ROM)
  7. 박옥란, 박석순(2002) 옥정호의 연직 수온분포에 관한 시변화 모 델 연구. 대한육수학회지, 제35권, 제2호, pp. 79-91
  8. 이상욱, 서동일, 정세웅(2003) 2차원 수리.수질모델(CE-QUALW2) 을 이용한 대청호 수온 성층현상의 모델링. 2003 춘계 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대한환경공학회, pp. 676-678
  9. 이용곤, 김영도, 김대홍, 박기영(2004) 임하호 탁수층 거동분석. 2004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CD-ROM)
  10. 정세웅 (2004) 성층화된 저수지로 유입하는 탁류의 공간분포 특 성 및 연직 2차원 모델링, 대한환경공학회지, 제26권, 제19호, pp. 970-978
  11. 정세웅, 박기영, 한건연, 전홍진(2004) 임하호 탁수 거동 분석을 위한 CE-QUAL-W2 모형의 적용. 2004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환경공학회. pp. 1220-1225
  12. 한국수자원공사(1997) 임하댐 저수지 퇴사량 조사 보고서
  13. 한국수자원공사(2002) 다목적댐 운영 실무편람
  14. 한국수자원공사(2004) 임하댐 탁수저감방안 수립 보고서
  15. Vanoni, V.A. (Ed.) (1975) Sedimentation Engineering, ASCE-Manual and Reports on Engineering Practice, No. 54, New York, N.Y
  16. Batuca, D.G. and Jordaan, J.M. (2000) Silting and Desilting of Reservoirs. A.A. Balkema, Rotterdam, Netherlands
  17. Chang, H.H. (1988) Fluvial Processes in River Engineering. Krieger Publishing Company, Malabar, Florida
  18. Chung, S.-W. and Gu, R. (1998) Two-dimensional simulations of contaminant currents in stratified reservoir, J. Hydr. Engrg., ASCE, Vol. 124, No. 7, pp. 704-711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8)124:7(704)
  19. Cole, T.M. and Wells, S.A. (2003) CE-QUAL-W2: A Two-Dimensional, Laterally Average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Version 3.1, User Manual, Instruction Report EL-03-1
  20. Fischer, H.B., List, E.J., Koh, R.C.Y., Imberger, J., and Brooks, N.H. (1979) Mixing in Inland and Coastal Waters. Academic Press, New York,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