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and Colposcopy

최근 15년간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분석

Lee, Sang-Eun;Ju, Woong;Kim, Hwa-Jung;Kim, Jae-Weon;Park, Noh-Hyun;Song, Yong-Sang;Kang, Soon-Beom;Lee, Hyo-Pyo
이상은;주웅;김화정;김재원;박노현;송용상;강순범;이효표

  • Published : 2005.03.20

Abstract

Objective : We aimed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design, type, field and classification for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and Colposcopy during recent 15 years. Methods : A total of 473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and Colposcopy from 1990 to 2004 were reviewed for retrospective descriptive analysis. First, all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sign, type, field of study. Then they were classified again depending on specific topics under the criteria used in science citation index journal, ‘Gynecologic Oncology’. Articles presented at symposia were excluded from this analysis. Results : We observed that distribution in study design showed the inclination toward case series study (71.7%) and case report (26.8%). To the contrary, the numbers of cohort study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ere five and one,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s of articles were 321 in survey, 6 in experiment, 7 in clinical trial. There were 12 articles belonging to overview of secondary research. Secondary classification based on study field revealed 108 articles in causation, 82 in diagnosis, 73 in therapy as descending order. There were 80 articles of molecular biology including immunology and tumor suppressor genes, 66 articles of cervical cancer, and 36 articles of epithelical ovarian cance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ports on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and Colposcopy are mainly converged to case series studies in the design of study and survey in the type of study.

목적 :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평가, 분석하여 연구 설계, 유형, 분야 및 주제별 논문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0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에 게재된 473개의 논문을 후향적으로 평가, 분석 하였다. 모든 논문들은 연구 설계, 유형, 분야에 따라서 분류하였고, 국외 학술지인 'Gynecologic Oncology'의 주제별 분류법 을 적용하였다. 심포지움은 제외하였다. 결과 : 논문의 연구 설계에 따른 분류에서 환자군 연구(71.7%)와 증례 보고(26.8%)가 가장 많았고, 코호트 연구와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은 각각 5편, 1편에 불과하였다. 원저를 유형별로 분류하였을 때 일차 연구로서는 조사(survey)가 321편, 실험 과 임상시험은 각각 6편, 7편이었다. 이차 연구로는 개관(overview)이 12편이었다. 연구 분야에 따른 분류 분포는 원인, 108 편; 진단, 82편; 치료, 73편이었다. 주제별로 나눈 분류에서 면역학, 종양억제유전자 등의 내용을 포함한 분자 생물학이 80편 으로 가장 많았고 암종별로는 자궁경부암이 66편, 상피성 난소암에 관한 논문이 36편의 순서였다. 결론 :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에 실린 논문의 연구 설계에 따른 분류에서 환자군 연구 그리고 유형별 분류에서 는 조사로 이루어진 논문이 주를 이루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논문투고규정. Available at: http://ksgoc.ksog.org/ index.php. [Last accessed; March 8, 2005.]
  2. 신영수, 안윤옥, 신상구, 유근영, 박병주, 김창엽 등. 의학연구방 법론. 초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p.148-79
  3. Trisha G. How to read a paper: getting your bearings (deciding what the paper is about). BMJ 1997; 315: 243-6 https://doi.org/10.1136/bmj.315.7102.243
  4. David AG. Introducing evidence based medicine into a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 Gynecol 1995; 86: 451-7 https://doi.org/10.1016/0029-7844(95)00184-S
  5. 박영석. 최근 10년간 대한암학회지에 게재된 임상시험논문의 분 석. 대한암학회지 2000; 32: 431-8
  6. 박명희, 이재준. 한안지 논문에 사용된 통계방법에 관한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2003; 44: 738-43
  7. 황건, 이훈재, 김유진, 이세일. 대한성형외과학회지 게재논문 의 통계적 오류현황. 대한성형외과학회지 2001; 28: 302-9
  8. Select classification. Available at: http://ees.elsevier.com/ygyno/ default.asp. [Last accessed; March 8, 2005.]
  9. 이효표, 김용범, 이택상, 이철민, 노주원, 김재원 등. 진행성 상 피성 난소암에서 Pirarubicin/Cyclophosphamide/CDDP (CTP)와 Doxorubicin/Cyclophosphamide/CDDP(CAP) 복합항암화학요법의 비교 연구. 대부종콜포회지 1999; 10: 148-55
  10. 노흥태, 손영선, 김종철, 김재성.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Interferon alpha-2a, 13-cis Retinoic Acid와 방사선 치료의 복합요법. 대부종콜포회지 1997; 8: 24-36
  11. 노흥태, 임상혁, 최재성, 송찬호. 자궁근종 환자에 있어서 GnRH Agonist의 치료 효과. 대부종콜포회지 1996; 7: 270-7
  12. 노재숙, 조삼현, 김경태, 조수현, 황윤영, 문형 등. 부인암 환자 의 항암화학요법시 발생된 백혈구 감소증에 대한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의 임상 효과. 대부종콜포회지 1994; 5: 9-19
  13. 권용일, 김미란, 이유미, 한상균, 남궁성은, 송승규 등. 자궁경부암 에서 cis-Platin을 포함한 복합항암요법에 의한 오심 및 구토의 조 절에 있어 Ondansetron-Dexamethasone의 효과에 대한 비교분석. 대부종콜포회지 1993; 4: 55-66
  14. 오병찬, 안진섭. Cisplatin 병용화학요법시 Ondansetron의 오심 및 구토 조절효과. 대부종콜포회지 1993; 4: 97-102
  15. 이효표, 고창원, 오성일, 박창수, 송용상, 강순범. 부인과 악성 종양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 후의 호중구 감소에 대한 rhGCSF (Neutrogin? 주)의 임상효과. 대부종콜포회지 1995; 6: 131-9
  16. 한국 부인암 등록사업 조사보고서(2002.1.1-2002.12.31). 대한산부회지 2004; 47: 1029-70
  17. 황건, 김정우, 이춘실, 이세일. 우리나라 성형외과의 과학인용색 인(SCI) 등재 학술지 발표: 1974-2000. 대한성형외과학회지 2001; 28: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