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comparative on advertising effects of stadium ads and virtual ads

경기장광고와 가상광고의 광고효과 비교 연구

Yang, Girl;Kwak, Jeong-Hyeon;Jeon, Ik-Ki
양걸;곽정현;전익기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rtual advertising on TV viewer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researched and compared the effects on the stadium ads and the virtual ads.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analysis of exposure effects of the advertising between the stadium ads and the virtual ads, the virtual ads showed more effects than the stadium ads, by 5.77% in recall rate and 8.82% in recognition rate. This result would support and generalize the research by Kim Hyo-kyu (2000) that the effects of the virtual ad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real advertising boards around the stadium and company logos on the players' uniform in regards of the viewers' recognition and recollection Furthermore, the virtual ads were inserting advertised images into the appropriate location such as empty space on the stadium without artificial appearance, eventually leading to exposure effects more efficiently than the stadium ads. Second, regarding the advertising attitudes between the stadium ads and the virtual ads, reliability and notice effects of the virtual ads in the cognitive advertising attitud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adium ads. The results explained that the virtual ads could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brand, and that had more notice effects than the stadium ads. Regarding the emotional advertising attitude, the virtual ads showed more effects than the stadium ads in relation to empathy. This also explained that the technique of the virtual ads aroused more empathy in the viewers' emotional aspects than that of the stadium ad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ynthetic advertising attitudes found no difference. Synthetically, although the virtual ads did not stimulate the viewers' desire, it proved that they provided information and facts, and that they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stadium ads in attitude and emotional aspects. It was meaningful to establish the fact that the virtual ad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stadium ads since the advertising attitudes would eventually lead to product attitudes.

Keywords

References

  1. 권욱동, 이창훈, 임승현(2005). 2002년 한 . 일 월드컵 경기의 공식후원업체의 A-보드 노출율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4(2). 487-498
  2. 권중문(2003). TV 스포츠 방송영상 텍스트 분석. 현대사진영상학회지 6. 63-75
  3. 김명수(2004). 사설학원의 관계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정책대학원
  4. 김상훈, 임중곤, 김만식, 이종화(2003). 스포츠 중계방송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한 축구동영상 하이라이트 생성 알고리즘.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 30(778). 727-743
  5. 김용규, 양 걸(2004). 태권도 경기 활성화를 위한 가상영상삽입의 구현. 한국스포츠리서치 15(6). 831-840
  6. 김용만 (1996). 경기장 광고의 TV노출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제34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379-388
  7. 김재한(2001). 게임에 광고를 삽입하는 유형이 광고효과와 게임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8. 김정수 (2002). 스포츠중계는 더 재미있게 광고전달은 더 효과적으로 KAA저널 1, 2월호
  9. 김정태 (2005). 디지털 시대 방송법 해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0. 김효규 (2000). '실체 없는 이미지, 광고 아닌 광고'로 급성장 거듭하는 가상광고. 광고정보 7월호 98-103
  11. 나운봉, 조형오, 김희진 (1997). 통합적 광고효과 측정모델에 대한 연구. 서울 : 한국 광고업협회
  12. 남승진, 오주현 박성춘(2003). 센서기반 실시간 가상이미징 시스템의 구현. 방송공학회논문지 8(1). 40-45
  13. 박상아(1995). 광고 모델의 공신력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4. 박세라, 김종기 (2002). 디지털 특수영상 효과와 가상현실 기술의 접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92-93
  15. 오정미 (1993). 설득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유명인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6. 유종희 (2003). 기업광고에서 英文기업슬로건의 사용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7. 이영혜 (1987). 광고 모델의 공신력과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8. 정부연(1995). 유명 외국인 모델에 의한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대학원
  19. 정완주(1995). 모델 국적에 따른 광고 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 편도영, 김정백 (2004). 메이저리그 경기에서의 가상광고 노출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5(1). 683-694
  21. 최동희 (2002). 선행광고가 후행광고의 광고태도 형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22. 한국방송공사 (2002). 방송광고영업백서
  23. Abel, M R.(2000).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advertisements in a college fitness center. Unpublished disseration, United states Sports Academy
  24. Branvold, S. E.(1992). The utilization of fence signage in college baseball. Sport Marketing Quarterly, 1(2). 29-32
  25. Lavidge. R.J. & Steiner G.A.(1961). A Model for Predictive Measuremen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Vol.25. 40-72
  26. Mackenzie, Scott B. and Richard J. Lutz.(1989). Testing Competing Theorie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Proceeding of Winter Educator's Conference. Chicago :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27. Mackenzie, Scott B., Richard J. Lutz. & George E. Belch.(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r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3. 120-154
  28. Mullin, B. J.(2002). Sport Marketing(2nd Edition). New York: Human kinetics
  29. Olney, Thomas J. Morris B. Holbrook, and Rajeev Batra.(1991). Consumer Response to Advertising -The Effects of Ad Contents, Emotion, and Attitude toward the Ad on Viewing Tim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March). 350-453
  30. Speck & Elliott(1997).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ing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24(3). 6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