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riminating Variables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실업계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을 판별하는 변인1

Na, Seung-Il;Ma, Sang-Jin
나승일;마상진

  • Published : 2005120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variables discriminati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rom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Data for the study were from the data of the 2004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panel data were collected from 2000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2000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classroom teachers on education and employ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C+. The specific statistical technique used was discriminant analysis. An alpha level of .05 was established a priori for determining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loratory study, it was concluded that : (1) students who enrolled in academic high schools could be distinguished from those who enroll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by a set discriminating variables except for gender, perception of school life, perception of school facilities, living with a guardian or not, and study-efficacy of the music, fine arts and physical ; (2) students who enrolled in academic high school could best be best described as educational aspiration, college entrance plan after graduation, study-interest in language arts, english and social studies; (3) students who enrolled in vocational high school could best be described as work experience and employment plan after graduation; (4) the discriminant function explained approximately 38% of the variance in the discriminant scores; and (5) the discriminant function correctly classified 79% of the cases.

Keywords

References

  1. 권용환. (1990). 공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에 관한 조사연구.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명곤. (1998). 인문계 고등학생의 계열 결정 요인과 진로지도의 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진. (2003).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자신에 대한 타인의 평가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운열. (1986). 상업계 고교생의 직업선택관과 사회적 제 요인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의철. (1997). 한국청소년의 가치체계. 한국청소년문화: 심리-사회적 형성요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 김중여. (1992). 심리적 학교환경과 여고생의 자아정체감. 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충기. (1999). 진로발달 접근을 통한 진로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교육연구소 논문집, 23,189-251
  8. 김홍자. (2003). 학생, 부모, 교사가 지각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교생활에 대한 분석연구. 인하대학교석사학위논문
  9. 문승태, 이상래. (2002).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성, 계열, 사회경제적 배경과의 관계.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4(4), 83-96
  10. 박성미. (2004).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상태에 따른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6(1), 11-20
  11. 서숙영. (1993). 가정의 환경적인 과정변인과 학업성적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 가정의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교육학논총, 12, 47-59
  12. 성기선. (1988). 고등학교 계열화의 사회배치 기능에 관한 종단적 연구: 계열배치 결정과 졸업 후 진로결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덕자. (1988). 직업가치관과 취업지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양성남. (2003). 공업계 고등학생의 기초실력과 진학에 관한 조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성철. (1989). 고등학생의 직업포부 결정모형 탐색.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건만. (1994). 교육분화체제와 사회 불평등. 교육발전, 13(1), 69-121
  17. 이무근. (2003). 직업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18. 이윤옥. (2004). 고등학생의 진로계획 및 진로지도 실태 분석. 제3회 산업/직업별 고용구조 조사 및 청년패널 심포지엄 자료집
  19. 이정근. (1994). 진로지도와 진로상담. 중앙적성출판부
  20. 이현주. (2002).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실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철위, 박창남, 정혜영. (2000). 청소년 파트타임 고용실태와 제도적 지원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2. 이형하, 이용교. (2002).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4(2), 889-100
  23. 장원섭. (2000). 청소년 시간제 취업의 진단과 대책. 일하는 청소년 권익보호 및 지원을 위한 1차 공개토론회 자료집. YMCA
  24. 장원섭 외. (1999).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I)-고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5. 전방연. (2004). 실업계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전영국, 양은주, 허희옥. (2002).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갈등 양상에 대한 질적 연구. 교육학연구, 40(5), 297-320
  27. 정명규. (2003). 효율적인 직업탐색과정 연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인간교육연구, 10-2(6), 181-209
  28. 정수자. (1999). 실업계와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개념의 차이. 교육심리연구, 13(3), 307-329
  29. 정원식. (1986) 교육환경론. 교육출판사
  30. 정진구. (1987). 인문계고교생의 진로선택경향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철영, 송병국, 허영준, 조명실. (2004). 대학생용 직업지도 프로그램: CDP-C(직업궁합).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
  32. 조상철. (2003).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자아개념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지민정. (2000).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대학진학 계획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근집. (1998). 실업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최미자. (2002).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환경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한경혜. (2000).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 그 과정과 의미에 대하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1(2), 153-180
  37. 홍영란. (1983).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포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Davis, J. A. (1971). Elementary Survey Analysis. Englewood Cliffs, NY: Prentice-Hall
  39. Heyns, B. (1974). Social Selection and Stratification within School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9,1434-1451 https://doi.org/10.1086/225709
  40. Kleca, W. R. (1980). A Sage University Paper: Discriminant Analysis. Series / Number 07-019. Series: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Inc
  41. Light, A. (2000). In-Shool Work Experience and the Returns to Schooling. Journal of Labor Economics, 19(1), 65-93 https://doi.org/10.1086/209980
  42. McCaslin, N. L., Na, S. I., & Biggs, M. S. (1993). Variables Influencing Undergraduate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Computerized Videodisc Instruction in Horticulture. Proceedings of the 47th Central Regional Conference in Agricultural Education(USA, 1993, 3)
  43. Pinky, D. E. (2000). Not by Book: A Case Study of Working Women's Ways of Learning.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Mexico
  44. Rosenbaum, J. (1976). Making Inequality: The Hidden Curriculum of High School Tracking. New York:Wiley
  45. Rothstein, D. S. (2001). Youth Employment during School: Results Form Two Longitudinal Surveys. Monthly Labor Review, Aug, 25-37
  46. Sewell, W., and Hauser, R. (eds.). (1976). Schooling and Achievement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 Academic press
  47. Vondracek, F. W., Hostetler, M., Schulenberg, J. E. & Shimizu, K. (1990). Dimension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 98-106 https://doi.org/10.1037/0022-0167.37.1.98
  48. Woolforlk, A. E. (1995). Educational psychology. Needham Heigts M A: A Simon & Schuster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