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on of a High Risk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an Exercise Program on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근골격계 증상의 고 위험군 선정과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Kim, Bo-Kyoung;Park, Chung-Yill;Yim, Hyeon-Woo;Koo, Jung-Wan;Lee, Kang-Sook
김보경;박정일;임현우;구정완;이강숙

  • Published : 2005030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practical and the effective exercise program for managing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of workers who are employed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Methods: The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ease management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relevant literatures, and were based on advise from experts on the Delphi method. Questionnaires on selected risk factors (with a 5-point Likert scale) were given to 785 subjects who worked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subjects were then classified in the risk group when they had the symptoms and recorded at least 3 points. From those subjects in the risk group, those who had both work-related factor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with an average of at least 3 points) were further classified as the high risk group. We performed a 12-week musculoskeletal exercise program for the low and high risk groups to analyze their changes in symptoms and complaints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xercise program. Results: Out of 785 subjects, 454(57.8%) were in the risk group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121(15.4%) were in the high risk group.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for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in the low risk group,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sex and personal disease related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while the risk factors in the high risk group were age, sex, and personal disease related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After the 12-week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by the low risk group, the number of musculoskeletal symptom complai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whereas for the intervention group, the number of musculoskeletal symptom complaints significantly declined for all parts of the body. After the 12-week exercise program performed by the high risk group, the number of musculoskeletal symptom complaints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enhanced for the arm and elbow parts. In the intervention group, the complaint rate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significantly declined only for the low back. Conclusion: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exercise program in the low risk group, but not in the high risk group. It is suggested that control measures on administrative and/or work related factors, in addition to the exercise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for the control of musculoskeletal symptoms in groups at high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

목적: 중소규모사업장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증상을 실제적이며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중점관리대상자를 선별하고 근골격계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문헌검색과 Delphi법에 의한 전문가의견을 종합하여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된 요인을 선정하고 785명을 대상으로 이들 요인들에 관한 설문조사( 5점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증상이 있는 군( 3점척도 이상)을 위험군으로, 위험군 중에서 작업특성관련요인과 일반특성관련요인이 함께 있는 군(평균이 3점척도이상)을 고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중점관리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저 위험군과 고 위험군을 대상으로 12주간 근골격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증상 호소율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근골격계질환 위험군은 전체대상자 785명 중, 454명(57.8%)이었으며 고 위험군은 121명(15.4%)이었다. 저 위험군의 근골격계증상에 대한 위험요인의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위험요인은 성,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된 개인질병이었고, 고 위험군에서의 위험요인은 연령, 성,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된 개인질병 등이었다. 저 위험군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실시한 후 대조군에서의 근골격계증상호소율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중재군에서는 근골격계증상 호소율이 신체부위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고 위험군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대조군에서 근골격계증상호소율이 팔과 팔꿈치 부위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중재군에서는 허리부위에서 증상호소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저 위험군에서는 운동프로그램이 근골격계증상 관리에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나 고위험군에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고 위험군에서의 근골격계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는 운동프로그램외의 다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호장, 하미나, 윤덕로, 조수헌, 강대희 등. VDT작업자에서 업무로 인한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가 근골격계 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3):570-7
  2. 국민체력센터. 김영희의 체육시간. Available: http://www.nfc.or.kr/_commons/com mons_01_00. asp [cited 1 November 2002]
  3. 김수근, 배근량, 임현술, 김두희, 이종민. 누적외상성장애에 대한 자각증상을 이용한 선별기준의 타당도. 대한보건협회지 1998;24(1):15-25
  4. 김일룡, 김재영, 박종태, 최재욱, 김해준. 자동차 조립작업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연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3):220-31
  5. 김종은, 강동묵, 신용철, 손미아, 김정원 등. 일개 조선소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증상의 위험인자,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4):401-10
  6. 김창선, 김광종, 최재욱, 윤수종. 자동차조립공장 근로자의 누적외상성질환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 위험요인.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1;11(1):85-91
  7. 김형렬, 원종욱, 송재석, 김현수, 김치년 등. 일부 의료서비스 업 VDT작업자의상지 근골격계증상의 정도와 관련된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2):140-9
  8. 노동부. 산업재해현황자료. 2003a
  9. 노동부. 근골격계질환 예방의무 해설. 2003b
  10. 박계열, 백기주, 이중근, 이연수, 노재훈. VDT 작업자의 자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회지 1997;9(1):156-69
  11. 박동현, 윤익근. 산업재해로서의 누적외상병(CTDs)에 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2): 282-300
  12. 박동현, 한상환. 범용 위험도 평가서를 이용한 조선업체 작업에서의 누적외상성질환에 대한 인간공학적 분석.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8;8(1):24-35
  13. 박병찬, 정해관, 김수근. 일부 조선업종 근로자의 근골격계 증 상과 관련된 위험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4):373-87
  14. 박희석, 이윤근, 임상혁. 제조업에서 발생하는 누적외상성질 환 관련 문제점 분석 및 위험요인 점검표의 개발. 대한산업공학회지 1998;24(4):503-17
  15. 사공준, 정종학, 김혜숙. 직무스트레스가 정신, 신체적 긴장 및 소 화 기 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3):530-42
  16. 손명호, 최진수, 손석준, 박종, 김양옥. 개입연구를 통한 근로자 경견완장애의 개선효과.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460-75
  17. 손정일, 이수진, 송재철, 박향배. 일부 VDT사용 근로자의 자 각증상과 심리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5;28(2):433-49
  18. 안연순, 최용휴, 강성규, 정호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으 로 요양승인된 사례분석. 대한산업의학회지 2002;14(2):154-68
  19. 오혜주, 이덕희, 박인근, 장세한. 작업유형별 근골격계 증상 호 소율에 관한 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1994;27(2):224-30
  20.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 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439-48
  21. 이원진, 이은일, 차철환.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에서 발생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1992;25(1):26-33
  22. 이윤근, 임상혁. 한국통신공사 전화교환원들의 경견완장애 실 태에 관한 조사연구 보고서. 구로의원 산업보건연구실, 1995:1-42
  23. 이윤근, 임상혁. 의료보험 심사업무의 작업자세 특성과 누적 외상성질환 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8;8(1):36-49
  24. 이윤근. 누적외상성질환 위험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발-자동차 조립 작업을 중심으로- 가톨릭대 학교대학원 보건학박사논문. 2001
  25. 임상혁, 이윤근, 조정진, 손정일, 송재철. 은행창구작업자 (VDT작업자)의 경견완장애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에 관한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 (1):85-98
  26. 장은철, 김현주, 권영준, 박시복, 이수진. 일부 소규모 시계조립 사업장의 상지 누적외상성장애의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4):457-72
  27. 전만중, 사공준, 이중정, 이희경, 정종학. 대구지역 치과의사들의 누적외상성 장애에 대한 조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1):55-63
  28. 정현기, 노영만, 임현우, 박정일, 정춘화. 단순반복 작업자의 작업대 및 의자의 형태와 누적외상성질환 증상과의 관계.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2):152-62
  29. 차봉석, 고상백, 장세진, 박창식. VDT취급근로자의 신체적 자각증상과 정신사회적 안녕상태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3):403-13
  30. 채홍재, 이성관, 이강진, 문재동. 조선소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양상과 중재적 보건관리 효과 . 대한산업의학회지 2002;14(4):468-77
  31. 최재욱, 염용태, 송동빈, 박종태, 장성훈. 반복작업 근로자에서의 경경완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2):301-19
  32.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지침. 한국산업안전공단, 2003
  33. 한국산업안전공단. 신체 각 부위별 스트레칭기법. 한국산업안전공단, 2003
  34. 한상환, 조수헌, 김지영, 성낙정. 전자제품 조립업체 근로자에서 직무 요구, 직무 조직, 경력 개발, 역할 압력, 경제적 압력 등의 직무 스트레스가 업무관련 상지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3):269-80
  35. American Red Cross. Protect your back, American Red Cross, 1993
  36.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Control of work-related cumulative trauma disorders, Part 1, Upper extremities (working draft): National Safety Council, 1996:4.1-A.17
  37. Cannon LJ. Personal and occup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CT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1981;23:255-8
  38. Erdil M, Dickerson OB. Cumulative trauma disorders, preventive, evaluation and treatment: Van Nostrand Reinhold, 1997:88-9
  39. Geer f, Letz R, Loudrigan PJ.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occupational origin. Annu Rev Publ Health 1991;12:543-66 https://doi.org/10.1146/annurev.pu.12.050191.002551
  40. Hales TR, Sauter SL, Peterson MR, Fine LJ, Anderson VP et al.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visual display terminal users in a telecomunications company. Ergonomics, 1994;37(10):1603-21 https://doi.org/10.1080/00140139408964940
  41. Hakkanen M, Viikari-Juntura E, Martikainen R.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newly employed manufacturing work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1; 27(6):381-7 https://doi.org/10.5271/sjweh.630
  42. Karhu O, Knasi P, Kuorinka I. Correcting working postures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 Ergo 1977;8:199-201 https://doi.org/10.1016/0003-6870(77)90164-8
  43. Lifshitz Y, Armstrong TJ. A design checklist for control and prediction of cumulative trauma disorders in hand intensive manual jobs. Proceedings of the 30th Annual Meeting of Human Factors Society, 1986:837-41
  44. McAtamney L, Corlett EN.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 Ergo 1993;24 (2):91-9 https://doi.org/10.1016/0003-6870(93)90080-S
  45. Merlino LA, Rosecrance JC, Anton D, Cook TM. Symptoms of muscluloskeletal disorders among apprentice construction workers. Appl Occup Environ Hyg 2003;18(1):57-64 https://doi.org/10.1080/10473220301391
  46.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NIOSH, 1993:93- 188-456
  47. National Research Council. Work-related musculoskeltal disorders: Reports workshop summary and workshop paper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999 https://doi.org/10.1136/oem.57.6.431a
  4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 tion. Federal register Vol 64, No. 225, Ergonomics Program, OSHA, 1999:65875-96
  49.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Nonfatal occupational illnesses by category of illness, private industry.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00
  50. Phalen GS. The Carpal Tunnel Syndrome. Clinical Orthopedics, 1972;83:29-40 https://doi.org/10.1097/00003086-197203000-00007
  51. Putz-Anderson V. Cumulative trauma disorder: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the upper limbs. NIOSH, 1988
  52. Tanaka S, Seligman P, Halperin W, Thun M, Timbrook C, et al. Use of worker's compensation claims data for surveillance of cumulative trauma disorder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1988;30:488-92 https://doi.org/10.1097/00043764-198806000-00010
  53. UVA/OEHS. Ergonomics Program-stretch Breaks. Available: http://keats.admin.virginia.edu/ergo/stretch.html [cited 1 August 2003]
  54. Zenz C, Dikerson OB, Horvath EP. Occupa- tional Medicine. 3rd Ed. Mosby, St. Louis, 1994. pp 4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