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valuation Method for the Impact of Disruptive Events on Road Construction Projects using Total Project Productivity

총 프로젝트 생산성 개념을 활용한 도로 건설공사 작업지연요소의 영향도 평가기법

Lee, Seung-Hyun;Hong, Sung-Ho
이승현;홍성호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identifying the types of disruptive events occurring frequently on road construction projects and developing a tool for evaluating their negative impact on those projects by adopting the concept of total project productivity (TPP). This evaluation tool is described with the following three basic steps. The first step is to establish the databases for analyzing the variation of TPP based upon the three urban/rural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calling for widening and reconstruction. The second step is to identify disruptive events causing the loss of TPP based upon the target (cumulative 25th percentile) and the marginal (cumulative average percentile) baseline productivity. The third step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disruptions on TPP by estimating the amount of inefficient man-hours used. As a result of three case studies, it was observed that two urban projects had more disruptions, and these disrup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TPP significantly.

본 연구는 프로젝트 총 생산성 개념을 활용하여 도로공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작업지연요소를 규명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프로젝트 전반에 끼친 비효율성의 정도(영향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평가기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본단계를 거쳐 설명하였다. 첫째, 도심부, 지방부 고속도로의 개량, 확장공사 3개 사례를 대상으로 수집된 총 프로젝트 생산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누적 총 프로젝트 생산성 데이터를 25백분위수로 나타낸 목표기준선과 누적 총 프로젝트 생산성 데이터의 평균값들로 이루어진 한계 기준선에 기초하여 총 프로젝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도로공사의 작업지연요소들을 규명할 수 있는 모듈을 마련하는 것이다. 셋째, 소요된 노무시간 중에서 비효율적으로 투입된 노무시간을 계산하여 작업지연요소들이 총 프로젝트 생산성에 미치는 비효율성의 정도(영향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로공사 작업지연요소의 영향도 평가기법을 3개의 사례에 적용한 결과, 작업지연요소가 도심부 프로젝트에서 더욱 많이 나타나며 이는 총 프로젝트 생산성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현, 변재현(1999) 건설업 총요소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방문사 (제16-1149호)
  2. 이승현(2004) Equivalent Work Unit의 적용을 통한 도로 건설 공사의 총 프로젝트 생산성 측정 방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5D호, pp. 787-794
  3. Clemen, R. T. (1995) Making hard decisions: An introduction to decision analysis (Second edition). Belmont, CA: Duxbury Press a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pp. 465-466
  4.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DOT). State Materials Office (2003) Computer automated laboratory system (CALS): Custom software Specification (SiteManager Interface). Retrieved November 2003, from http://www.dot.state.fl.us/statematerialsoffice/Administration/LIMS/administration/sitemanager.pdf
  5. Kumaraswamy, M. M. & Chan, D. W. (1998) Contributors to construction delays.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16, pp.17-29 https://doi.org/10.1080/014461998372556
  6. Lee, S. (2003) A process model for controlling project productivity of highway construction oper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pp. 63-67
  7. Ott, R. L. (1993)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ethods and data analysis (Fourth edition). Belmont, CA: Duxbury Press a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pp. 96-100
  8. Thomas, H. R. & Zavrski, I. (1999) Construction baseline productivity: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5(5), pp. 295-303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9)125:5(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