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 and Adulthood Diabetic Patients

청장년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와 삶의 질

Park, Bong-Suk;Jin, Gi-Nam;Choi, Youn-Chung;Chung, Ji-Hee;Kim, Kyoung-Hoe;Lee, Mi-Yeong;Go, Jang-Hyeon;Chung, Choon-Hee
박봉숙;진기남;최윤정;정지희;김경회;이미영;고장현;정춘희

  • Published : 20050500

Abstract

Backgr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OL,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s to improve the QOL in adolescent and adult diabetic patients.Methods: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126 adolescent and adult diabetic patients who visited the Yonsei University Wonju Christian Hospital from March 4th, 2004 to April 5th, 2004.Result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O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QOL-and employment, years of education, income level and marriage status, but not between the health-related QOL and age and gender. Furthermor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lth-related QOL and smoking or drinking, nor between type 1 and 2 diabetic patients. The health-related QOL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an increased diabetes duration and for a greater number of symptoms, but the Q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resence of complications and hospital admission. The health-related QOL was lower when the pre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and HbA1c concentrations were higher, but it was higher when the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s were higher. Regarding the treatment methods, the health-related QOL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ose patients who took insulin injection. The QOL was higher when the general self-management and diet therapy were well-controlled. Meanwhile, those subjects who had obtained medical informations from doctors, the media (including the internet and TV) and nurses in that order, they selected diet therapy as the hardest factor in the management of their diabetes. Conclusion: Adolescent and adult diabetic patients need continuous education and assistance to improve their health-related QOL and to keep from developing complications

연구배경: 본 연구는 일반인이나 다양한 환자 집단의 삶의 질을 비교하여 의학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SF-36 척도를 사용하여, 청장년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과 자기관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청장년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청장년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W의과대학 부속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하는 청장년 당뇨병환자 20세에서 49세까지 12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도구는 일반적 당뇨병환자들의 삶의 질을 청장년층에 맞게 일부 수정 보완하였고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의 신뢰도는 전반적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이었다. 결과: 청장년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와 삶의 질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청장년 당뇨병환자들은 낮은 소득수준, 합병증의 동반 및 인슐린 주사 등으로 인하여, 삶의 질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식사 및 운동요법에 의한 관리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당뇨교육 전문 인력에 의한 적극적인 개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많이 영향을 주는 요인은 증상과 자기관리로서, 증상이 적고 자기관리를 잘하는 사람은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 있다.결론: 청장년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증상완화와 합병증을 예방하고, 자기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지속적인 교육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기업: 인슐린요법. 당뇨병학회 연수강좌 4:43-6p,1989
  2. 김응진: 젊은 연령에서 발생한 당뇨병의 임상적 관찰. 대한당뇨병학회지 9:121-2,1985
  3. 구미옥: 당뇨인의 자가간호 행위와 대사조절에 관한 구조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4. 구미옥: 당뇨인의 자기효능감,자기조절,상황적 장애,자기간호행위간의 관계. 간호학회지 24:635-50,1994
  5. 구미옥,유주화,엄동춘: 자가 혈당검사를 수행하는 당뇨병환자의 자기조절행위에 관한 조사 연구. 당뇨병 18:235-41,1994
  6. Magilvy JK: Quality of life hearing impaired older women. Nursing Research 34:140-4,1985
  7. Miller JF: Coping with inrohc illness Overcoming powerlessness.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15-25,1983
  8. 진기남,송현종,신명자: 건강관련 삶의 질 개념과 하위 척도,보건과학논집 11:26-45,2001
  9. Holmes S: Pursuit of happiness. Nursing Mirror 161: 43-4p, 1985
  10. 김명자,송경애: 지지간호가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간호학회지 21:323-38,1991
  11. 남해성,손명호,권순석,김순영,박형철,이청우,손석준,이정애,최진수: 광주 광역시노인들의 만성질환과 건강관련 삶의 질. 노인병 4:172-90, 2000
  12. 노유자: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1988
  13. Osman IM,Godden DJ,Friend,JA,Legge JS,Douglas JG: Quality of life and hospital re-admi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n disease. Thorax 529:67-71,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