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velopment of Safety Prediction Models for Moving Behavior of Crosswalk Pedestrians

횡단보도 보행자의 동태적 행위 관련 안전예측모형 개발

Lee, Doo-Hee
이두희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The crosswalk is black spot that occupy most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 This study carried out to ready specific and real alternative plan more to differ with existing study method connected with pedestrian, so Pedestrian's trend and moving behavior who utiliz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quantitative). First, searched a crossing pedestrian's accident prediction model executing the firs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for research object spot, Second, according to result that observes walking amount by moving behavior of crossing pedestrian through on-the-spot probe and achieves the seco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2 safety prediction models called among 4 dependent variables, crosswalk using pedestrian ($Y_{2}$) and crosswalk running pedestrian ($Y_{4}$) that were constructed. Constructed two models have personality of representative model for whole research spot but was expose that effect for real crossing pedestrian's safety is low. Third, result that typify research-point by group and executes stepwise post-analysis during the third, deduced safety prediction model by fairly objective action. Developed model in this study supplied important basic data to grasp safety by crossing pedestrian's action and traffic accident type, and is expected that subsequently the practical use extent is wide as well as can solve problem of existing crossing walk connection effect analysis.

횡단보도는 보행자 교통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고다발지역이다. 본 연구는 횡단보도 관련 기존 연구 방식과 달리 좀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고자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경향과 동태적 행위를 회귀분석(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지점에 대한 1차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횡단보행자의 사고예측모형을 알아보았고, 둘째, 현장조사를 통하여 횡단보행자의 동태적 행위별 보행량을 관측하여 2차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4개의 종속변수 중 횡단보도 이용 보행자($Y_{2}$)와 횡단보도 뛰는 보행자($Y_{4}$) 2개의 안전예측모형이 구축되었다. 구축된 두 모형은 전체 연구대상지점에 대한 대표 모형의 성격은 갖고 있으나 실질적인 횡단보행자의 안전에 대한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지점을 집단별로 유형화하여 3차에 걸친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Y_{2}$의 경우 제1집단을 제외한 3개 집단의 모형이 구축되었고 설명력(R2 = 0.99)이 높은 상당히 객관화된 행위별 안전예측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횡단보행자의 행위별 안전과 교통사고 유형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기존 횡단보행 관련 효과분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후 그 활용범위가 넓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2) 도로용량편람(KHCM)
  2. 고상선(1995) 교통사고 야기 영향요인간의 상관성분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대전발전연구원(2000-2003) 대전광역시 교통조사 및 분석보고서
  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0-2003) 교통사고 통계분석
  5. 최희수(1987) 교차로 교통사고 영향요소 분석을 통한 사고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홍의선(2000) 도시부 횡단보도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Cynecki, M.J., Zegeer, C.V., Hughes, R. and Huang, H. (2001) Evaluation of Automated Pedestrian Detection at Signalized Inter- section, FHWA-RD-00-097
  8. Dunn, R. and Pretty, R. (1984) Mid-block Pedestrian Crosswalking - An Examination of Delay, 12th Annual Australian Road Research Board Conference Proceeding, Hobart, Tasmania, Australia
  9. Hunt, J.G. (1997) Pedestrian Crossings: Changing the Balance of Priorities, PTRC
  10. Knoblauch, R.L., Nitzburg, M. and Seifert, R.F. (2001) Pedestrian Crosswalk Case Studies: Richmond, Virginia; Buffalo, New York; Stillwater, Minnesota, FHWA-RD-00-103
  11. Milazzo, I.I., Joseph, S. (1996) The Effect of Pedestrians on the Capacity of Signalized Intersections, Master's Thesi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12. Nitzburg, M. and Knoblauch, R.L. (2001) An Evalution of High- Visibility Crosswalk Treatment-Clearwater, Florida, FAWA-RD- 00-105
  13. Zaidel, D.M. and Hocherman, I. (1987) Safety of Pedestrian Crossing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141,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