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end of Antibiotic Production in Korea during 1981$\sim$2003

국내 항생제의 생산 실태와 변화 추세 (IV)

Kim, Youn-Jeong;Lee, Seung-Hwan;Kang, Yu-Na;Kim, Won-Chul;Kim, Sang-II;Wie, Seong-Heon;Kim, Yang-Ree;Kang, Moon-Won
김윤정;이승환;강유나;김원철;김상일;위성헌;김양리;강문원

  • Published : 20051000

Abstract

Background : It is difficult to know the actual situation of antibiotic usage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trend of antibiotic production every five years from 1981 to 2003 by using two parameters:the cost and the amount of antibiotics produced in Korea. Materials & Methods : We analysed the data from ‘Annual Products of Medicine’ published by Korea Pharmaceutical Manufactures Association. All antibiotics were classified into generic names, and the cost and the amount of antibiotic produced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previous years. Results : The total production cost and the amount of antibiotics increased since 1980 and by 2003, it was 1,306 billion won and 965 tons respectively. However, the increasing rate of production cost has slowed down since 2000. Among all antibiotics produced in Korea, cephalosporins recorded the highest production cost, reaching 595 billion won (45.6%) in 2003. Cephalosporins made the largest portion of the total amount: 252 tons (26.2%). Both 3rd and 4th generation cephlosporins have increased gradually. The second most frequently produced antibiotics in terms of amount were penicillins, although it decreased by 25% since 1998. Aminoglycosides showed similar production cost, but the production amount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1998. The production amount of quinolones had skyrocketed to 641% from 1998. Tetracyclines, lincosamides, and chloramphenicols in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production cost and amount. Conclusion: There seems to be an increase of antibiotics in production cost and amount in Korea, but the overall increasing rate of the cost has slowed down since 2000. The newer and more expensive antibiotics have grown in production.

목 적 : 2003년 에 국내에서 생산된 항생제의 생산액과 생산량을 알아보고 이를 1980년도 이후의 자료와 비교하여 20 여 년간 국내 항생제 생산 실태와 변화 추세를 통해 항생제의 적절한 사용에 참고가 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한국 제약 협회에서 발간하는 ‘의약품등 생산 실적표’를 토대로 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항생제를 성분명에 따라 분류하여 각계열별로 생산액과 생산량을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생산액은 1981년, 1988년, 1993년, 1998년의 자료와, 생산량은 1983년, 1988년, 1993년 그리고 1998년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결 과 : 2003년 항생제의 총 생산액은 13,059 억 원 이 고 생산량은 965 돈으로 1980년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체 생산액 중 cephalosporin이 5,951 억(45.6%)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생산량 또한 cephalosporin이 252돈(26.2%)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Cephalosporin 세대별 생산액은 깡-11 대 cephalosporin이 2,384 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생산량을 보면 1세 대 cephalosporin이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그러나 전체 cephalosproin 중 1세 대 와 2세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 추세이며 대신 3세 대와 4세 대 cephalosporin 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두 번째로 생산량이 많은 것은 penicillin겨 이나 1998년과 비교하여서는 25% 감소하였다 Penicillin 계는 예전과 마찬가지로 arninopenicillin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커서 전체 penicillin 생산액의 96%, 생산량의 97%를 차지하였고, 이 중 특히 beta-lactamase inhibitor 복합제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1988 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이다. Aminoglycoside의 생산액은 1,187 억 원으로 1998년과 비슷한 수준이냐, 생산액은 20.3돈으로 감소하였다. Quinolone계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여 1998년 대비 생산량은 641%, 생산액은 31% 증가하였고 이 중 ciprofloxacin이 생산액의 36%를 차지하였다. 항진균제와 glycopeptide계, carbapenem계 또한 증가하고 있다. 결 론 : 2003년도에 전반적으로 항생제 생산액과 생산량이 증가 추세이냐, 2000년 이후 증기율은 좀 둔화되었으며, 새로운 고가의 항생제들이 점차 많이 사용되는 양상이다.

Keywords

References

  1.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The guide of antibiotics use. p13, Seoul, Kwangmoon, 2000
  2. Korea Pharmaceutical Manufactures Association:Annual products of medicine. 2003
  3. Kang MW, Chung HY:Trends of antimicrobial drug usage in Korea, Korean J Infect Dis 14:31-5, 1982
  4. Kang MW, Chung HY:Trends of antibiotic usage in Korea, Korean J Infect Dis 21:257-63, 1989
  5. Kim YJ, Yoon CH, Baek KH, Kim YR, Yu JH, Shin WS, Kang MW:The trends of antibiotic usage in Korea(II), Korean J Infect Dis 13:43-55, 1995
  6. Kim SI, Park JM, Wie SH, Kim YR, Kang MW: The trend of antibiotics usage in Korea during 1981-1998, Korean J Infect Dis 32:439-47, 2000 https://doi.org/10.1080/003655400750045114
  7. Kimsonline:KIMS Annual 6, 2004
  8. Yoo SS, Cho YJ, Park HJ, Seung WG:Characterization of ciprofloxacin resistant Neisseria gonorrhoeae isolated in Korea.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39:119-20,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