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Scrub Typhus in Gyeongsangbuk - do, 1999 - 2001

경상북도에서 1999 - 2001년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의 역학적 특성

Min, Young-Sun;Lim, Hyun-Sul;Lee, Kwan;Jung, Cheoll;Cheong, Hae-Kwan
민영선;임현술;이관;정철;정해관

  • Published : 20051200

Abstract

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and magnitudes of scrub typhus (tsutsugamushi disease) in Gyeongsangbuk-do, Korea. Methods: Resources of data collected were epidemiologic surveillance report to public health centers on each disease occurrence. The authors reviewed 344 epidemiologic surveillance reports for cases of scrub typhus developed in Gyeongsangbuk-do, Korea from Jan 1, 1999 to Dee 31, 2001. Results: The scrub typhus cases were 376 during three year period, and the incid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unty area than in the city area. Incidence of scrub typhus was increasing each year. In 344 epidemiologic surveillance reports, the job of the cases was farmer (67.2%), housewife (4.7%), clerk (3.5%). Two hundred ninety eight cases (86.6%) have experienced outdoor activities before development of the scrub typhus. The outdoor places of exposure were dry field (64.8%), rice field (51.7%), hill (12.8), and grass field (9.7%). The symptoms reported were fever (93.3%), headache (83.7%), chill (69.5%), and rash (54.4%). Conclusions: Incidence of scrub typhus was increasing in Gyeongsangbuk-do, Korea, this phenomenon may be related to change of climate, the reporting rate of disease and outing activities. Good surveillance and adequate analysis of epidemiologic data is a essential for the prevention of the disease. With this result, high risk population was identified and effective intervention should be done to prevent the disease.

쯔쯔가무시병 환자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1999년부터 2001년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상북도에서 조사기간 중 쯔쯔가무시병 환자는 1999년에 54명, 2000년에 104명, 20이년에 218명 등 총 376명이 발생하였고,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도별 및 지역별 분포 현황을 파악하였다. 376명의 발생자 중 역학조사표가 있었던 344명(91.5%)에 대하여 조사표상의 인적 사항, 질병 발생 관련 요인 및 증상 등 세부 사항을 파악하였다. 조사항목에는 성별, 나이, 주소, 직업 등의 기본 인적 사항, 질병 발생 관련 요인, 질병 관련 증상 등을 포함하였다. 발생률은 전체 인구 10만 명당 1999년에 1.9명, 2000년에 3.8명, 2001년에 7.8명으로 연도별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든 연도에서 군지역의 발생률이 시지역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3년 간 역학조사표가 있었던 환자 344명의 성별 분포는 남자 131명(38.0%), 여자 213명(62.0%)이었다. 직업별 분포는 농업이 231명(67.2%)으로 가장 많았고, 주부 16명(4.7%), 사무원 12명(3.5%) 등의 순이었다. 발병 전 야외활동 경험이 있었던 사람은 298명 (86.9%)이었고, 46병(13.4%)은 경험이 없었다. 야외활동 장소는 밭(64.8%), 논(51.7%), 야산(12.8%), 풀밭(9.7%), 축사(2.7%), 성묘(3.7%)등의 순이었다. 발생월별 분포는 1월부터 6월까지는 한 건도 없었고, 10월에 199명(59.8%), 11월에 134명(39.0%)으로 가장 많았다. 임상증상 양성률은 발열 321명(93.3%), 두통 288명 (83.7%), 오한 239명 (69.5%), 발진 187명 (54.4%), 전신근육통 97명(28.2%), 기침 54명(15.7%) 등의 순이었다. 연도별로 환자가 증가한 원인은 기후의 변화, 신고율의 향상 및 외부 활동의 증가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지만 이에 대하여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며, 앞으로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정밀한 역학조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아울러 쯔쯔가무시병의 효율적인 예방을 위한 관리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질병관리본부. 2004년 쯔쯔가무시증 발생 현황. 감염병발생정보 2004;15(11):232-3
  2. 송진원, 이상원, 고은영, 정기모, 이용주, 송기준, 백락주. 한국산 다람쥐의 Oricntia tsutsugamushi에 대한 항체양성율. J Korean Soc Microbiol 2000;35(1):61-8
  3. 이한일. 術生毘蟲學. 2판. 서울: 고문사; 1993
  4. 김호열. 쯔쯔가무시증의 국내 임상양상. 감염병발생정보 2002;13:121-5
  5. Munro-Faure AD, Andrew R, Missen GA, MackayDick J. Scrub typhus in Korea. J R Anny Med Corps 1951;97(4):227-9
  6. Jackson EB, Danauskas JX, Smadel JE, Fuller HS, Coale MC, Bozeman FM. Occurrence of Rickettsia tsutsugamushi in Korean rodents and chiggers. Am J Hyg 1957;66(3):309-20
  7. 이정상, 안규리, 김윤권, 이문호. 국내 상주 한국인 에서 처음으로 확진된 쪼쓰가무시병 9례를 포함한 rickettsia 감염. 대한의학협회지 1986;29(4):430-8
  8. 질병관리본부. 최근 쯔쯔가무시증 발생 특성. 감염병발생정보 2004; 15(12):246-52
  9. 통계청. 2004년 통계연보. 통계청; 2005
  10. 장진근, 박배근, 이희섭, 맹주희, 김현승, 이승찬, 윤성규, 최종수.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 46예의 임상적 관찰. 감염과 화학요법 2003;25(3): 138-44
  11. 이종성, 이증훈, 박장규, 김선영, 장우현. 충청지역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 40예의 임상적 고찰. 대한피부과학회지 1989;27(3):272-81
  12. 전기엽, 최영숙. 쯔쯔가무시병 98예의 임상적 고찰(1986- 1991 ). 대한내과학회지 1993;45: 177-86
  13. 이호권, 민슬기, 공승진, 이수정, 송헌호, 윤종우, 이명구, 신동훈, 강성하, 이정열, 박영이. 춘천 지역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의 임상적 특정. 대한내과학회지 2005;69(2): 190-6
  14. 이종곤, 이병삼, 신옥식, 신규창, 오용구, 기세길. 쓰쓰가무시병 75 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내과학회지 1991;41(4):558-63
  15. Takahashi M, Morita K, Tsuji O , Misumi H, Otsuji J, Hori E, Kawanura A Jr, Tanaka H. Seasonal development of Leptotrombidium akamushi(Acari: Trombiculidae) under field temperatures. J Med Entomol 1995;32(6):843-6
  16. Takahashi M, Machida K, Murata M, Misumi H, Hori E, Kawanura A Jr, Tanaka H. Seasonal development of Leptotrombidium pallidum (Acari:Trombiculidae) observed by experimental rearingin the natural environment. J Med Entomol 1993;30:320-5
  17. Takahashi M, Misumi H, Matsuzawa H, Morita K, Tsuji O , Hori E, Kawanura A Jr, Tanaka H. Seasonal development of Leptotrombidium scutellare (Acari: Trombiculidae) observed by experimental rearing in field condition. Jpn J Sanit Zool. 1994;45: 113-20
  18. Clopton RE, Gold RE. Distribution and seasonal and diurnal activity patterns of Eutrombicula alfreddugesi (Acari: Trombiculidae) in a forest edge ecosystem. J Med Entomol 1993;30(1):47-53
  19. Jenkins DW. Trombiculid mites affecting man.II. Control of larval behavior for disease transmission studies. Am J Hyg 1948;48:36-44
  20. 김명해, 강병찬. 경작지 주변의 토양에서 털진드기류의 군집구조와 계절별 발생소장. 한국생태학회지 1996;19(1 ):3 1-37
  21. 서주환, 최현상, 양희승, 이신형, 박대우. 삼림욕장의 구성요소별 이용만족도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04;8(1):35-44
  22. 국립보건원. 전염병예방법의 개정. 감염병발생정보 2000;11(2):17-8
  23. 국립보건원. 전염병예방법령 개정과 향후 추진계획. 감염병발생정보 2000; 11(10):123-30
  24. 국립보건원. 2001년도 전염병관리사업 추진방향. 감염병발생정보 2001;12(3):23-5
  25. Okada N. Tsutsugamushi disease found in the northern districts of Awaji Island-epidemiological study of the outbreak season temperature. Kansenshogaku Zasshi 2003;77(2):60-7
  26. 이요한, 김홍식, 한욱상, 이경숙, 허인자, 서종호. 쯔쯔가무시병 17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가정의학회지 1992;13(8):703-8
  27. 박명재, 고경식, 안규정, 정호연, 이태원, 서환조. Tsutsugamushi 병 42예의 임상적 고찰( 1987 -1990). 대한내과학회지 1992;42(6):816-25
  28. 박후근, 정세주, 이승표, 진성호, 이관호, 박동철, 조준탁, 이진관, 홍영애 . 울산, 울주지역에 발생한 쯔쯔가무시병 27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내과학회지 1988;35(3);383-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