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Available Groundwater Development Amount Considering the Watershed Water Circulation (II)-Groundwater Flow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유역 물순환을 고려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출 연구 (II)-지하수 유동모형의 개발과 적용-

Yun, Seong-Yong;Kim, Sang-Jun
윤성용;김상준

  • Published : 2005.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in the watershed aquifer. A Simulation program was made and named GFDS(Groundwater Flow and Development Simulation). GFDS can simulate the groundwater flow due to pumping in the shallow aquifer and reflect the various site condition. Samsung watershed which is near the upper site of Bocheong river (IHP project river) is selected for the program test. The area of the watershed is 107 km2 and the avilable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was evaluated to be 7${\sim}$11 million t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he combination of surface and subsurface flow and also the combination of hydrological/hydraulic model. and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projects of watershed-based groundwater development.

본 연구는 유역내에 존재하는 대수층에서 집중적으로 지하수를 개발할 경우 그 개발 가능량을 산출하고자 하는 방법론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imulation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를 GFDS(Groundwater Flow and Development Simulation)로 명명하였다. GFDS는 천층 대수층에서 양수에 의한 지하수 흐름을 모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현장 조건을 반영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적용할 시험 유역으로는 IHP 대표유역인 보청천 상류 삼성 유역을 선택하였다. 유역면적은 107 km2이며 유역의 출구에 형성된 대수층에서 지하수를 개발할 경우 년간 약 700${\sim$1100 만톤의 개발 가능량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은, 유역내에서 지하수는 지표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수문/수리학적 모형을 사용한 통합적인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측 기술은 유역단위의 지하수 개발 가능량을 산정하기 위한 실제적인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처 (2002)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사업 3-3과제
  2. 건설교통부 (2001) 국제 수문개발 계획 (IHP) 연구보고서
  3. 건설교통부 (2002) 지하수관리 기본계획 보고서
  4. 건설교통부 . 한국수자원공사 (2003) 지하수 기초조사 및 수문지질도 제작관리 지침
  5. 속초시 (1998) 속초시 쌍천 취수원 개발에 따른 수리지질연구 용역 보고서
  6. 정상옥 (1994) MODFLOW 모형을 이용 부곡온천지역 지하수 유동해석, 한국수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 79-87
  7. 정우엔지니어링주식회사 (1984) 지하원유 비축기지 주위의 지하수분석
  8. Douglas, P.D., Charles (1999) W.D., Regional groundwater flow model con-struction and wellfield site selection in a karst area, Lake City, Florida, Engineering Geology, vol. 52, pp.129-139 https://doi.org/10.1016/S0013-7952(98)00066-0
  9. McDonald, M.G., and Harbaugh, A.W., MODFLOW (1991) A Modular three 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Flow Model, IGWMC Ground Water Modeling Software, International Ground Water Modeling Center. Colorado, USA
  10. Mercer, J.W., and C. R. Faust. (1981) Ground-Water Modelling: Matlunatical Models, Groundwater 18(3), pp. 212-227
  11. Pinder, G.F., and Bredehoeft, J.D., (1970) Digital analysis of areal flow in multiquifer groundwater systems: A quasi three dimensional model, Water Resour. Res., Vol. 6, No.1, pp.194-210 https://doi.org/10.1029/WR006i001p00194
  12. Ramireddygari, S.R., Sophocleous, M.A., Koelliker, J.K. (200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prehensiv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impacts of watershed structures and irrigation water use on streamflow and groundwater: the case of Wet Walnut Greek Watershed, Kansas, USA, Journal of Hydrology, vol. 236, pp.223-246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95-X
  13. Sophocleous, M.A., Samuel P.P. (2000) Methodo logy and application of combined watershed and groundwater models in Kansas, Journal of Hydrology, vol. 236, pp.185-201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93-6
  14. Stuart, N. and Stocks, C., (1993) Hydrological modelling within GIS: an integrated approach, in HydroGIS 93: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IAHS Publ. no.211, pp 319-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