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tiology of acute viral hepatitis for the last 3 years

최근 3년간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원인 분석

Song, Moon-Hee;Lim, Young-Suk;Song, Tae-June;Choi, Jung-Min;Kim, Jae-II;Jun, Jae-Bum;Kim, Mi-Young;Pyun, Dae-Keun;Lee, Han-Chu;Jung, Young-Hwa;Lee, Young-Sang;Suh, Dong-Jin
송문희;임영석;송태준;최정민;김재일;전재범;김미영;변대근;이한주;정영화;이영상;서동진

  • Published : 20050300

Abstract

Background : In Korea, the most common cause of acute viral hepatitis used to be the hepatitis B virus, but now the etiology of acute viral hepatitis seems to be changing. We investigated the etiology of newly developed acute viral hepatitis for the last 3 yea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visited Asan Medical Center for janudice during recent 3 years. Among them, one hundred eighty six patients were diagnosed as acute viral hepatitis by typical clinical feature and positive results in any one of the following tests : IgM anti-HAV, IgM anti-HBc, HCV PCR, and IgM anti-HEV. Results : The proportion of acute viral hepatitis A, B, C, and E were 49.5% (n=92), 45.2% (n=84), 3.8% (n=7), and 1.6% (n=3), respectively. The patient’s age of acute hepatitis A (29.1$\pm$1.75 years) was significantly younger than that of acute hepatitis B (38.2$\pm$3.07 years) (p$\prec$0.001). There were 10 cases of fulminant hepatic failure, all of which were caused by hepatitis B virus. Of seven patients diagnosed as acute hepatitis C, three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erferon-alpha and ribavirin, and all achieved sustained virologic response. Thre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cute hepatitis E, recovered spontaneously. Conclusion : Nowadays, the most common causes of acute viral hepatitis in Korea are in the order of the hepatitis A virus and the hepatitis B virus. The most prevalent age of acute hepatitis A is the 20th, while acute hepatitis B is most common in the 30th. Although the acute hepatitis C and E seems to be rare, they do occur sporadically in Korea.

배경 : 과거 우리나라에서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원인은 B형 바이러스 감염이 가장 많았으나, 최근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역학이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3년간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황달을 동반하고 혈청 IgM anti-HAV, IgM anti-HBc, HCV PCR, IgM anti-HEV 등의 검사들 중 한 가지 이상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진단된 186명을 분석하였다. 결과 : A형이 92예(49.5%)로 가장 많았고, B형이 84예(45.2%), C형이 7예(3.8%), E형이 3예(1.6%)였다. 평균 연령은 A형이 29.1$\pm$1.75세(4$\sim$73세), B형이 38.2$\pm$3.07세(14$\sim$82세)로서 B형 간염 환자들의 연령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한 10명의 원인은 모두 B형이었고, 이 중 8명(80%)이 사망하였다. 급성 C형 간염 환자들 중 3명이 감염 3개월 내에 인터페론-알파와 리바비린 병용요법을 받았고, 이들 중 만성화로 진행된 증례는 없었다. 치료를 받지 않은 4명 중 3명이 만성 C형 간염으로 진행되었다. 급성 E형 간염으로 진단된 3명은 모두 발병 전 약제 복용력이 없었고, 완전 회복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가장 많은 원인은 A형 간염이지만 B형 간염이 아직 절반에 가까운 원인을 차지하며, B형은 A형에 비해 발병 연령이 상대적으로 고령임을 알 수 있었다. 원인 불명 급성 간염 중 약제 사용력이 없는 경우 원인으로서 급성 C형 및 E형 간염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재명, 서동진. 한국인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원인. 대한내과학회지 33:203-210, 1987
  2. 김정룡, 변종훈, 이계희, 김웅, 정현채, 이효석, 윤용범, 송인성. 한국성인에서의 NANB형 급성바이러스 간염과 D형간염 바이러스 감염. 대한소화기병학회지 21:887-895, 1989
  3. 이창홍. 바이러스성 간염의 예방접종지침. 대한내과학회지 55:715-723, 1998
  4. 백종태, 김영숙, 강상범, 이숙경, 장영의, 이강문, 이동수, 안병민, 박태욱, 배시현, 양진모, 한남익, 박영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부성. 지난 5년간 대전지역 성인 급성간염의 원인적 동향. 대한내과학회지 57(Suppl 2):352, 1999
  5. 이창홍, 정규원, 문영명, 유재영, 서동진, 이효석, 변관수, 연종은, 이정일, 백승운, 안득수, 김세종, 정준모, 양웅석, 최보율, 김정순. 1998년 상반기 현증 A형 간염의 전국적인 발생현황-다기관 공동연구. 대한소화기학회지 32(Suppl 1):105, 1998
  6. 정갈만, 연종은, 박영태, 김진호, 권소영, 변관수, 이창홍. 서울 지역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에 관한 역학적 조사. 대한소화기학회지 27(Suppl 2):117, 1995
  7. 연종은, 권오상, 박영태, 김진호, 권소영, 변관수, 이창홍. B형 간염백신 출현후 서울지역 청소년에서 혈청 HBV 표지자의 변화. 대한소화기학회지 27(Suppl 2):119, 1995
  8. 주광로, 방성조, 송병철, 윤광희, 주연호, 양수현, 김기락, 정영화, 이영상, 서동진. 1990년대 후반 한국 성인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지자 보유 양상. 대한소화기학회지 33:642-645, 1999
  9. 이수정, 나호영, 박민호, 박근수, 최성규, 이강진, 문재동, 김세종. 최근 15년간의 B형 간염 표면항원 및 항체 양성률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간학회지 7:299-307, 2001
  10. Feldman M, Friedman LS, Sleisenger MH. Sleisenger &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7th ed p. 1293, 2002
  11. 홍원선, 김정룡. 서울지역에 있어서의 A형 간염 및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관한 혈청 역학적 조사. 대한내과학회지 25:19-26, 1982
  12. 정길만, 염형준, 권오상, 박영태, 김진호, 연종은, 권소영, 변관수, 이장홍, 최석주, 김주현, 임규성. 경인 지역에서 현증 A형 간염의 발생 양상. 대한내과학회지 51(Suppl 1):35, 1996
  13. Feldman M, Friedman LS, Sleisenger MH. Sleisenger & Fordtmn's gastrointestional and liver disease. 7th ed p. 1309, 2002
  14. Licata A, di Bona D, Schepis F, Shahied L, Craxi A, Camrna C. When and how to treat acute hepatitis C? J Hepatol 39:1056-1062, 2003 https://doi.org/10.1016/S0168-8278(03)00461-6
  15. 김남진, 이준성, 김정아, 이혜란, 오장원, 조이대, 이우진, 백현욱, 전영빈, 김정룡. 급성 E형 간염 1예. 대한간학회지 8:312-316,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