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y of Low Salt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저염 된장 숙성 중 미생물과 효소활성의 변화

Mok, Chul-kyoon;Song, Ki-tac;Lee, Ju-Yeon;Park, Young-Seo;Lim, Sang-Bin
목철균;송기태;이주연;박영서;임상빈

  • Published : 20050500

Abstract

The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y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Doenjang) at various salt contents (8-14%)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a low salt soybean paste. The initial microbial counts were in the range of 2x $10^{6}$ CFU/g for aerobic bacteria, Ix $10^{5}$ CFU/g for yeasts, and 6x $10^{4}$ CFUlg for molds regardless of the salt contents. The aerobic bacteria increased to 107 CFU/g after 3 week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to $10^{5}$x $10^{6}$ CFU/g levels after 7 weeks and remained constant afterward. The yeasts also increased in the first 3 week fermentation and decreased afterward. The yeasts showed higher populations at lower salt contents. The mold counts de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and showed lower values at lower salt contents. The protease activity was the highest after 7-10 week fermentation and was higher at lower salt contents. The $\alpha{-amylase}$ activity decreased slightly with fermentation time while the $\beta{-amylase}$ activity increased rapidly after 3 week fermentation and started to decrease afterward. Both $\alpha{-amylase}$ and $\beta{-amylase}$ showed higher activities in low salt containing soybean pastes.

Keywords

References

  1. 권오동, 김종규, 정영건. 1986. 한국 재래식 간장 및 된장에서 분리한 세균의 특성. 한국농화학회지 29: 422-428
  2. 김승호, 이윤진, 권대영. 1999. 전통된장으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물질의 분리. 한국식품과학회지 31(3): 848-854
  3. 김용석, 이창호, 박희동. 2001. 된장으로부터 angiotensin 전환효소 저해제 생산 세균의 분리 및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3(1): 84-88
  4. 김종대, 최면, 주진순. 1995. 뇌졸중 환자 가족과 정상인에 있어서 혈압과 Na, K 섭취경향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4(1): 24-29
  5. 김종생, 최성현, 이상덕, 이규희, 오만진. 1999. 살균 된장의 저장과정 중 품질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5): 1069-1075
  6. 김현정, 손경희, 채선희, 곽동경, 임성경. 2002. 된장의 지용성, 수용성 추출물에 대한 갈색 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조리과학회지 18(6): 644-654
  7. 박병준, 장규섭, 김동호, 육홍선, 변명우. 2002. 감마선 조사와 저염함량으로 제조한 된장의 미생물 및 품질 특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34(1): 79-84
  8. 박정숙, 이명렬, 김경수, 이택수. 1994. 균주를 달리한 된장의 향기 성분. 한국식품과학회지 26(3): 255-260
  9. 송재영, 안철우, 김종규. 1984. 한국 재래식 된장 발효중 관여 미생물이 생성하는 향기성분.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12: 147-152
  10.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공전(별책). p. 94. 식품의약품안전청. 서울
  11. 신순영, 김영배. 유태종. 1985. Bacillus licheniformis와 Saccharomyces rouxii 첨가에 의한 된장의 풍미향상. 한국식품과학회지 17: 18-14
  12. 신재익, 안창원, 남희섭, 이형재, 이형주, 문태화. 1995. 된장으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저해 peptide의 분획. 한국식품과학회지 27(2): 230-234
  13. 오훈일, 손성현, 김정미. 2000. 고초균과 효모를 혼용첨가한 고추장 숙성 중 미생물과 효소활성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32(2): 410-416
  14. 유승구, 조원희, 강수민, 이선희. 1999. 전통 된장 및 간장의 숙성기간별 생육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7(2): 113-117
  15. 윤일섭, 김현오, 윤세억, 이갑상. 1977. 한국 된장의 발효과정에 따른 N-compounds의 소장에 관한 역구. 한국식품과학회지 9: 131-137
  16. 이봉기, 장윤수, 이숙이, 정건섭, 최신양. 1997. 된장 추출물의 면역조절 기능과 그 작용기전. 대한면역학회지 19(4): 559-569
  17. 이서래. 1986. 한국의 발효식품.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울
  18. 이순원, 신순영, 유태종. 1985. 저염된장 제조시 에탄올 첨가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17(5): 336-339
  19. 이시경, 허석, 주현규, 송기방. 1999. 된장으로 부터 fibrin 용해 세균의 분리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42(1): 6-11
  20. 이인규, 김종규. 2002. 된장이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8(3): 282-305
  21. 이정옥, 류충호. 2002. Nisin 생성 유산균을 이용한 저염 된장의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1): 75-80
  22. 이종수, 권수진, 정성원, 최영준, 유진영, 정동효. 1996. 한국 재래식 된장과 고추장의 숙성 중 미생물, 효소 활성 및 주요 성분의 변화.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4(2): 247-253
  23. 임선영, 박건영, 이숙희. 1999. 된장의 in vitor sulforhodamine B(SRB) assay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1): 240-245
  24. 임선영, 이숙희, 박건영. 2004a.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및 DNA 합성 저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6): 936-940
  25. 임선영, 이숙희, 박건영, 윤희선, 이원호. 2004b. 된장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와 in vivo 초파리 돌연변이 검출계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9): 1432-1438
  26. 장중규, 김종규. 1984. 한국재래식 된장 향기성분의 개스크로마토그래피 패턴과 관능검사의 통계적 해석.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12: 53-16
  27. 주현규. 1981. 농산식품가공학, 선진문화사. 서울
  28. 채수규, 강갑석, 마상조, 방광웅, 오문현. 1998. 표준 식품분석학. p. 675-678. 지구문화사. 서울
  29. 최신양, 최미정, 이정진, 김현정, 홍석산, 정건섭, 이봉기. 1999. 순창 재래식 된장의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2): 458-463
  30.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Chem. 31: 426-431 https://doi.org/10.1021/ac60147a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