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ciousness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of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학교급식 영양사의 의식 조사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of dietitians wh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food in school food serv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ate of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as the pursuit of learning about socio-demographic was generally high, and was remarkable in the elderly dietitians who have worked for a long term. The way how they learned about traditional Korean food was through media, school education, books, and home education, in order. Also, the dietitians who are relatively older or have worked for a long term have pride in traditional food because it suited their taste and was our traditional foo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provide the food to school food service because the cooking process is complex, and students don's prefer it. Accordingly, improvements of recipe with use of traditional Korean food in school food service are urgently required. The dietitians in Gwangju City in Jeonnam province felt the need to make a standard traditional Korean food recipe, and the demand was especially the strongest among dietitians who have worked from 6 to 10 years. They suggested that the standard recipe should be made by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dietitians working at schoo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fessors majoring in Food & Nutrition, and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order.

Keywords

References

  1. 강업순, 천종희(1998). 도시. 농촌 중학생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의식과 기호도 비교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3(2), 97-105
  2. 강인희(1986). 한국식생활사. 서울: 삼영사. pp 78
  3. 김경애, 김수자, 정난희, 전은례(2003). 중학생의 학교급식에 대한 음식 기호도. 한국조리과학회지, 19(2), 144-153
  4. 김경애, 정난희, 전은례(2003). 광주와 전라남도의 음식문화 연구(II). 대한가정학회지, 41(3), 181-196
  5. 김윤신(1993). 남녀중학생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의식과 기호도 조사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혜영, 조은자, 한영숙, 검지영, 표영희(1998) 문화와 식생활. 서울: 효일문화사. pp 68
  7. 민연홍(1999). 한국음식에 대한 의식 기호도 조사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미섬, 김경애(1991). 한국음식에 대한 여고생의 의식과 기호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 1), 163-177
  9. 송정자(1997). 현대인과 한국전통음식. 서울 집문당. pp 14
  10. 양일선(2002). 세계화 시대의 식생활 문화 제 55차 대한가정학회 학술 세미나 자료집. pp 20
  11. 이미영(2002). 한국전통음식과 패스트푸드에 대한 초등학생의 의식 및 기호도 조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원미(2000). 학교영양사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의식 및 활용에 관한 조사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현주, 문수재, 이일화, 유춘희, 양일선, 문현경(2000). 식생활의 전통성 유지 측면에서의 전국 초등학교 급식 식단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33(2), 216-227
  14. 정효숙(2002). 경남지역 세시음식의 시행 및 학교급식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7(3), 225-239
  15. 조연숙, 홍상욱, 한재숙(1988). 전통음식에 관한 도시 주부들의 의식조사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3). 281-292
  16. 최미숙, 정은희, 현태선(2002). 충북지역 아동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의식과 기호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7(4), 399-410
  17.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2000). 한국의 전통음식. 서울: 교문사. pp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