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Freeway Traffic Accident Rate using Traffic Volume and Trip Length

교통량과 통행길이를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예측 연구

  • 백승걸 (한국도록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 장현호 (서울지방경찰청 교통개선기획실) ;
  • 강정규 (한국도록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Road accidents are considered as the result of a complex interplay between road, vehicle, environments, and human factors. Little study, however, has been carried out on the attributes of human factor compared to the road geometric conditions and traffic conditions. The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mainly both traffic and geometric conditions on specific location. Therefore, it's hard to explain phenomenon of the high traffic accident rates where road and traffic conditions are good. Because of these reasons, accident analysis has contributed on geometric improvement and has not contributed on traffic management such as selection of attention section, driver napping alert, etc. The freeway incident management is also associated with reliable prediction of incident occurrences on freeway section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effect of trip length on freeway accident rate. A PAR (Potential Accident Ratio), the new concept of accident analysis, considering TLFDs (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s) is suggested in this paper. This approach can help to strengthen freeway management and to reduce the likelihood of accidents.

교통사고는 도로기하구조, 교통특성, 운전자 특성, 주변환경 등이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하게 된다. 고속도로는 양호한 도로기하구조 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고속주행 특성으로 인해 사고원인 중 부주의, 졸음, 과속 등 운전자의 인적요인(Human Factor)에 의한 사고비율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고속도로 교통사고 추정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주로 특정지점에서의 도로기하구조조건, 교통 및 환경조건들과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의 개발에 초점을 두어왔으며, 운전자 조건을 고려한 교통사고 추정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연구들은 도로와 교통조건이 양호한 구간에서의 높은 교통사고율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기 ${\cdot}$ 종점 쌍간의 통행길이분포(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s)를 이용하여 공간적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운전자의 심리적 ${\cdot}$ 생리적 인적요인을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으로 교통사고발생율을 예측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고분석변수로 구간교통량에 대한 사고위험교통량의 비율인 잠재사고비율(PAR:Potential Accident Ratio)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서해안 고속도로에 대한 사례분석결과 PAR, 교통량과 교통사고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규(1985), 고속도로의 기하구조가 교통사고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정규 . 이성관(2002), 고속도로 선형조건별 교통사고 위험도 평가모형 개발 (호남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63-175
  3. 공선희(2002), 고속도로 사고예측모형의 비교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심관보 . 김의식 . 김진현(1998) 대형차량의 졸음운전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5. 오 철 . 장재남 . 장명순(1999), 고속도로 시설물 구간의 교통혼잡도와 사고율의 관계 분석 (신갈-안산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21-27
  6. 이기영 . 이용택(2004), 확률회귀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의 사고요인 분석, 도로교통 제94호
  7. 이용택 . 김양지 . 김대현 . 임강원(2000),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계절성 검증과 요인분석 (중부고속도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7-16
  8. 한국도로공사(1998), 고속도로 Network Analysis 모형 적용을 위한 자료구축 및 실용화 연구
  9. 한국도로공사(2003), 고속도로 교통사고 통계
  10. Kim K. E., Yamashita E. Y., (2001) Asleep At The Wheel: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Fatigue-Related Crashes In Honolulu,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https://doi.org/10.3141/1779-07
  11. Filip Casaer, Geert Wets (2004), Isabelle Thomas, Road Traffic Accident Clustering With Categorical Attributes,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4
  12. Ivan J. (2004), A new approach for including traffic volumes in crash rate analysis and forecasting,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https://doi.org/10.3141/1897-17
  13. Kononov J. and Allery B. K.(2004) Explicit Consideration of Safety in Transportation Planning and Project Scoping,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4 https://doi.org/10.3141/1897-15
  14. Lord D.(2002) Issues related to the approach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the computation of accident risk on transportation networks,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2 https://doi.org/10.3141/1784-03
  15. Oh C, Oh J. S. Ritchie S. G. and Chang M. S. (2001) Real-time estimation of freeway accident likelihood, 80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6. Konduri Sravanthi, Labi Samuel, Sinha Kumares C. (2003) Incident Occurrence Models For Freeway Incident Management, 82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https://doi.org/10.3141/1856-13